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4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 effect that presbyopia correction with PAL(Progressive Addition Lens) influences upon the vision related quality of life. 70 presbyopes over 45 years old in the capital region put a new PAL spectacles for more than 1 month. NEI VFQ questionnaire was used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after using PAL spectacles and to analyze how much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ed. Myopia and non-myopia groups were not differed, however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low addition group and high addition group, however after the experiment the quality of life in low addition group was improved in more many areas than one of high addition group. Low amount of astigmatism group and high amount of astigmatism group also had no differences, however two groups we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experiment. Indirect astigmatism, direct astigmatism and oblique astigmatism groups have no differences, however oblique astigmatism group ha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quality of life in indirect astigmatism group was improved in various items more than direct astigmatism group after the experiment. Comparisons among habitual types of presbyopia correction showed no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single vision group was improved by much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4 groups. As the result, Presbyopia correction using PAL were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in their mental, social, visual and functional areas.
        5,400원
        4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누진굴절력렌즈를 이용한 노안교정이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45세 이상 노안자 70명을 대상으로 1개월 동안 누진굴절력렌즈로 조제된 안경을 착용시켰다. NEI-VFQ 설문지를 이용해 삶의 질을 분석하고, 실험 후 삶의 질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성별 삶의 질 차이는 없었고, 실험 후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했다. 연령별 3개 집단의 차이는 없었고, 실험 후 40대가 가장 많은 영역에서 증가하였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된 항목이 줄었다. 사무직과 비사무직 사이에서 삶의 질은 차이가 없었고, 실험 후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상의 결과에서 누진굴절력렌즈에 의한 노안교정이 일반적 신체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없으나, 정신적, 사회적, 시각적 및 기능적인 측면에서 삶의 질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4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막정점부 눈물층 두께와 edge clearance가 동일하도록 3가지 직경 (8.7mm, 9.0mm 및 9.3mm) 의 RGP 콘택트렌즈를 시 험 제작하였다. 안질환이 없는 20대 학생 26명 (52 안, 나이 22 .46:t 3.35세)에게 착용시켜 가장 적합한 피팅상태를 보였을 때 최종 처 방렌즈의 베이스커브와 상측정점굴절력을 측정하여 콘택트렌즈의 직경에 따른 베이 스커브 및 상측정점굴절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최종 처방렌즈의 베이스커브는 직경이 작을수록 더 짧아졌고 (9.3 mm: 7.92:tO.16 mm, 9.0 mm: 7.88:tO.l6 mm 및 8.7 mm: 7.83:t0.16 mm), 두 값 사이 에 높은 상관성 이 나타 났다 (9.3mm: r 二0.979, 9.0 mm: r = 0.962 및 8.7mm: r 二0.931). 또한, 최종 처방렌 즈의 베이스커브와 각막의 평균 곡률반경(평균 7.75:t0.17 mm)을 비교했을 때 직경이 작을수록 두 값의 차이가 감소했고 (9.3 mm: 0.17:t0.16 mm, 9.0 mm: 0.13:t0.16 mm 및 8.7 mm: 0.08:tO.l6 mm), 두 값 사이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9.3 mm: r = 0.925, 9.0 mm : r = 0.965 및 8.7 mm: r = 0.969). 최종 처방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 (9.3 mm: -2.92:t 1.40D, 9.0 mm: -2.98:tl.48D, 8.7 mm: -3.30:tl .59D) 과 눈 굴절이상도의 구면성분 ( -3.40:t1.73) 및 등가구변도( -3.65:tl.83D) 사이에서 직경 변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처방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과 눈 굴절이상도의 구면성분 사이에서 높은 상관성 이 나타났고 (9.3 mm: r = 0.970, 9.0 mm: r = 0.973 및 8.7 mm: r = 0.971), 등가 구면도와도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9.3 mm: r = 0.957, 9.0 mm: r = 0.965 및 8.7mm: r = 0.96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피팅상태에서 각막곡률과 베이스커브의 관 계, 안경교정도수와 콘택트렌즈 교정도수의 관계로부터 계산피팅법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여, 실무에서 피팅이 용이한 구변 RGP 렌즈를 개발하고 적합한 피팅상태를 얻 기 위해 렌즈의 여러 가지 변수를 변화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얻 고자한다.
