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4

        46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통계적 속성에 기반한 질감특징값 분석을 바탕으로 뇌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정상과 뇌경색의 컴퓨터보조진단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질감특징값을 나타내는 6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한 질환인식률 평가와 ROC curve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밝기 88%, 대조도 92%, 평탄도 94%, 균일도 88%, 엔트로피 84%의 높은 질환인식률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왜곡도의 경우 58%로 다소 낮은 질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ROC curve를 이용한 분석에서 각 파라미터의 곡선아래면적이 0.886(p=0.0001)이상을 나타내어 질환인식에 의미가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파라미터의 cut-off값 결정으로 컴퓨터보조진단을 통한 질환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62.
        2016.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present proton-induced single event effects (SEEs) and γ-ray-induced total ionizing dose (TID) data for 1 Gbit lowpower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LPDDR SDRAM) fabricated on a 5 μm epitaxial layer (54 nm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technology). We compare our radiation tolerance data for LPDDR SDRAM with those of general DDR SDRAM. The data confirms that our devices under test (DUTs)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space flight applications.
        46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innovative material using the thermal insulation concrete (TIC) mixed with a sufficient volume of glazed hollow beads (GHBs) is described and discussed. The effects of glazed hollow bead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rmal conductivity and, microstructure of the TIC were first investigated. The study results show that with the increase of the replacement ratio of GHBs, the density, compressive strength, elasticity modulus, and thermal conductivity coefficient of concrete decrease. The optimal mixing amount of glazed hollow beads in the concrete is 15-20%. Then, the properties related to the bonding between the TIC and rebars in freeze-thaw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32 pullout specimens and 216 cubic specimens made of the TIC were tested, which cover three concrete strength grades, three rebar diameters, and six anchorage lengths. The compressive strength, splitting tensile strength, bond strength, slip, and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were studied.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bond performance of the TIC is mainly affected by the rebar diameter and anchorage length, rather than the concrete strength. The TIC is found to be satisfactory in terms of frost resistance and may be utilized in engineered structures in cold regions. Lastly, the effect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RCA) on the compressive strength, thermal conductivity, and microstructure of recycled aggregate thermal insulation concrete (RATIC) are presented. The pore fractal dimension was established by using the mercury-injection test data. The average fractal dimension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RATIC.
        464.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tions of ecotoxicity for management plan on industrial waste, and suggested the strategy for assessment of the ecotoxicological characteristic. From the results of ecotoxicity for waste synthetic resin, sludge, slag, waste dust, etc. 20 industrial wastes, 15 waste samples were analyzed in ecotoxic. In particular, 8 waste samples (about 62%) among the 13 non-hazardous wastes were confirmed ecotoxic. Therefore, the additional studies are necessar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amples and confirming the various types of was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arsenic and vanadium was highly estimated that 0.68, 0.44, respectively. The ecotoxicity for wastes should be managed as a comprehensive toxic in the future. Because the wastes has the high potential ecotoxic by the possibility of containing hazardous materials with discharge process and the interaction of heavy metals, ions, salt, and pH and so on. The hazardous characteristic of waste for ecotoxicity should be evaluated through the ecotoxic analysis in 3 steps by the proposed procedure for assessment of ecotoxicological characteristic.
