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인 ‘일품’을 대상으로 현미배양 후대의 주요 농업형질에 대한 변이체의 발생양상과 범위 및 종류등을 조사하고 변이집단의 크기와 변이집단의 육종적 유용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품’ 완숙현미 유래 캘러스로 부터 424개체의 식물체를 재분화하고 297개체로부터 종자를 채종하여 계통 재배하면서 간장, 출수기 등 주요 농업형질과 형태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주요 농업형질과 형태적 특성이 모품종과 다른 변이체는 전체의 21.5%인 64계
감정은 언어 이외에 인간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언어와 더불어 감정을 표현함으로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보다 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감정의 각기 다른 표현은 개인의 성향을 가늠하는 척도로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가상 캐릭터의 감정 표현이 일률적이지 않으려면 성격 특성에 따라 동일 감정의 생성 및 소멸 폭을 조정해 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감정에 영향을 주는 성격 특성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감정을 증감 및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세분화된 성격 특성이 의미하는 바와 감정을 나타내는 명사의 사전적 의미를 매치시켜 특정 감정이 어떤 성격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를 정의하였다. 또한 성격 검사에서 얻어진 원점수를 활용하여, 각 감정의 증감 및 지속, 소멸을 위한 가중치를 정의한 후, 이를 토대로 감정을 조정하였다. 실제 사람의 성격 검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일한 감정을 조정한 결과, 성격 별로 다른 결과치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5개의 차원과 30개의 하위 특성으로 이루어진 NEO-PI(NEO Personality Inventory)성인판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게임 지형을 표현하는 방법중 타일을 이용한 지형 표현 방법은 전통적으로 게임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그리고 빠른 처리를 위해 제작되었다. 특히 실시간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발전한 14개의 전이타일을 이용한 지형 제작 방식은 타일을 이용한 지형 표현 방식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다양한 지형 표현 방식이 개발되는 상황에서도 지켜지고 있는 원칙적인 방식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워크래프트 3에서 사용된 전이타일 표현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텍스쳐 스플레팅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발전된 전이타일 제작 방식에 대해 제안해 보도록 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 design of multi-dimensional complex emotional model for various complex emotional expression. It is a novel approach to design an emotional model by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emotional model which used a three-dimensional emotional space with some problems; the discontinuity of emotions, the simple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necessity of re-designing the emotional model for each robot.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designed an emotional model. It uses a multi-dimensional emotional space for the continuity of emotion. A linear model design is used for reusability of the emotional model. It has the personality for various emotional results although it gets same inpu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model, we have tested with a human friendly robot.
Although the effort to accomplish the various modem design fields with richer meanings and representation imbued with creative traditional elements, the actual eco-interior design is quite limited to the arrangement of traditional ingredients to represent the simple and improvisational image for the surroundings without proper direction or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style, lacking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and proper application. This project plan is to represent the ym-yang philosophy based on geometrical symbolism for workspace, and it also combines not only the utilization of unique characteristics of plants and space, which are based on known studies, but also the idea of 'Chi' for the choice of materials and their color based on 'Five-Elerrent' philosophy. The application of Yin-Yang can be seen in the division of floor plan and the 'Yin-Yang' symbol on the wall toward East, and the Five-Element is symbolized by unique materials and color used for each direction. Based on the survey regarding effectiveness of em-interior design work with traditional design elerrents, it appeared that the majority of people were very positive toward the traditional idea of Yin-Yang and Five-Element, and they acknowledged the possible effectiveness of Chi in living.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elerrents in modern eco-interior design work is acknowledging the objective value of the trad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eaning and its value is the proper way to accomplish the real modern traditional interior landscape design, other than short-term resolution of arrangement of simple elements. Thus, further studies and resean:hes should be continued to introduc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for eco-interior design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전통적인 대수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패턴에 기초한 대수 교육’의 의미와 방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패턴에 기초한 대수 교육으로의 관점 전환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패턴에 기초한 대수 문제해결 과정은 일반화 전략을 개발하게 하고, 수학적인 표현 도구의 발달을 자연스럽게 이끌기 때문에 대수적인 감각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도 분석의 주요 초점을 일반화 전략 및 수학적 표현 방법에 둘 것이다. 일반화 전략은 Lannin(2005)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분석했으며, 수학적 표현은 Nakahara의 표현 체계 중 시각적, 언어적, 기호적 표현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문자를 이용하여 형식화할 수 있는지 여부까지 확인하였다.
생물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원의 분석을 근거로 한 다양성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ICARDA에서 분양받은, 시리아등 87개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보리(Horedeum spontaneum) 394점을 재료로 농업적형질 및 표현형을 조사하여 구분정리함으로서 정제된 유전자원의 보존과 이용효율성을 높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질적형질은 총성을 포함한27개의 형질을 조사하였고, 양적형질은 간장을 포함한 12개의 형질을 조사하였다. 과성 및 찰성을 지닌 자원은 없었으나 탈립성이 강한 7점의 자원을 선발할 수 있었다.추후 철분등 종실의 영양성분 분석 및SSR마커를 이용한 유용관계의 분석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이들 결과는 야생보리를 이용한 기능성 보리 품종 육성에 이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