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41.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상적으로 우리가 매일 경험하는 눈, 비, 바람, 기온과 같은 현상을 날씨라고 하며, 일정한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대기 현상의 평균적인 상태를 기후라고 한다. 또한 기후가 평균적 상태에 비해 유의미하게 변동하는 것을 기후변화라고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 우 외부 극한기후환경에 노출 될 경우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 최근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폭우, 폭설과 같은 극 한기후인자요소의 작용을 받아 발생 할 수 있는 동결융해에 대한 현상이다. 콘크리트의 경우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다고 손상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 동결·융해를 반복적으로 받을 경우 심각한 내구성 저하를 나타나게 되며 실제 성능저하가 된 구조물의 경우 회복하기 힘들게 된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심한 기후변화로 발생 되는 다양한 기후인자 요소 중 풍속-일조시간의 기후변화 양생조건에 대하여 양생 후 콘크리트 동 결융해 실험을 접목시켜 상대동탄성계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능중심평가 (Performance Based Evaluation (PBE))를 실시하고 대응책 을 마련하고자 한다.
        4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ven though high performance concrete was developed according to becoming bigger and higher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he rheological evaluation is not enough to use as input data to accomplish the numer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design. Consistency curves were measured by the viscometer as hydration reaction time passed. There are a sudden change of viscosity and yield stress around initial setting in case of low W/B. The increase of workability by the change of free water in cement paste was offset by the coating effect of impermeable layer in case of W/B 40%.
        4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structural integrity evaluation of the concrete pontoon structure when the boundary condition and time changes. The structural integrity evaluation is conducted through the system identification method using dynamic properties. Dynamic properties are extracted with the structures when it is located on the ground and submerged in the sea. The variation of the structural stiffness due to a certain period time is discussed.
        44.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wave drying characteristics of mixtures of chemical wastewater sludge (70~90%) and anthracite coal (10~30%) with respect to physic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mass, volume reduction, moisture content, drying rate and heating value when the wastes were dried at different weight mixing ratio and for different microwave irradiation time. The drying process were carried out in a microwave oven, the combined drying process with a 2,450 MHz frequency and 1 kW of power. Maximum dry rates per unit area on the microwave drying of mixtures with chemical wastewater sludge and anthracite coal were 35.5 kg H2O/m2·hr for Cs90-Ac10; 40.1 kg H2O/m2·hr for Cs80-Ac20 and 35.0 kg H2O/m2·hr for Cs70-Ac30. The result clearly indicated that moisture can be effectively and inexpensively removed from the wastes through use of the microwave drying process.
        45.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when we pour the concrete, doing bonding shear performance evaluation to search the influence about an adhesive interface by a generated cold joint with a retardation time. In conclusion,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 higher a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is, the higher a reduction ratio of the bonding shear strength is, and the instance of a none agitation and a compaction with 15 minutes of a retardation time are the lowest influence in a whole of the results; each of the reduction ratio of the bonding shear strength is approximately 4.5%.
        4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이상기후의 대표적인 것으로 슈퍼태풍, 극한폭설, 폭염과 같은 극한 기후현상이 초래된다. 1970년대 산업화 시대 이후 급격하게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지구 온난화이다.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의 종류로는 이산화탄소, 과불화탄소, 아산화질소, 메탄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화학성분이 존재하며 특히 이산화탄소가 약 9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콘크리트의 경우 건설재료로써 탁월한 내구성능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기반시설물 건설 재료로 70%이상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타설직후 물리·화학적으로 다양한 환경조건으로부터 성능저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는 콘크리트 알칼리도 저하에 따른 철근을 부식시키고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속, 일조시간에 관하여 양생 한 후 콘크리트의 탄산화 실험을 접목시켜 탄산화 깊이와 탄산화 속도 계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족도 확률 곡선을 통하여 성능중심평가(Performance Based Evaluation(PBE))를 수행 할 것이다.
        4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ly, a technique to subdivide the process refining is introduced, can be divided into the steel slag. In this study, Free-CaO in the electric arc furnace slag by the ethylene glycol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expansion to proceed with construction materials.
        48.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valuate the seismic safety of weir structure subjected to seismic ground motions, simple linear elastic 2D plane strain Finite Model (FE) was developed in ABAQUS platform. Also, the 1994 Northridge earthquake as a ground motion uncertainty was selected.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compressive str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e results from the design spectrum analysis bu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was reduced about 28%.
