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5

        542.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한 극기상현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연구된 여러가지 GCM 모의결과와 마코프 연쇄를 이용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자료의 모의발생을 실시하였다. 또 적절한 지수를 이용하여 미래시점의 가뭄과 홍수 발생의 변동 가능폭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시나리오에 따라 극심한 가뭄과 홍수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상태보다 수자원의 계획과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닥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수자원
        543.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civil affair occurrence of bad smell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around Seongseo district for recent 2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ivil affair occurrence days of bad smell were concentrated from May to August. (2) Daily mean temperatures were mostly 20~28℃ and daily mean relative humidities were 60~80%. (3) Wind speeds were mostly less than 2m/s(75%), and wind directions were southerly winds(50%). It was hardly occurred for relatively well-ventilated conditions in cases of wind speeds 2m/s over. And the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were used to figure out the transport route in a civil affair occurrence days of bad smell. It was found that the south-western winds transported the bad smelling materials from Jungni-dong(the place of source) to the housing complex located along a piedmont district.
        546.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l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variation trend of air pollution concentration index and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with CO(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in high-CO episode days. CO is a representative automobil air pollut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high-CO episode days within 30 classes appeared in winter season. 2.Most of them appeared under the surface weather conditions with east-west high-pressure system. The surface winds in this high-pressure area were very light. 3. The high-CO episode days were due to unusual accumulation within urban atmosphere in the morning. 4.The Atmospheric stabilities were more stable, and then the wind-ventilation conditions were worse than yearly mean atmospheric condition in Daegu.
        54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make use of the protection effect against wind by the vegetation, it examined whether it should make what vegetation form and arrangement using the 2-dimensional non-hydrostatic model. When the foliage shielding factor increases, it becomes hard to take in protection effect against wind in a residential section. When it makes height of vegetation high, it becomes hard to take in protection effect against wind with height. In the comparison in the case where vegetation high is gradually made low toward wind-stream from a vegetation, and the case of making it low gradually, although former tends to receive the protection effect against wind by the vegetation, attenuation of wind velicity becomes large. In the comparison in the case where foliage shielding factor and distribution of density of leaf are gathered gradually toward wind-stream from a vegetation. It has been understood to evaluate to height the influence that the vegetation multi-layer model by which the heat revenue and expenditure in the direction of the vegetation height is considered is used, and to characterize the vegetation group by the parameter setting.
        54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4개년 조사 기간 중 보리호위축병 발병율은 6.6%-62.5%로 연차간 기상조건에 따라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2. 면역혈청학적 검정 결과 보리호위축병의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일부 품종은 BaMMV와의 혼합 감염이 발생하였으나 보리호위축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생이 낮은 경향이었다. 3. 월동전 보리 초기 생육 기간의 기상 조건과 발병율의 변화 조사 결과 평균기온이 바이러스의 감염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월동기중에는 기상조건과 발병율과는 어떤 요인도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5. 생육재생기 이후의 발병율은 최고기온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내어 병징 발현에는 최고기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53.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상레이더와 지형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홍수사상에 기초하고, 운동역학적이며, 초과강우가 고려된 분포형 강우-유출 유역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유역모형에서 강우로 인한 지표면 유출 및 지표면 흐름과 관련된 각종 변수의 공간적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인식하고 설명한다. 개발된 모형은 래스터 지형정보시스템과 공간적ㆍ시간적으로 변하는 강우자료와 호환된다. 몬테칼로 모의와 우도값이 이 모형의 검정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검정 모형으로부터 반응되는 시스템의 가능범위가 허
        554.
        200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reading the change of local meteor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dam construction of Nakdong-river using numerical model. The study used PSU/NCAR Mesoscale Model version5(MM5) for inquiring effect of formation of artificial lake after dam construction. The colleague simulated temperature mixing ratio, latent heat flux and sensible heat flux in two cause of existing lake and not. Temperature and mixing ratio in southwest of Andong lake increased because of the air that was warm and moist above the lake moved to southwest due to the northeasterly wind. In the case of existing lake around Andong, latent heat flux increased much in the daytime after sunrise. However, sensible heat flux decreased but it didn't change distinctly in southwest of Andong like the other values.
        555.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reading the change of local meteor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dam construction of Nakdong-river using meteorological data analysis, and modeling. The meteorological data analysised are mean temperature, foggy day, precipittion day and sunshine time. As the result of analyzing meteorological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dam in Andong and Hapchon, some discrepancy were observed by month because the lakes have different effect on the region as wind field. The common phenomenons that are revealed after dam construction are increase of foggy day and decrease of sunshine time.
