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41.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추.동계에 추자도 주변해역에서 풍어를 보이는 해는 추자도 주변 및 제주해협과 한국남해연안역에 15.0~l8.0℃의 고온수가 분포하고 이들 고온수의 등온선 간격이 넓을 때이며, 흉어를 보인 해는 추자도 주변 및 제주해협과 한국남해연안역에 11.0~l4.0℃의 저온수가 넓게 분포하여 황해남동부 및 한국남해연안역으로부터 15.0~l8.0℃의 고온수가 추자도 주변해역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해이다. 2. 마라도 주변해역에서 추.동계 풍어가 나타나는 해는 마라도 주변해역이 황해남동부 및 한국남해로부터 15.0~l9.0℃의 고온로 연결되어 있어 황해남동부 및 한국남해로부터 방어가 마라도 주변해역까지 이동하기 알맞은 수온분포를 하고 있을 때이고, 흉어가 나타나는 해는 제주해협에 14.0℃ 이하의 저온수가 넓게 분포하여 황해남동부 및 한국남해로부터 마라도 주변해역까지 15.0~l9.0℃의 고온수가 연결되지 않거나 한국남해로부터 15.0~l9.0℃의 고온수가 제주해협과는 연결되지만 마라도 주변해역은 21.0 ℃이상의 외양수 영향을 받고 있어 한국남해연안역으로부터 마라도 주변해역으로 방어군이 이동하기 어려운 수온분포를 하고 있을 때이다. 3. 추자도 주변해역에 14.0℃이하의 저온수가 분포하여 추자도 주변어장은 흉어가 나타나더라도 한국남해연안역으로부터 15.0~l9.0℃의 고온수가 제주도의 동.서쪽 연안을 통하여 마라도 주변해역과 연결될 때는 마라도 어장에 풍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마라도 주변해역의 추.동계어장은 한국남동부 및 한국남해로부터 월동장 내지는 산란장으로 남하하는 방어군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4. 추자도 및 마라도 주변해역의 추.동계 방어 어장의 풍흉은 제주도 주변 해역의 수온분포에 의해 크게 좌우되지만 염분분포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같다. 5. 마라도 주변해역의 추.동계 방어채낚기어장은 한국연안역으로부터 월동장 내지 산란장으로 남하하는 방어어군이 마라도 주변에 나타나는 연안계수와 외양계수(대마난류) 간에 형성되는 수온.염분전선, 섬주변의 소규모 와, 강한조류 및 지형적 특성(불규칙한 해저지형 및 고립도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왕성한 수평 및 연직 혼합 등과 같은 어장학적 호조건에 의해 마라도 주변에 체류하게 되고, 이들 체류어군은 조류방향에 따라 섬의 조상 측에 농밀군을 형성하는 섬의 조상측 어장이다.
        4,900원
        42.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에는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망선 120 톤 (총톤수) 급이 사용하고 있는 고등어 선망을 기준 스케일로 하고 그 축척비를 1/200 로 정하여 제작한 선망 모형을 이용했다. 그물실의 직경 (d : 0.45mm) 과 그물코의 발 길이 ( l : 4.5∼7.7 mm)의 비율 (d/l : 0.105∼0.058)이 다르고, 그 이외재료, 그물실의 굵기 등이 모두 같은 6종류의 무결절 그물감 (PES 28 tex ×2×2)을 사용해서 선망의 모형 I, II, III, IV, V 및 Ⅵ 형 그물을 만들었는데 뜸줄의 길이는 450 cm, 그물의 폭은 85 cm였다. 그리고 뜸 160g과 발돌 50g 을 부착해서 그물을 완성했다. 회류 수조의 수로 상에 투망 장치 및 짐줄 체결장치를 설치해서 정지 상태의 수중에 선망 그물을 투망한 후 짐줄을 체결하면서 상방과 전방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그물의 운동상태를 촬영 녹화했다. 그리고, 용적변화에 대해서는 재생화면에서 그물에 표시한 측정점의 좌표를 화상해석 장치로 읽고 실험값을 구했으며, 장력변화에 대해서는 짐줄 체결장치에 부착된 로오드셀로 측정하고 저장된 자료를 사용하여 해석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짐줄체결중 선망의 용적은 d/l 가 가장 작은 Ⅵ형 그물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V, IV, III, II 및 I 형 순으로 작은 경향을 보였으며, 짐줄의 장력은 작게 나타났다. 2. 짐줄 체결시의 그물내부의 용적변화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CVt= 1- EXP [2.79(d/l)+0.35t-33.37 (d/l)+0.57] 3. 짐줄 체결시의 짐줄의 장력변화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T=EXP .57t + 13.36 (d/l)+2.97
        4,000원
        43.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fish in the Cheju southeastern area was studied by the combined hydroacoustic and bottom trawl surveys in April 1994 and in July 1995, respectively. The main purpose of these investigations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is management and the biomass estima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demersal fish stocks in this area. The hydroacoustic surveys were performed by using a 50 kHz scientific echo sounder system with a microcomputer-based echo integrator. Acoustical measurements of fish abundance and distribution were