        46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대기순환모형(GCM)이나 지역순환모형(RCM)을 활용해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미래 수문변화에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GCM은 매우 낮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시간적 규모도 수 십일에서 수개월의 분해능으로 인해 유역의 반응을 예측하는 데 있어 부정확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멀티프랙탈 기법을 이용하여 시·공간 강우를 생산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받은 레이더 자료의 시·공간 멀티프랙탈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로그 포아송 분포 함수와 3차원 웨이브렛을 적용하여 관측 레이더 자료가 나타내는 멀티프랙탈 특성을 반영한 각 사상별 10개의 격자단위 가상강우장을 생성하였다. 가상강우장의 검증은 각 격자에 나타나는 강우강도의 분포 빈도를 누적분포함수로 비교하였으며, 가상강우장의 강우 시계열을 작성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베리오그램을 활용하여 가상강우장의 공간특성을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가상강우장과 관측 레이더 강우장, 그리고 저해상도 강우장을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S-RAT 모형에 적용하여 가상강우장과 관측 강우장의 강우-유출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정량화하기 위해 RMSE, RRMSE, MAE, SS, NPE, PTE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각 격자별 강우강도빈도는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강우장의 시계열이나 공간적 특성에서는 뛰어난 모사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강우-유출 모의를 후, NPE와 PTE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첨두유량은 20.03% 증가하였으며, 첨두시간은 0.81%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미래 강우-유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46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 mercury leaching test for waste using the Korean Standard Method (ES 06404.1), the pre-treatment process of an eluate is very complicated with a high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and low mercury recovery rate. It is also difficult to analyze multiple samples in a short time and the process generates experimental wastes. Accordingly, a direct mercury analyzer (DMA) applying thermal decomposition gold-amalgamation analysis has been recently used. The method shows a relatively high recovery rate for solid samples without complicated pre-treatment and it can be applied to both liquid and solid samples as the EPA method 7473 does. In order to use the auto-sampler in DMA for analyzing many elution samples from waste, this study checked recovery rates depending on acid solutions and additives during continuous analysis.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rop in recovery and precision except for an L-cysteine added sample. Considering commonly used acid-treatment of wastes, three types of acid solutions (nitrate, hydrochloric acid and sulfate) were chosen for analysis, and precision and accuracy were relatively high in nitric acid solution. It has been determined that accuracy and precision improved when 0.01% L-cysteine was added as an additive and this reduced the impact of continuous measurement. Therefore, during analysis of liquid samples or eluted samples using DMA continuously, introducing suitable additives is necessary depending on pre-treatment method in order to improve accuracy and precision in the analysis of mercury.
        467.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monitoring of the coastal and offshore structures, many techniques can be applied. In this paper, three different applications were introduced including surface wave based nondestructive testing for concrete structures, vision-based dynamic motion measurement for floating structures, and long-term monitoring using dynamic responses and static strain measurement data for fixed offshore jacket structures.
        468.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adays,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have been used in several important areas, such as healthcare, construction, critical infrastructur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manufacturing.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WSNs in terms of memory, energy, computation, and scalability,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arge number of WSNs data in these areas is an important issue to deal with. There is a need for a high-performance computing and massive storage infrastructure for real-time processing and storing of the data as well as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sensor cloud computing based on IoT and service to manage monitoring sensor data for the f construction design-build projects. With this IoT sensor cloud platform, the entire project participants can efficiently share information to identify and solve issues in the design build phase.
        469.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GS technologies of genome DNA structure, expression profiling and epigenome elements have been used widely as approaches in the expertise of genome biology and genetics. The application to genome study has been particularly develop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xt-generation DNA sequencer (NGS) Roche/454, Illumina/Solexa and PacBio systems along with bioinformation analysis technologies of whole-genome de novo assembly, expression profiling, DNA variation discovery, and genotyping.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NGS systems is the cost-effectiveness to obtain the result of high-throughput DNA sequencing for genome, RNAnome, and miRNAnome studies. Both massive whole-genome shotgun paired-end sequencing and mate paired-end sequencing data are important steps for constructing de novo assembly of novel genome sequencing data and for resequencing the samples with a reference genome DNA sequence. To construct high-quality contig consensus sequences, each DNA fragment read length is important to obtain de novo assembly with long reading sequences of the Roche/454 and PacBio systems. It is necessary to have DNA sequence information from a multiplatform NGS with at least 2x and 30x depth sequence of genome coverage using Roche/454 and Illumina/Solexa, respectively, for effective an way of de novo assembly, as hybrid assembly for novel genome sequencing would be cost-effective. In some cases, Illumina/Solexa data are used to construct scaffolds through de novo assembly with high coverage depth and large diverse fragment mate paired-end information, even though they are already participating in assembly and have made many contigs. Massive short-length reading data from the Illumina/Solexa system is enough to discover DNA variation, resulting in reducing the cost of DNA sequencing. MAQ and CLC software are useful to both SNP discovery and genotyping through a comparison of resequencing data to a reference genome. Whole-genome expression profile data are useful to approach genome system biology with quantification of expressed RNAs from a whole-genome transcriptome, depending on the tissue samples, such as control and exposed tissue. The long read sequence data of PacBio are more powerful to find full length cDNA sequence through de novo assembly in any whole-genome sequenced species. An average 30x coverage of a transcriptome with short read sequences of Illumina/Solexa is enough to check expression quantification, compared to the reference EST sequence. In an in silico method, conserved miRNA and novel miRNA discovery is available on massive miRNAnome data in any species. Particularly, the discovered target genes of miRNA could be robust to approach genome biology study.
