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4

        45.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commuting time is changing due to the changes in working style and hours. Thus, if the operating hours of parttime bus-only lanes, which are being implemented to increase on-time reliability, do not reflect the rush hour due to the changes in the commuting form, the effectiveness of part-time buses de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unctuality of the bus, we would like to improve the operation time of part-time bus-only lanes by reflecting the rush hou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ommuting times. METHODS : Peak time was analyzed by surveying traffic volume, speed, and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in the curb bus lane operation section of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improvement effect was analyzed based on the passing speed ratio of general vehicles and buses when the implementation time of the dedicated vehicles was improved. RESULTS : The curb bus lane operation time in Daejeon was 40 min shorter than the average operating time of 2 h and 40 min in other major cities. Based on a 2 h analysis, the minimum speed occurrence time was 17:30 to 19:30, the maximum traffic occurrence time was 17:00 to 19:00, and the maximum number of passengers was during 17:00 to 19:0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time of the afternoon bus-only lanes. CONCLUSIONS : By reflecting the analyzed peak hours, the operating hours of the afternoon lane are improved from 18:00~20:00 to 17:00~19:30.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edicated vehicles, the traffic speed of the buses and general vehicles is 1.8 (general/bus), It was analyzed that the traffic speed of general vehicles and buses after implementation was reduced to 1.5 (general/bus), thus improving the operation time in terms of the purpose and effectiveness of bus-only lanes.
        4,200원
        47.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mart hardware-in-the-loop systems (SMART-HILS) that evaluate traffic signal operations of a new real-time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called SMART SIGNAL at the traffic management center (TMC) level. METHODS: The layouts of the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of the SMART-HILS were introduced in this study and its performance was tested using real-time traffic signal operation algorithms embedded in the SMART SIGNAL control server by utilizing the VISSIM simulation model. In this study, the SMART-HILS management software was developed using .NET programming language. Fewer random seed numbers were used for the test scenarios by conducting statistical tests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a longer time due to the adoption of the simulation time as the real-time by the TMC server. RESULTS : It was determined that SMART-HILS can communicate with TMC and VISSIM for both upload and download directions within acceptable time constraints and evaluate new design algorithms for traffic signal timing. CONCLUSIONS : In practice, traffic engineers can utilize SMART-HILS for testing the traffic signal operation alternatives before their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This application could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raffic signal operation.
        4,000원
        5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일본 등 외국에서는 특별히 금지된 장소 이외에는 차량 운전자가 “보행자나 다른 차량의 정상적인 교통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고 판단하 는 경우”도로의 중앙을 넘어 우회전·좌회전 또는 회전(유턴)할 수 있 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1984년 당시,“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회전은 원칙적으로 교통 신호에 따라서만 가능하도록 하고, 원활한“교통소통”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관할 지방경찰청장이 특별히 허용한 장소 에서만 제한적으로 좌회전을 허용하는 방식의‘비보호 좌회전’이라는 독특 한 제도를 도입하였다. 원래‘비보호’란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의미이며, ‘비보호 좌회 전’은 도로의 중앙을 넘어 반대방면으로 진입하는 운전 행위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로교통법령에‘비보호 좌회전’하다가 교통 사고가 발생하면 좌회전 차량 운전자에게“신호위반”의 책임을 지고 무거운 처벌을 받도록 규정함으로써 평상시 경각심을 가지고 조심스럽게 운전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그런데 2008년경부터 경찰청은‘비보호 좌회전’과‘유턴’확대,‘비보호 겸용 좌회전’ 신설 등 주로“교통소통”위주의 시책을 적극 추진하였다. 그 과정에서“적신호시, 좌회전시 등”기존의 보조표지를 제거한‘유턴’허 용 지점이 많아졌고, 그 결과 교통사고가 빈발하자, 일부 지역에서는 기존의 보조표지를 제거한‘유턴’허용지점에 현행법상 아무런 근거도 없는‘비보 호’라는 새로운 내용의 보조표지를 부착하는 등 현재‘비보호’는 관련법 규정과 실제 운용 실태 간에 상당한 괴리와 혼동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2010년 8월에는 ‘비보호 좌회전’하다가 교통사고를 야기 한 운전자에게는 “신호위반”의 무거운 책임을 지도록 했던 기존의 근거 규정 도 삭제되었다. 그 결과 녹색 신호에 정상 진행하다가 반대방향 도로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비보호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당한 피해 운전자 입장에서 는 가해 운전자가 종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현행 「교통사고처리특례 법」상 불기소로 가볍게 처리됨으로써 그에 따른 불만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통사고 발생 시, 당사자 간 여러 가지 중대한 책임과 의무를 초래하게 되는 법상 ‘비보호’관련 규정을 다음과 같이 시급히 정비 ․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비보호’및 ‘유턴’의 개념을 법 제2조에 신설하고, 관련 규정을 개정․보완해야 한다. 둘째, 이미 활용되고 있는 ‘비보호 유턴’을 현실화하고, 그 근거 규정을 신설하여야 한다. 셋째, ‘비보호 좌회전 및 유턴’통행하는 차마 운전자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비보호 좌회전 및 유턴’의 법적근거와 사고 야기에 따른 처벌규 정을 신설해야 한다. 다섯째, ‘비보호 유턴’관련 안전표지 및 노면표시를 신설하고, 비보호 허용지점 전방에는 ‘예고 노면표시’를 설치 ․ 운용해야 한다.