conducted along the cruise tracks of research vessel and during all trawl hauls by continuous echo sounding. The average weight-normalized target strength for demersal fish aggregations wa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for the depth strata of trawl hauls and the weight per cubic meter of trawl catch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ish stocks in the 1994 survey area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condition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the 1994 and 1995 survey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SV〉, dB) for the depth strata of trawl hauls and the weight (W, kg/m3) per cubic meter of trawl catches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V〉 = - 32.8+ lOlog(W) The average weighted-target strength value at 50 kHz derived from this equation was .. 32.8 dB/kg. 2. In 1994 and 1995, both survey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fish abundance toward the southern area of the Cheju Island with high densities offish along the west coast ofth.e Tsushima Island. The highest demersal concentrations in the southern area of the CheJu Island appeared in bottom waters colder than 12℃.. . 3. From the results of combined bottom trawl and hydroacoustic surveys, the estunated fish densitie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Cheju Island were 1.5488 x 10-4kg/m3 in the 1994 surveyand 1.9498 x 10-4kg/m3 in the 1995 survey, respectively.
        4,000원
        44.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bined hydroacoustic and bottom trawl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Cheju southeastern area by the training ship "KAYA" belong to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July 1995 and the traning ship "NAGASAKI MARl]" belong to Nagasaki University in April 1994, respectively. The main purpose of the investigations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and the biomass estima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demersal fish stocks in this area.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bottom trawling from 10 trawl stations randomly selected in the survey area, and the species and length compositions of trawl catches were examined. The fish school target strength for demersal fish aggregations was related to the catchability of trawl net with a 90 mm mesh codend. The most abundant species in the 1995 trawl stations were Japanese flying squid, sword tip squid and red horsehead and that of the 1994 trawl stations Japanese flying squid and blackmouth goosefish. The average weight per cubic meter of trawl catches collected by bottom trawling in the Cheju southeastern area were 1.0791×lO-4kg/m3 in the 1994 survey area and 1.3636×lO-4kg/m3 in the 1995 survey area, respectively. The catch data by cover net suggest that the efficiency of trawl net could affect the weight normalized target strength values for demersal fish aggregations. That is, the average target strength per unit of weight dropped from - 33.1 dB/kg using the total catch by codend and cover net to - 30.5 dB/kg using only the catch data by codend, and a change of2.6 dB/kg was observed.ange of2.6 dB/kg was observed.