        47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비작물로서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환원하고, 토양개량제로서 charcoal을 시용하여 생강연작 재배지에서 생강을 재배한 결과, 토양 pH가 시험 전 6.9~8.1에서 수확 후 6.8~7.6로 감소하였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는 한 시험 전 0.45~1.25dS m-1에서 수확 후 0.30~0.61dS m-1로 감소하였다. 토양유기물(soil organic matter, SOM) 함량과 토양 중 총질소(total-nitrogen, T-N)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효인산 함량과 치환성 K, Ca, Mg 함량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pH를 중성화시키고, EC 경감, SOM과 T-N 함량의 증가는 토양 화학성 변화에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생강양분의 함량적 차이를 정상근과 이병근의 함량 차이, 토양의 점토함량 별 양분 함량 차이로 조사한 결과,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으며, 처리구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망간(manganese, Mn)의 경우, 이병근의 지하부에서 3~4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망간(Mn)은 식물 뿌리에 대한 독성 작용으로 뿌리를 갈변시키고 균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된바, 뿌리썩음병의 발생으로 Mn이 작용하여 이병근의 M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뿌리썩음병과 Mn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강 수확 후 생강 생육 상태와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녹비보리, 헤어리베치, 녹비보리+charcoal, 헤어리베치+charcoal을 처리한 시험구(Plot 2, Plot 3, Plot 4, Plot 5)에서 생강의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생산량이 높아 병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Plot 4(헤어리베치+charcoal)-LCC에서는 100%의 생산량을 보였다. 녹비작물과 charcoal의 처리가 생강 생육과 생산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점토함량이 낮은 처리구가 점토함량이 높은 처리구보다 생육 상태와 생산량에서 우세하였는데, 모래와 점토 함량 차이에 따른 배수와 토양의 수분보유력이 생강생육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471.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수학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연산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 유창성과 수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학 유창성이란 수학적 질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대답하는 학생의 능력을 말한다.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수학 학습부진아동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수학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연산학습을, 비교집단에는 연산학습지를 활용한 연산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연산학습은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수학 유창성 면에서 수학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연산학습은 학습지를 활용한 연산학습보다 수학 유창성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수학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연산학습은 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 학습동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72.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변동점 분석은 강우, 유량, 온도 등의 수문기상자료의 기초적인 정보를 이해함에 있어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합리적인 방법으로 분석된 미래 강우량에 대한 변동점 분석 결과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홍수나 가뭄과 같은 수문현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문제가 되는 비동질성 또는 비정상성 요인을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동성 분석을 위해 이용되는 3가지의 이론(CUSUM, BCP, DP)을 소개함과 함께 3가지 기법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호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3가지 종류의 합성 모의 강우자료의 생성을 통해 3가지 기법들을 수행한 뒤 그 결과를 특정 성능평가 절차를 거쳐 평가하였으며, 그 중 2가지 