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xicity of seven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which have been used in the domestic market were evaluated on honeybee (Apis mellifera) and asian multicolored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Three EFAMs made from plant extract agents (Wangjoongwang Eco, Bogum Eco and Bestop Eco) and four EFAMs made from microbial utilizing agents (Worldstar Eco, Goodmorning, Bluechip and Cameleon) were investigated as EFAMs. In evaluation of toxicity on honeybee, the RT25 values of 3 EFAMs made from plant extract agents ranged from 1 to 3 days. Therefore, honeybee should be released 1-3 days after application of these EFAMs. Meanwhile, the four agricultural materials made from microbial utilizing agents did not show any mortality against honeybee. In evaluating the toxicity to adult and larva ladybird beetles, all seven EFAMs made from plant extract agents and microbial utilizing agents to show any mortality.
        4,000원
        4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surveyed the effects by pollinating activity of Apis mellifera and Bombus terrestris released in the paprika vinyl-houses. The foraging activity and behaviour of A. mellifera and B. terrestris visited on the paprika flowers were nearly alike. The pick times of pollinating activity by A. mellifera and B. terrestris were showed the hightest at 11:00 and 15:00, and 09:00 to 11:00, respectively. The rate of fruit set by A. mellifera and B. terrestris released for pollinating paprika were same level with 94%, and these rate were higher than the fruit setting rate which was 92% by fan operated. The qualities of paprika produced by pollinators released were higher than those by fan operated. And weight per fruit, number of seeds per fruit and economical profit per 2,310 ㎡ were over 10% higher than those by fan operated. Therefore the economical effects by the pollinating activities of A. mellifera and B. terrestris released in the paprika vinyl-houses were obviously demonstrated.
        4,000원
        4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두에서 꿀벌의 활동은 온도 13℃ 이상으로 상승하고 조도 그리고 자외선량이 증가하는 오전 10:00부터 14:00사이에 주로 활동하며, 활동정점은 14:00경이었다. 서양뒤영벌은 보다 이른 시간인 오전 08:00부터 활발하게 활동하여 10:00경에 활동정점에 도달하였으며, 18:00까지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머리뿔가위벌은 온도가 17℃정도에서 활동정점에 도달하였고, 온도와 조도 자외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꿀벌의 방화시간은 화밀채집봉과 화분채집봉 그리고 화밀과 화분 동시 채집봉이 각각 3.6초와 2.2초 그리고 5.6초로서 차이가 뚜렷하였으나, 서양뒤영벌은 2.8초로서 꿀벌의 화분채집봉 2.2초와 같았으며, 머리뿔가위벌은 3.6초로서 꿀벌의 화밀채집봉 3.6초와 같았다. 착과율은 꿀벌과 서양뒤영벌 그리고 머리뿔가위벌방사구가 각각 10.4%, 9.9%, 10.1%로서 동일한 수준이었고, 자연수분구 7.8%보다는 2.1~2.6% 높았다. 그러나 무처리구는 전혀 착과가 되지 않았다. 자두의 과중과 과폭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과장은 자연수분구가 화분매개곤충방사구보다 긴 편이었다. 당도와 산도는 자연수분구가 화분매개곤충방사구보다 높았고, 경도는 서양뒤영벌방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편이었다. 과일의 색상 중에 밝기, 적색도와 노란색도는 각각 56~59nm, -0.75~2.06nm 그리고 35.64~36.69nm로서 적색도보다는 황색도가 높은 편이었다. 10a당 생산물의 경제적 이익은 꿀벌방사구와 머리뿔가위벌방사구가 자연수분구 보다 1%와 3% 많았으나, 서양뒤영벌방사구는 자연수분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화분매개곤충을 방사할 경우 자연수분구보다 착과율이 높았고, 10a당 이익이 약간 발생하였다.
        4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꿀벌을 비롯한 화분매개 곤충의 농업과 자연생태계에 기여하는 공익적 가치는 꿀벌이 생산하는 일차생산물의 약 140여 배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 과수 생산 농민들의 고령화로 인한 적화 및 적과에 대한 노동력 부담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적화 및 적과의 생력화 방안으로 화학적 적화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석회유황합제는 이의 중요한 대안이다. 이에 사과원 화분매개 곤충 중 꿀벌에 대한 석회유황합제의 실내 독성 평가와,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 처리 전후 화분매개 곤충 밀도 및 곤충상 조사를 통해 석회유황합제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석회유황합제 처리에 의한 꿀벌 실내 독성은 3가지 조합의 lime sulfur를 이용하여 처리 후 3시간, 12시간, 24시간에 평가된 사망률은 추천 농도를 포함한 대부분 농도에서 미국환경청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 25%미만으로 꿀벌에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의 처리 전후 방화곤충의 밀도를 육안 조사한 결과 처리 전 꿀벌의 밀도는 0.18마리였으며, 처리 후 밀도는 0.34마리로 나타났다. 꿀벌과의 다른 종들은 처리 전 육안 조사가 되지 않았으나, 처리 후의 밀도가 0.05마리였다. 트랩을 이용한 방화곤충상 조사에서 주요 벌목 곤충은 처리 전후 밀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리목의 꽃파리과는 처리 이후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또한 트랩에 포획된 방화곤충은 총 6목, 40과, 635개체이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는 꿀벌 및 화분매개 곤충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4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velop economical artificial diets of the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L.). Diets were mixed with malt or sugar instead of whole honey for cheaper ones. Fecundity, developmental period, pupation rate, emergence rate and adult longevity of G. mellonella depending on diet were examined. The head width and length of larva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s tested. However, the weight of larva was the heaviest, 255.5 ㎎, at 1/2 honey + 1/2 malt diet and lightest, 144.3 ㎎, at sugar diet. The weight of pupa was also the heaviest at 1/2 honey + 1/2 malt representing 196.7 ㎎. Larval period was the shortest at honey diet as 30.9 days but the longest at sugar diet as 36.5 days. Pupation and emergence rates were over 79.3% at all diets. The longevity of mated females was ranged from 6.3 to 8.0 days and those of mated males ranged from 7.9 to 11.2 days. The highest number of eggs, 1269, was obtained at sugar diet. Artificial diets replaced by rice bran, malt, and sucrose reduced costs compared with wheat bran plus honey diet. The cost of rice bran was only 10% of wheat bran. Honey was much more expensive than malt and sugar, that is 6 and 13 times, respectively.