        4,000원
        4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2~88년 사이 한국건착망 어업의 망선 48척의 어황일보에 의한 조업해구, 어종별 어획량의 자료를 이용하여 5개 해역별로 어획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해역중 제주도 연안해역(CC)은 양망회수와 어획량은 많으나 양망당어획량이 타해역보다 적으므로, 조업중 어구의 형상에 대해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층류에 의한 망형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착망의 평균 CPUE는 31.6톤인데 음 10~4월은 평균보다 높고, 음 5~9월은 낮았다. 2. 건착망 어장 5개 해역중 CC해역은 양망회수비 42.4%로서 가장 높고 CPUE는 25.7톤으로 낮았으며, 각 해역별 CPUE는 1%의 유의수준에서 차가 인정되었다. 3. 고등어 CPUE의 계절변동지수는 음 11~1월에 평균 136.3%였고, 음 5~10월에 평균 63.7%였다. 4. 저층류에 의한 역조시 선망권의 직경은 가장 짧았고, 이때 납줄에 의한 포위면적은 더욱 좁아지며 어군의 포위효율은 낮아졌다. 5. 저층류에 의한 납줄의 형상은, 순조의 경우 유향으로 장원형이 되었고, 역조의 경우 유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원형이 되면서 포위면적이 급히 축소되었으며, 망의 변형은 역조의 경우 가장 심하였다.
        4,000원
        46.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a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nutrients and chlorophyll-a have been studied around Hamduck in the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during July, 1989-July, 1990. In the surface water range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nitrate, phospate, silicate and chlorophyll-a have been 13.7-26.5℃, 28.51-34.37‰, 4.47-7.14㎖/ℓ, ND-15.42㎍-at/ℓ, ND-1.47㎍-at/ℓ, 2.33-24.1㎍-at/ℓ, and 0.02-2.24㎎/㎥, respectively. Yearly mean values of the near surface waters(0m-10m)at station 6 show high temperature, nitrate, chlorophyll-a, while the values of dissolved oxygen, phosphate, and silicate were low compared with the other stations. The vertical profiles are likely to show the possibility of upwelling in October and tidal front in July, suggesting high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round St.6. N1P ratio varies from 35 inshore to 15 offshore and from 45 in July to 15 in Ferbruary. These variation patterns are similar to those of water temperature.
        4,000원
        47.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남해역에서 정기적인 해양 관측을 실시하고 있는 국립수산진흥원의 해양관측 정선이 외해쪽에만 치중되어 있어 연안수와 외해수간의 상호관계를 상세히 규명하기 어렵고 또한 해역에 따라서는 정선간의 간격이 커 복잡한 해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6년 5월 23~25일간 부산수산대학교 실습선 402호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전선대 해역(제주도 동부 해역 부근)에서 자주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 수온역전 현상에 대해 DBT(Digital Momery Bathythermograph)를 사용하여 현장관측을 실시하여 보다 상세한 수온역전 구조와 그 발생 기구를 파악하고 부차적으로 이러한 수온역전 현상이 이 해역에 존재하고 있는 각 수괴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67개 정점에서 수온역전이 출현한 정점은 39개이며, 그 출현빈도는 58.20%였다. 한정점에 수온역전 출현빈도는 한 개 층이 9개로서 13.42%, 두 개 층은 14개로서 20.80%, 세 개 층은 16개로서 23.88%로 나타났다. 수온역전은 대체로 수온약층 하의 수심인 40m 이심에서 일어났고 역전 수온 범위는 14~16℃였다. 제주도 동부 해역에서 출현한 수온역전은 고온 고염의 쓰시마난류수가 저온 저염의 한국남안연안수 사이를 침투(intrusion)하여 생기는 수온역전과 저온 저염의 한국남안연안수가 고온 고염의 쓰시마난류수 사이를 침투하여 생기는 수온역전의 두 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온역전이 전선대에서 빈번히 발생함을 해양 관측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밝혔다. 그리고 앞으로도 전선대에서 수온역전의 기구를 규명하여 각 수괴의 존재를 규명하는 문제로 계속적으로 연구해야 될 과제하고 생각한다.