        53.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We studied the signal operation method with a focus on swift evacuation of people from disaster-affected urban areas. METHODS: We selected Yeouido, which is at a high risk of being affected by natural disasters, as the urban area in our study. The analysis time for the Yeouido network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of six hours each, based on the traffic characteristics. The disaster scenarios were divided into small-scale and large-scale, and the analysis time and the disaster scale were set as the variables. RESULTS: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vacuation efficiencies were similar in the cases of entry control and increasing the green light duration for the main direction. However, the most effective approach is to apply entry control in case of disasters occurring at dawn and in the evening, with relatively low traffic volume. The most effective method is to increase the green light duration for the main direction of the main line in the time zone. CONCLUSIONS: As the scale of the disaster and the traffic volume increase, there is a limit on the extent to which the evacuation time could be reduced through signal operation. Therefore, signal control is most effective when the traffic volume is low and the disaster scale is small.
        4,500원
        54.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학 교양교육에서 한문 교과목은 유의미한 가치를 수반하며 광범위한 영역에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지 못하고 기존의 방법만을 고수한다면 결국 존폐의 위기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에 본고는 서강대학교 교양 한문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분석을 토대로 효과적인 교수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자칫 개별 학교의 사례로만 인식될 가능성이 있으나, 우리 대학 교양교육의 전반전인 문제로 확대되기에 충분하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으리라 본다. 먼저 우리는 지금의 대학 현장에서 학생들의 기본적인 한문 실력의 부재를 인정하고 그 학생들 간의 편차 또한 심화되고 있는 현상을 직시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유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과과정의 편재 역시 시급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논의의 결과, 외국어로서의 한문 교육이 교강사가 주도하는 획일적인 교수법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와 동기부여를 이끌어내는 '활동' 중심의 수업으로 이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반영한 수준별 수업 모델을 제안하고, 여기에 부합하는 교양 한문 교재의 필요성과 학생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내는 수업 방법 등의 방안을 살펴보았다.
        5,700원
        5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mendments to the Act on Financial Support to introduce and operate intercity buses with wheelchair lift. METHODS : The existing Act concerning required item(Vehicle modification, Terminal modification, Operating Losses) for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intercity buses with wheelchair lift is reviewed, a revision of the Act is prepared for the insufficient part. RESULTS : In order to introduce intercity buses with wheelchair lifts, vehicle modifications and terminal modifications are required. If a wheelchair user rides an intercity bus equipped with a wheelchair lift, seat losses are also generated. (The space occupied by one wheelchair is equivalent to six regular intercity bus seats or three superior bus seats.) Under the existing Act, financial support for vehicle modification is possible but financial support for terminal modification and operating losses is impossible. When proposing an intercity bus with wheelchair lift, there is evidence of financial support but there is no representation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are ratio.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share ratio fo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ith regard to the cost of vehicle modifications. It also proposes a legal basis for financial support for terminal modifications and operating losses.
        4,000원
        57.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장애인직업재활을 통한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구현하기 위해 우리나라 장애 인직업재활의 운영현황 분석 물론 에덴복지재단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발전과정 상에서 드러난 역할이 우 리나라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발전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 그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노정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우리나라 직업재활시설의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직업재활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우리나라 장애인직업재활에 관한 국내외 통계관련 문헌과 사업실적과 현황의 평가결 과를 알아보기 위해 에덴복지재단의 전문 인력, 사무국장, 기관장 등을 대상으로 전문 인력의 의견수렴을 직접 개별 면접조사와 물론 전문가에 대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장애인직업재활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이 되는 에덴복지재단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현황의 분석한 결과, 판로확보의 문제, 역할의 단순화, 작업직종 선택의 문제, 전문종사인력 부족, 시설 및 설비 부족, 근로장애인 선정의 문제, 재정적 지원 부족, 최저임금 문제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건전한 복지경영에 따른 판로확보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관수품의 우선발주제도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 확대 로 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 임금보전에 도움이 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직업 재활시설과의 연계역할을 의무화해야 할 필요한 시점이다.
        5,700원
        5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정행정조직의 발전방향을 제고하기 위해 유관기관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정행정조직과 유관기관은 상호 호혜적인 자원체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직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조직이론에 대해 검토 하였다. 또한 교정행정조직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유관기관들의 현황, 설립 목적, 운영 방식, 기관의 특징, 기관 보유 자원 등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정행정조직과 유관기관간의 업무활성화를 위해 조직 간 상호협력 메카니즘에 기반 한 의사소통과 자원에 대해 초점을 두고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유관기관 유형 구분의 기준과 교정행정기관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유관기관의 세부적인 역할 분류, 지정 대상 및 목적을 보다 명확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교정행정조직의 구체적 서비스 전달 체계 모형의 개발은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업무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교정행정의 효율성 증가와 다양한 위기상황 대처에 관한 대응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6,900원
        6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provide some guidance and information for improving curricula at Korean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curricula of American departments of German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and explanations of the website were mainly used. Prior to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Germanistik was briefly descreibed. It was difficult to find cases in which the concept of the desirable learner, the purpose of the department, the goal of the curriculum, and learning outcomes were illustrated by the Korean Department of Germanistik. In contrast, these elements were usually described in the American departments. According to an example university, the department has developed the curriculum by which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can be integrated. In another example, the department offered the learners the opportunity to study in the various fields. The last case was an example of how learners can connect their majors to those of another faculty or department. The contents and materials presented here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 and new development of the curricula at the Korean universities. The departments of Germanistik in Korea have to redesign the curricula so that learners can acquire different skills needed for their future life. To do so, we should above all take into account the concept of the desirable learner, the pedagogical purpose, and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departments and then provide the learners with a variety of chances to participate in developing a range of capacities. If it succeeds, one can assert the existence value of the department more convincingly.
        5,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