기법을 국내 관측 강우자료 및 미래 강우자료의 변동점 분석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기법 간 비교를 통해 BCP 0.9가 가장 우수한 탐색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DP 또한 합리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이와 같은 강우자료에 대한 변동점 분석에 관한 연구는 비동질성이나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수문모형을 구축하는 연구 등에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47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감을 포함한 스토리의 상황 공유라 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라 함은 물체나 대상의 단순한 집합이나 일차원적인 형이하적인 접근의 측면이 아니라, 인과 관계와 유기적인 스토리를 대상에게 적용하여 뇌리에 남는 디자인을 하기 위한 기법의 한 가지이다. 그 표현을 환경디자인을 통하여 보여 줌으로써 디자이너와 사용자가 소통할 수 있는 여지를 줄 수 있다. 이런 배경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문화가치 자체를 통해서 경제 효과를 나타내는 컬처노믹스가 이루어져 경제적인 효과까지 따라온다고 할 수 있다. 환경디자인에서 이 관계의 유기적 효과를 위해서 스토리텔링을 할 때부터 컬처노믹스의 관점에서 풀어낼 수 있는 것을 주도면밀하게 적용하여 디자인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47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nitrogen use efficiency of high yielding Japonica rice varieties under three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90, 150 and 210 kg N ha -1 ) in Iksan, Korea. Two high yielding rice varieties, Boramchan and Deuraechan, and an control variety, Dongjin2, were grown in fine silty paddy. Nitrogen use efficiencies (NUE) were 83.3, 56.3, and 41.2 in 90, 150, and 210 kg N ha -1 fertilizer level, respectively. Total nitrogen uptake varied significantly among nitrogen levels and varieties. Variety Dongjin2 showed the highest nitrogen uptake efficiency (NUpE), while Boramchan and Deuraechan showed higher nitrogen utilization efficiency (NUtE). However, Nitrogen harvest index (NHI) was higher in Boramchan (0.58) than Deuraechan (0.57) and Dongjin2 (0.53). Rough rice yield showed linear relationship with total nitrogen uptake (R 2 =0.72) within the range of nitrogen treatments. Boramchan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rough rice yield (8546 kg ha -1 ) which mainly due to higher number of panicles per m 2 compared to Deuraechan (7714 kg ha -1 ). Deuraechan showed higher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but showed lower yield due to lower number of panicle per m 2 . Rice varieties showed different nitrogen uptake ability and NUE at different nitrogen level. Plant breeders and agronomist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significant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among grain yield, NUpE, and NUE.
        475.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빈도해석이나 홍수예측과 같은 홍수조절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는 유출자료이다. 하지만, 소규모 유역의 경우 유출자료를 측정하지 않는 미계측 유역의 다지점 분석과 총량분석을 위한 정보가 너무 부족한 실정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모델인 저류함수법를 활용하여 충주댐유역을 세분화하여 적용하였다. 충주댐 유역은 22개의 소유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충주댐 수위관측소의 유출자료의 공간적 확장성을 검증하였다. 홍수사상은 1990년부터 2009년까지의 21개 홍수사상을 활용하여 한 곳(충주댐 유입량)의 자료를 중심으로 22개 소유역의 저류함수법의 수문지형학적 특성에 관여하는 매개변수(k, p, Tl)를 고정하고 홍수사상마다 달라지는(f1, Rsa)를 최적화 하며 22개 유역의 유출자료를 생산하였다. 교차검증 지점인 영춘과 판운 수위관측소의 평균 Nash- Sutcliffe Efficiency(NSE)는 충주댐의 유입량이 0.71을 나타낼 때 각각 0.67과 0.52를 나타내 유출자료의 확장성에 있어서 만족(NSE>0.5)하는 범위에 들어 집중형 모형을 활용한 유출자료의 확장가능성을 보였다.