        4,000원
        48.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제주도와 대마도 주변해역을 중심으로 고등어와 정어리를 주어획대상으로 선단조업을 하고 있는 건착망어업의 어선의 성능, 어패의 크기, 어획성능, 조업해역별 단위노력당 어획량등을 조업어선의 톤급별로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망선의 총톤수(x)와 건착망의 면적(y)간에는 y=538.8x+99657.3의 관계가 있었다. 2. CPUE의 계절변동지수는 11~4월은 기분보다 높고, 5~10월은 낮은 현상을 나타내었다. 3. 각 해역에 있어서 톤급별 어획성능지수는 톤급별, 해역별 CPUE는 1%의 유음수준에서 차가 인정되었다. 4. 톤급별 망어패의 효율은 A와 D급선 보다 B와 C급선이 높은 현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49.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odel experiment of purse seine by the circulating water tank was carried out on the changes of net shape and the tension of purseline under operation in two layer current. In the circular tank, the two layer current was made by cutting off the current of upper layer and producing the bottom current by the equipment shown in Fig. 1. The model experiment of purse sein was made on a reduced scale 1 :400,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auti's model law. When the bottom current of O. 5 knot flows to lower part of three-eighths of net,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The depth of sinkerline reached only about 80% of that of no current set. The horizontal shift of sinker line caused by the bottom current is maximized in tight set. The enclosed area by the floatIine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set net is 61. 5% in tight set, 50. 0 % in loose set and 54. 1 % in lateral set of those in the case of no current. In the first half period of pursing, the tension of the purseline is enhenced by the bottom current and the pattern of increasing is irregular in the tension curves.
        4,000원
        5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orm surge height in the coastal area of Jeju Island was examined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POM) with a sigma coordinate system. Amongst the typhoons that had affected to Jeju Island for six years(1987 to 2003), the eight typhoons(Maemi, Rusa, Prapiroon, Olga, Yanni, Janis, Gladys and Thelma) were found to bring relatively huge damage . The storm surge height of these typhoons simulated in Jeju harbour and Seogwipo harbour corresponded relatively well with the observed value. The occurrence time of the storm surge height was different, but mostly, it was a little later than the observed time. Jeju harbour showed a higher storm surge height than Seogwipo harbour, and the storm surge height didn't exceed 1m in both of Jeju harbour and Seogwipo harbour. Maemi out of the eight typhoons showed the maximum storm surge height(77.97 cm) in Jeju harbour, and Janis showed the lowest storm surge height(5.3 cm) in Seogwipo harbour.
        5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in the coastal area of Jeju Harbor in Korea was examined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POM) with a sigma coordinate system.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well corresponded to the observed current data. The velocity at offshore was stronger compared to coastal area during the both period of in maximum flood and maximum ebb of spring tide. According to mean wind velocity, the tidal velocity at the shallow area of Jocheon was slightly increasing during maximum ebb. The effect of wind on the circulation was stronger in shallow area and showed rapid change with depth.
        53.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량X선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131개의 제주도 주변해역 표층퇴적물 시료 내에 존재하는 각 점토광물의 절대함량과 점토광물 사이의 상대함량을 구한 후 그 분포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다. 절대 함량은 각각 일라이트(0.5~40.5%, 평균 15.3%), 녹니석(0~7.9%, 평균 2.6%), 카올리나이트(0~5.6%, 평균 1%) 이며 공통적으로 한국남해, 제주도의 북서쪽 해역, 제주도 남쪽 먼 해역에서 높다. 점토광물 함량의 합을 100으로 가정하고 구한 상대함량은 각각 일라이트 70.9% (16.7~89%), 녹니석 21.5% (8.4~68.5%), 차올리나이트 7.6% (0~29.3%)이다. 상대함량을 이용하여 분포 양상을 나타낸 결과, 일라이트는 연구해역 북서쪽과 남동쪽, 그리고 제주도의 남서쪽 해역에서 다른 점토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분포한다. 녹니석은 연구해역 동쪽과 제주도 서쪽에 인접한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분포하며, 카올리나이트는 제주도 서쪽과 남쪽에 인접한 해역과 남쪽 먼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분포한다. 점토광물 절대함량 분포경향은 연구해역 내 점토에서 실트 입자의 세립질퇴적물 분포와 일치한다. 반면, 점토광물 상대함량 분포는 세립질퇴적물 분포와 관련성을 보이지 않는다.