        557.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nd the forecasting procedure of high ozone days have been studied. The ozone concentration was continuously measured during 3 years (1997∼1999) a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five major cities in Korea. The diurnal variation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on high ozone days is characterized by low ozone concentration at night. The ozone concentration increases continuously after sunrise, to reach a peak at 1500∼1600 LST. Thereafter it decreases steadily to a low concentration at sunset. The diurnal and annual maximum of the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t Seoul were observed in May and June, respectively. The favorable synoptic condition for the high ozone day is divided into 4 different synoptic weather patterns: a high-pressure system from the Sea of Okhotsk, the Pacific subtropical high extending westward, a moving high-pressure system covering the Korean peninsula, and a synoptic system in front of a typhoon. Most of high ozone days occur under the high pressure system in Korea.
        559.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벼 수량의 기상반응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벼 수량예측모델을 구축하고자 1985년부터 1999년까지 15년간 수행한 20개 지역의 벼 지역적응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boundary line)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수량예측모형을 설정하였다. 1. 벼의 생육기간을 영양생장기, 생식생장기, 등숙기로 구분하고 각 발육단계를 15-20일 간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기상요소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은 평균기온( Ta )과 일조시수( Sh)에 대해서는 지수함수 f( Ta )=β0(1-exp(-β1 / Ta ), f( Sh)=β0(1-exp(-β1 Th)로 나타났으며 일교차(Tr)는 2차함수 f( Tr)=β0(1-( Tr-β1 )2 )로, 이 식에서 상수항 β0를 제거하여 수량에 대한 각 기상요소의 영향도를 0-1로 나타내는 기상지수로 나타내었다. 2. 각 생육시기의 평균기온, 일조시간 및 일교차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이외에 불임에 의한 등숙률 저하와 그에 따른 수량감소를 고려하기 위하여 Uchijima(1976)가 제안한 냉각도일수(cooling degree day)를 출수전 30일간의 생식생장기에 계산하여 이에 대한 수량과 등숙률 반응의 최대경계선을 계산하였는데 냉각도일수가 증가하면 수량이 감소하는 지수함수로 잘 표현되어 기존의 연구들과 같은 결과였다. 3. 기상지수는 벼의 생육기간을 영양생장기, 생식생장기 및 등숙기로 구별하고 각 시기별로 수량 기상지수를 각 기상요소 기상지수를 기하평균하여 산출하였는데 각 시기별 수량기상지수의 수량변이 설명도는 각각 0.383-0.430, 0.460-0.534, 0.4603-0.587로 결정계수는 영양생장기<생식생장기<등숙기의 순으로 컸다. 4. 최대경계선 분석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각 생육시기별 수량기상지수를 기하평균하여 구한 종합수량기상지수와 수량과의 직선회귀식을 구하여 수량예측모형(Model I, II, III)을 작성하였다. Model I, II, III)은 각각 결정계수가 0.6512, 0.6703, 0.6129로 모든 생육단계에 걸쳐서 기간을 15-20일 단위로 세분하여 모든 기간의 수량에 대한 기상지수를 고려하여 전 생육기간의 종합수량기상지수를 산출한 Model II가 기상변화에 따른 수량변이의 설명도가 가장 높았다.
        560.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87년부터 1995년까지 전남 고흥군의 농가포장에서 감자의 주요특성과 재배기간중 관측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생육 및 수량과 기상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및 수량추정식을 유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기상요인 중 변이가 큰 것은 3월과 4월의 최저기온으로서 변이계수는 각각 368.0%, 126.0%였으며 5, 6월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은 비교적 변이가 적 었다. 2. 생육 및 수량형질의 변이계수에서 수량은 3.7%로 매우 낮아 품종고유의 유전특성의 지배를 많이 받는 반면, 경장은 14.3%, 경수는 9.3%로 높아서 어느정도 환경요인에 영 향을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3. 4월의 강수량 및 6월의 평균기온과 수량간에는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4. 생육 및 수량간에 는 모두가 정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4월의 강수량을 이용하여 경장을 추정한 결과 Y1: 82.47-0.11X (R2=0.3959)의 직선 회귀식을 유도할 수 있었고, 역시 4월의 강수량을 이용하여 수량을 추정한 결과 Y2: 2003.61-0.94X (R2=0.5418)의 직선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분산분석에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기에 수량에 대한 추정식을 이용하여 이론적 수량과 실제 수량의 오차를 구한 결과 값이 같아서 잘 적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