        476.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 정보사회 디지털의 발전은 생활공간의 확장, 즉 가상공간의 영역 확장을 가져오면서 현대인들의 길찾기 방법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단순 지도 또는 표지판을 통한 길찾기가 아닌 가상과 현실의 공간을 넘나드는 증강현실 기술이 상용화 되면서 목적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길찾기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플랫폼으로 하는 스마트폰 길찾기 어플리케이션의 방향표시 기호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시각이미지를 분석하여, 향후 개발될 길찾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모델에 대한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아이폰 앱스토어에 등록된 길찾기 어플리케이션 200개를 분석한 결과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어플리케이션들에서 보여지는 방향표시 기호 유형은 말풍선, 진행경로, 화살표, 화살표+진행경로, 레이더, 좌표, 컴퍼스, 방위표시, 캐릭터 등 총 9가지였다. 사용된 방향표시 기호는 기존의 아날로그적인 기호들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속 증강현실에서의 방향제시 기호는 과거의 기호와의 형태적 다름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기존의 방향제시 기호들로만 보여줄 수 없었던 정보의 확장성을 실현에 더 의의가 있다. 향후 증강현실 플랫폼은 영역을 확장해 나가며, 좀 더 직접적이고 다양하게 실생활에서 사용될 전망이다. 이때 가장 고려되어야 할 것은 현실과 가상세계간의 정합이며, 사용성을 높여서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정보를 취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47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의 원전 폭발, 구미불산가스 누출 등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재난 지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피해 상황을 실시간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방재 로봇이나 UAV 같은 무인시스템 기술을 재난 감시와 조사 분야에 도입하여 적용하기 위한 활용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최근 해양경찰청과 소방방재청(경기소방재난본부), 한전 등에서 UAV 민수용 보급 시범사업을 통해 해안 및 해양 감시 및 정찰, 산불 및 화재 모니터링, 항공 감시정찰 및 추적, 공간영상정보 실시간 전송, 송전 및 전력선 모니터링 및 감시정찰 등 현업 업무 적용과 수요 창출을 위한 연구가 추진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 감시 및 조사 목적의 방재용 UAV에 요구되는 성능을 분석하고 실제 재난관리 현업에 UAV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478.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arious properties such as the electric current distribution, resonant frequency and radiation patterns of open-ended meander slot antenna placed on a small ground plane, are investigated to give the help in performing antenna design. Based upon these characteristics, the designed antenna which is only 22mm(0.06λg) in height and 31mm(0.09λg) in width can operate at the 433 MHz with the measured radiation efficiency of 8% and end-fire radiation pattern. These properties make the antenna suitable for the handheld device such as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479.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studies how to combine devices such as monocular/stereo cameras, motors for panning/tilting, fisheye lens and convex mirrors, in order to solve vision-based robotic problems. To overcome the well-known trade-offs between optical properties, we present two mixed versions of the new systems. The first system is the robot photographer with a conventional pan/tilt perspective camera and fisheye lens. The second system is the omnidirectional detector for a complete 360-degree field-of-view surveillance system. We build an original device that combines a stereo-catadioptric camera and a pan/tilt stereo-perspective camera, and also apply it in the real environ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systems, we show benefits of two proposed systems in aspects of maintaining both high-speed and high resolution with collaborative moving cameras and having enormous search space with hybrid configur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provid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mixing collaborative and hybrid systems.
        480.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방방재청은 지역안전평가, 재해취약성 검토, 풍수해 및 인적재난에 관련한 위험도 등 재난관리 고유 업무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방재주제도 발굴과 제작이 미흡하다. 이에 국립방재연구원에서는 자연재해·인적재난·사회적 재난 등으로 분류, 통계자료 위주로 구축되어 있는 재해·재난 관련 정보를 현황도, 분석도, 위험도 등으로 GIS화하기 위한 소방방재 지리정보 종합관리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청에서 발굴하고 추진하여야 할 소방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의 기본계획 수립 및 향후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업무지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방재주제도 개발과 그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