        4,000원
        48.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벌 2종 Apis mellifera L.(서양종)와 Apis cerana F.(동양종)일벌의 안테나, 다리 그리고 날개의 표피 탄화수소를 용매추출을 거치지 않고 직접 GC와 GC/MS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동양종과 서양종 일벌의 세 부위에서 nC22, nC23, nC25-nC3O, nC32 그리고 nC34와 같은 포화탄화수소를 검출하였고 nC24의 경우는 어느 종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포화탄화수소 중 nC26(23.0-42.6%)과 nC28(16.8-54.8%)의 함량비율이 높았고 나머지 포화탄화수소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서양종 일벌의 경우, 안테나, 날개 그리고 다리 부위에서 분석한 표피탄화수소 중 nC30, nC32 그리고 nC34가 항상 높은 함량비율로, nC25가 낮은 함량비율로 검출됨으로써 동양종 일벌과 구별할 수 있었다.
        4,000원
        52.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한국산 애꽃벌과에 대한 분류 연구 중 2001년도에 채집된 표본 중에서 Larandrena 아속의 Andrena fukuiana Hirashima et Haneda와 Euandrena 아속의 Andrena luridiloma Strand 두 종이 새로 분류 동정되어 이에 보고한다.
        3,000원
        56.
        199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관련 연구소 및 대학 등에 소장된 표본과 일부 북한산 표본 등을 대상으로 분류동정한 결과 총 17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Bombus (Tricornibombus) atripes는 한반도에서 처음 기록하며 B. (Thoracobombus) humilis subbaicalensis Vogt는 남한에서 처음으로 기록한다. 이들을 포함한 한반도산 7 아속 21종에 대한 검색표와 채집기록, 각 종의 기주 개화식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6,300원
        57.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벌부채명나방 종령유충의 whole body에서 gel filtration 방법으로 유약호르몬 결합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column chromatography법과 전기영동법에 의해 등가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합단백질은 전기 영동법에 의해 32K, gel filtration 에 의해 28K의 상대적 분자량을 나타냈다. 또한, JH III에 대한 해리도는 3.9M로 확인되었다.
        4,000원
        58.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벌의 수분작용이 콩 품종별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1991년까지 2년간 경북농촌진흥원 망사하우스에서 단엽콩, 무한콩, 황금콩, 밀양콩, 팔달콩 및 단경콩의 6개품종을 공시하여 꿀벌을 방사처리 하여 조사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콩꽃에 대한 꿀벌의 방화회수는 노지포장에 비해 방사구에서 58% 많았으며 시간별로는 노지포장, 방사구 모두 오전 10시에 가장 많았다. 주당협수 및 결협율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가 증가 되었는데, 팔달콩과 단경콩과 무한콩은 3립협 비율이, 황금콩과 밀양콩은 1립협 비율이 증가 되었으나 팔달콩과 단경콩은 3립협 비율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2립협 비율은 품종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콩수량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가 0~12% 증수되었는데, 특히 팔달콩과 단경콩은 꿀벌 방사에 의한 중수효과가 컸었다. 콩 hybrid주 비율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에서 증가되었는데 팔달콩과 단경콩에서 hybrid주 비율이 높았다. 콩 개화기간과 hybrid주 비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4,000원
        59.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재래꿀벌(Apis cerana)의 일벌을 대상으로 춘계 11지역 및 하계 12지역 개체군을 선발하였으며, 총 47개 정량형질에 대해 지역별로 판별분석을 실시 하였고, 또한 양 계절간 변이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비교에서는 춘계 91.67%, 하계 88.44%의 평균분리율을 보였으며, 양계절간 비교에서는 97.58%로 나타났다. 반면에 양계절을 통합한 비교에서는 70.16%로 낮았다.
        4,000원
        60.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재래꿀벌(Apis cerana)의 일벌(worker)을 대상으로 춘계 15지역 및 하계 16지역 개체군을 선택하였으며, 총 47개 정량형질에 대해 계절 및 개체군별로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계절별 및 개체군별 분리도는 모든 비교방법에서 매우 뚜렷하였다. 특히, 전체 47형질 중 앞다리 경절 길이(FTL)가 분리 기여도가 가장 큰 형질로 나타났다.
        4,3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