        54.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microbial population, in ten stations at water region of coastal area of Chagwi-Do, Nutritive salts,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suspended solid, salinity, COD, DO, pH, heterotrophic bacteria, coliform group and Vibrio spp. were analysed three times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Heterotrophic bacteria in surface water was 3.5×101~1.16×103 cfu/ml, 1.0×102~5.2×101 cfu/ml, 2.0×101~7.6×101 and bottom water counted 7.0×102~1.0×103 cfu/ml, 1.4×101~2.5×102 cfu/ml, 2.0×102~4.2×101 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2005, respectively. The cell number of total coliform bacteria in the surface water amounted to 0~4.3×102 cfu/ml, 0~6.0×101 cfu/ml, 0~1.0×101 cfu/ml and bottom water amounted 0~2.2×102 cfu/ml, 0~5.4×102 cfu/ml, 0~2.0×101 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respectively. As for Vibrio spp., the cell number in the surface water was 1.0×101~2.5×102 cfu/ml, 1.0×101~2.0×101 cfu/ml, 0 cfu/㎖ and bottom water counted 1.0×101~5.2×102 cfu/ml, 0 cfu/㎖, 2.0×101 cfu/ml in September, November in 2004 and February in 2005, respectively.
        55.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를 중심으로 하여 동쪽해역과 서쪽해역 해수의 일주 변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6월 20일부터 22일 까지 각 해역 1개 정점에서 24시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연속 관측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동·서 해역의 수온은 표층에서는 거의 비슷하나 저층에서는 동쪽해역이 15.02℃, 서쪽해역이 13.8℃로 나타났으며, 염분분포는 동쪽해역 표층 33.81, 저층 34.33, 서쪽해역 33.34, 34.11로 동쪽해역이 서쪽해역 보다 고온 고염수가 분포하고 있다. 영양염류의 분포에 있어서 질산염 함량은 표층에서는 동,서해역이 거의 비슷하나 저층에서는 동쪽해역이 서쪽해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인산염 함량은 다른 영양염류와 달리 전 수층에서 동쪽해역이 서쪽해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규산염은 질산염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Chlorophyll-a는 서쪽해역이 동쪽해역 보다 2∼4배 높았다. 일주변화는 수온, 염분은 수온약층인 30m층에서 변동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pH는 수심별 변화는 거의 없고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에 의하여 주간이 야간에 비해 높았다. 영양염류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질산염과 인산염의 함량은 주간보다 야간이 높았다. 그러나 규산염은 주·야간 변화가 없었다. Cholrohpyll-a는 유광층인 30m층, 50m층에서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영양염류의 구성비인 N/P비는 동쪽해역 13, 서쪽해역 16으로 동쪽해역보다 서쪽해역이 높은 질산염을 함유한 해수가 분포하고 있다. 동·서해역 모두 플랑크톤의 광합성 활동이 활발한 주간보다 야간에 2배 정도 높았다. Si/P비는 N/P비와 달리 주·야간 및 표·저층간 차이도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질소와 인의 상관성은 동쪽해역는 유의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AOU와 질소.인의 상관성은 동쪽해역는 유의성이 좋은 정의 관계가 나타났으나, 서쪽해역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56.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rface heat balance of the northern sea of Cheju Island for summer in 1993 and 1994 is analyzed using the observation data obtained by Marine Research Institute, Cheju National University. Each flux elements at the sea surface is derived from the marine meteorological reports with application of an aerodynamical bulk method for the turbulent heat fluxes, and empirical formulae for the long-wave radiation heat fluxes. The flux divergence of oceanic heat transport and the rate of heat storage in the ocean are estimated as residual. The features of the surface heat balance are mainly decided by the solar radiation flux and the latent heat flux for 1994. But the Bowen Ratios were large for 1993. This means that the sensible heat fluxes were nearly equal to the latent heat fluxes for 1993. In this period, mean flux divergence of oceanic heat transport is about 130 W/㎡.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