        4,000원
        4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에서는 안질환이 없는 남녀 130명(남자 63명, 여자 67 명)을 대상으로 누진 렌즈 처방이 가능한 40세 이상의 환자를 굴절이상도와 근용 가입도를 측정하여 연령 별 · 직업별 누진굴절력 렌즈 안경의 착용 적응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굴절 상태 분포는 정시자 35 명 (26.9%) , 근시자 28명 (21.5%) , 원시자 33 명 (25.4%), 혼합난시 30명 (23.1%), 기 타 4 명 (3 .1%)으로 나타났으며 , 근용 가입 도의 분포를 보면 +1.00D 미 만이 4명 (3.1%), +1.00-+ 1.50D는 44병 (33.8%), +1.75-+2.25D가 42명 (32.3%), +2.50- +3.00D는 40 명 (30.8%) 으로 조사되 었다. 누진 렌즈를 처 방받은 환자들의 착용 적 응도 조사결과는 10 일 미 만이 32 명 (24.6%), 10-20 일 미만이 52 명 (40.0%) , 20-30 일 미만이 23 명(17.7%) , 30-40 일 미만이 15명 (11.5%) 그리 고 적 응실 패 는 8명 (6.2%)으로 나타났다. 직 업 별 착용 적 응도는 20 일 미 만까지 목사 100.0%, 교육직 78.6%, 예술가 85.7%, 사무직 64.6%, 주부 48.5%로 조사 되었으며 적응실패자도 6.2%로 나타났다
        4,300원
        4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굴절이상은 흐린 시력과 안정피로를 유발하는 일반적인 원인이 된다. 근시, 원시 및 난시에 대한 다양한 검사볍이 보고 되어 왔으나 국내에는 양안굴절검사와 단안굴 절검사에 대한 비교 연구가 없었다. 115명의 외 래 환자를 대상으로 단안굴절검사와 양안굴절검사를 실시하여 두 가지 검사 값을 비교하였다. 양안굴절검사는 원거리 시 표를 이용하여 ]CC 검사와 HIC 검사를 경사각 10。의 조건에서 실시하여 구면 및 원 주굴절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양안굴절검사에서 구변굴절력과 원주굴절력 모 두 감소하였으며, 구변굴절력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p> 0.05), 원주굴절력의 변 화는 0.13 :t0.33D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 < 0.01), 특히 직난시안에서 상 · 하 안검열 의 크기에 따라 원주굴절력의 변화량이 부적 (negative) 상관관계가 있었다 (p < 0.01). 원주축의 변화량에서 내회선편위는 최대 75。까지 변화가 있었으며, 외회선편위는 최 대 25。범위의 분포를 보였고 전체 환자의 평균 회선편위량과 회선편위방향은 O.ll:t 7.60。내회선편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 · 하 안검의 폭이 작을수록 전체난시는 직난시의 경향이 있었으며, 경사각이 설정된 상태에서의 양안굴절검사 후 원주굴절력 의 변화량이 높게 나타나는 부적 (negative)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단안굴절검 사 후 양안굴절검사에서 구면 원주굴절력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 구 면 원주굴절력 변화에서 원주굴절력의 변화는 얀검열의 폭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았 다. 그러므로 좀더 실질적 시생활과 비슷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양안시 상태를 유지하 게 해주는 경사각이 설정된 양안굴절검사가 단안굴절검사보다 더 적절한 것으로 판 단된다.
        4,800원
        4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력보정용 안경렌즈(이하 안경렌즈)의 전면 혹은 후면에서 수평 · 수직간 변 굴절 력의 오차가 크면 안경렌즈 왜곡에 의한 프리즘의 발생으로 흔뜰림, 어지러융, 안정 피로, 상이 흐려 보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근시용 O.OOD - -4.00D 의 플 라스티안경렌즈의 경우 전면 또는 후면의 수평 · 수직간 변 굴절력 차이를 보이는 제 품이 유통되고 있다. NK-55(nct = 1.55), MR-8(nct = 1.66) 소재의 플라스틱 안경 렌즈를 의 제품을 대상으로 광학적 중심 점에서의 중심두께와 안경 렌즈 평 · 수직 면 굴절력갈 측정하여 제조사별, 소재별, 굴절력 값에 면 굴절력 값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생산하는 3 개 회사 전면 및 후변의 수 따른 수평 · 수직간 분석결과 MR• 8 소재가 NK-55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나타났으며, 굴칠 력이 높아질수록 중심두께는 앓게 제조되었다. 특히 NK← 55는 O.OOD - -1.00D, MR• 8 은 O.OOD - -1.50D 사이의 굴절력에서 상대적으로 중심두께의 증가를 보였다. 제조사 별로 굴절력의 차이를 분석하면 전면굴절럭에서 A사는 547ß (60.0%), B사는 41 개 (45.6%), C 사는 607ß (66.7%) 의 저l 품이 수평 · 수직간에 굴절력의 차이를 보였으며, 후 면 면 굴절력에서 A 싸는 687ß (75,6%), B사는 63 개 (70.0%) , C사는 70 개 (77.8%) 의 제 품이 굴절략의 차이룹 보였다. 소재별로 분석하면 NK-55 소재는 전면 면 굴절력에 서 747ß (54.8%), 후면 변 굴절력에서는 90 개 (66.7%) 의 제품이 굴절력의 이상이 나타 났으며 MR-8 소재는 전면굴절력에서 81 개 (60.0%) , 후면굴절력에서 1117ß (82.2%) 의 제품이 굴절력의 이상이 나타났다 굴절력에 따른 차이를 보면 전면굴절력에서 O.l5D 이상의 큰 차이를 보이는 굴절력의 범위는 O.OOD - -0.50D 의 낮은 굴절력에서만 나타 나는 반면에 후면굴침!력에서는 O.OOD - -0.50D 와 - 1.25D - - l.75D 그리고 -2.00D 의 넓 은 범위에서 나타났다.
        4,200원
        47.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ns의 굴절력은 구변반사체의 광반사 이미지률 이용하여 측정 할 수 있다. 렌즈 에서 반사 이미지는 렌즈의 전 • 후 면에서 나타나며, 상의 모양과 크기에 의해 렌즈 의 종류를 알 수 었다. 원형의 광원에서 반사 이미지 형태는 전 • 후변의 상이 겹치면 펑면 렌즈, 원이 두 개이연 구면 렌즈, 원과 타원이 겹치면 왼주 렌즈, 원과 타원이 겹치지 않으면 토릭렌즈, 3 개의 반사 이미지이면 2중 초점 렌즈가 된다. 전 • 후 변의 반사 이미지의 간격이 bl과 bz 일 때 렌즈의 굴절력은 D= 객二1. . {으二효-으二효 1 2S \ R R J 이다. 여기서 S는 광원에서 렌즈 사이 거리이고, a는 광원의 직경 크기이다, 구면반 사체의 광반사 이미지률 이용하여 구면렌즈, 원주렌즈, 토릭렌즈, 평면렌즈, 2중 초점 렌즈, 누진렌즈 둥올 쉽게 가시화 하여 렌즈의 굴절력올 측정 할 수 있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