        4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공되는 레이더 강우자료는, 관측 및 분석 자료 생산에 대략 5-30분 정도의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되어, 불과 10여분에 상황이 종료되는 돌발성 호우 대응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실효적인 도시홍수 관리를 위해서는 관측자료 처리 및 분석으로 인한 지연시간 최소화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측 지연시간을 극복하여 실황에 근사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초단기 강우예측기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적용된 강우예측기법은 구동시간 최소화를 위해 입력 및 예측 프로세스를 단순하게 설계하였다. 예측장 생산을 위한 분석 자료로 이전 시간과 현재시간 기상청 합성 레이더 자료를 사용하였다. 적용한 강우예측 알고리즘은 상관기반 외삽예측기법으로, 강우장의 이류를 위한 속도장을 만들기 위하여 공간규모 필터링과 결합된 상관분석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예측모형의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기상청 MAPLE자료와 비교하여 보았다. 모형의 입력자료 구조나 복잡도 등을 고려할 때, 구동시간을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단순화된 본 모형의 예측 결과가 월등히 좋다고 예상하기는 무리일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 비교평가의 의의를 두었고, 서울지역에 강수가 집중된 4개 호우사상을 선정하여 서울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예측오차(RMSE)를 비교하여 보았다. 비교결과, 지연시간 영향범위인 30분 이내 예측의 경우 기상청 MAPLE 자료와 대응한 수준의 예측 정확도 보였고, 입력에서 예측까지의 전체 소요시간은 5분 내외로 나타났다. 따라서 레이더 자료와 본 모형을 이용하여 실무활용을 도모한다면, 관측자료 지연으로 인한 돌발성 도시홍수 실황파악 및 대응의 한계를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0.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ng effect of retardation time of secondary placement on shear bonding strength. Evaluation experiment on the shear bonding performance of UHPC(180MPa level concrete) was conducted according to retardation time and size of specimen. As a result, the smaller the size of specimen, the weaker the measured bonding performance of specimen. Also, comparing specimen which is o minute occurrence time of cold joint with specimen which is after 15 minutes, it showd 70% lesser shear bonding strength.
        5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based on developing a free-cement. The Setting time of 100% GGBS(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dmixed alkali-activators is measured, the influence of cation of alkali-activators on setting time is assessed. As a result, in case of mixing KOH or NaOH, setting time is getting shorter, although, GGBS admixed Ca(OH)2 has similar setting times regardless of concentration of alkali-activators.
        5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도교량의 구조적 안전성 및 사용성을 지속적으로 확보를 위해서는 상시적인 계측을 통하여 교량의 구조적 성능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기법은 대부분 경제성 및 적용성이 뛰어난 가속도계 측정값을 이용하여 추출한 고유진동수, 모드형상 등의 모달응답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추출과정은 동적응답의 수치해석적 후처리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구조적 성능평가 결과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교량에서 추출한 시간영역 회전각을 이용하여 산정한 변형에너지의 변화에 기반한 손상 평가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시간영역에서 측정된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산정한 구조물의 회전각에 기반하고 있어 모달응답 추출과 같은 별도의 후처리 과정이 없으며 실제 구조물에 적용이 용이하다. 제안된 이론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이용한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검토 결과 제안된 이론은 충분한 사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3.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터널 구조물을 해상 대기중 비래염분이 침투하는 터널 내벽과 해수에 항시 접촉하는 터널 외벽으로 구분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해 철근 부식 개시 확률을 예측하였다. 염해관련 변수의 변동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염소이온 확산계수, 표면 염소이온농도, 피복두께, 임계 염소이온농도를 실제 실험 및 문헌 조사를 통해 확률특성을 구하였다. 그 결과 염소이온 확산계수의 평균치는 3.77×10^(-12) ㎡/s 이었으며, 대상 부재인 터널 내벽과 외벽의 피복두께는 각각 45.5mm, 94.7mm으로 조사되었고, 임계 염소이온농도의 평균은 결합재 단위중량당 0.69%이었다. 각 변수의 확률적 특성에 근거하여 노출기간에 따른 철근위치에서의 염소이온 농도 분포를 구하였다. 재령이 증가할수록 침투 염소이온 농도의 평균값은 증가하며, 변동계수는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확률론적 염해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콘크리트 터널 내벽과 외벽에 대해 내구수명 및 부식개시 확률을 평가하였다. 염소이온 침투의 시간의존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터널 내벽과 외벽에 대해 각각 8년, 12년의 내구수명이 도출되었으나, 시간의존적 모델에서는 178년, 283년의 내구수명이 계산되어 구조물의 설계내구수명(100년)을 만족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시간의존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100년에서의 부식 개시 확률은 터널 내벽과 외벽에 대해 각각 59.5, 95.5%였으며, 시간의존성 모델에서는 2.9, 0.2%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구조물의 과다설계를 방지하고 보다 합리적인 내구수명 설계 및 평가를 위해서는 염소이온 확산의 시간의존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문헌 조사를 통해 구한 부식 발생 임계 농도를 현재 콘크리트 관련 기준에 제시한 값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5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과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역시 증가하고 있다.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에는 단시간 강우예측모델과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예측강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외국의 경우 단시간 강우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강우예측을 수행하고 이를 수문모형과 연계하여 그 적용성을 분석하거나 홍수예보의 활용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55.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철도 터널내 화재시 구조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 도심의 지하철 터널 구간은 135㎞로써 그 규모가 세계 4위 이며 대도시들의 도시철도 터널건설의 증가와 그 연장이 길어짐에 따라 터널 내 화재사고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도시철도 터널 화재에 대한 내화성능평가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시간-온도 곡선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시철도 터널의 통행량, 차량 종류 등을 고려한 열방출율을 기초로 외국에서 제시된 시간-온도 곡선을 검토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맞는 설계화재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설계화재모델에 대해 수치해석을 통하여 화재시 도시철도 터널 구조체의 온도분포를 산정하였다.
        56.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항만의 장비 및 시설 또한 대형화 추세에 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부산항, 상해항등 대형 Hub-Port의 역할을 수행하는 항만들의 항만 간 경쟁측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6만톤(5,000TEU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발주로 부산항에 기항하는 대형선박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면, 중소형 선박들의 부산항 기항횟수 또한 증가하여 2만톤 (1,500TEU~2,000TEU) 이하인 중소형 선박의 비중이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놓고 볼 때 중소형 선박의 하역시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나치게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장비 및 시설의 대형화는 높은 비용 투자로 인해 중소형 선박 작업 시 높은 하역원가가 적용되므로 중소형 선사는 하역비 부담, 운영사는 중소형 선박 기피와 같은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박크기, 크레인 규모와 수, 인력구조 등을 반영한 시간가치 비용을 산정함으로써 선박 규모별 컨테이너 1개(VAN)의 하역 비용가치를 분석하여 선박 규모별 투입 크레인과 인력구조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57.
        200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계적으로 분석된 대구지역의 PM10 오염도의 시간적 및 공간적 특성과 대조지역에서 측정된 PM10 오염도에 근거하여 대구지역의 PM10 오염에 대한 저감 방안이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대구시의 지역특성에 따른 PM10 관리의 관점에서 볼 때 대구지역의 PM10 관리는 다른 지역보다는 도로변 또는 도로변 인근지역, 그리고 공업지역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지역적으로 PM10 관리 전략을 달리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남산동, 삼덕동 및 대명동을 포함하여 도로변 또는 도로변 인근의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의 PM10으로부터 건강 위해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동차 교통 관리가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노원동과 중리동을 포함한 공업지역 또는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의 PM10으로부터 건강 위해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동차 교통 관리 보다는 공단 배출 PM10 관리가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비록 만성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평균농도는 모든 지역에서 PM10 대기환경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지만, 급성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최대 농도와 결코 낮지 않은 PM10 대기환경 기준치를 초과하는 빈도수를 고려할 때, 대구지역의 PM10 관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이 강조된다. 대구지역의 시간대 별 PM10 관리 관점에서 볼 때, 대구의 일반 주거지역의 PM10 관리는 오전 10시에서 오후 1 3시에 집중되어야 효율적인 PM10 관리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공업지역인 중리동과 노원동의 경우, 다소 이른 오전 7시부터 오후 1 2시 사이에 PM10 관리가 집중되어야 효율적인 PM10 관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상업/주거 지역인 삼덕동과 대명동 그리고 도로변 지역인 남산동의 경우, 특정 시간대가 아닌 거의 전 시간대에 걸쳐 PM10 관리해야 하고 특히 자동차 배출 PM10 관리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대구지역의 요일 별 PM10 관리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지역에 대하여 일요일과 월요일의 PM10 농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집중되는 것이 PM10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구지역의 월 별 PM10 관리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지역에서 하절기인 7월, 8월 및 9월에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동절기인 11월 2월 보다는 오히려 이른 봄인 3월에 최대 농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모든 지역에서 3월에는 특별한 PM10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근본적인 문제점인 중국의 황사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중국과의 외교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대구지역의 계절 별 PM10 관리 관점에서 볼 때, 계절적으로는 모든 지역에서 봄철에 가장 PM10 농도, 그 다음이 겨울, 가을 그리고 여름의 순으로 나타났다. 봄철의 가장 높은 PM10 농도와 여름철의 가장 낮은 PM10 농도는 앞의 월별 PM10 농도 변화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황사와 장마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여름과 가을 보다 높은 PM10 농도를 나타내는 겨울철의 경우, 난방 연료 사용의 증가로 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청정연료 사용의 확대가 권장된다. 대부분의 경우, 대조지역에서 측정된 PM10 농도가 대구의 여섯 개 대기오염측정 지점에서 측정된 PM10 농도 보다 낮게 나타났고, 일부는 일반주거지역인 만촌동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구의 PM10 측정망 중에서 만촌동이 주위 PM10 오염원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주거지역임을 함께 고려할 때 대구시의 PM10 관리목표는 만촌동의 PM10 수준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된다.
        58.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Clark의 도달시간-집수면적도륵 이용한 유역추적법에 적용되는 등시간도 작성에 있어 GIS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포형자료의 공간 모형화를 수행한 것이다. 기존의 수 작업으로 수행했던 하천종단법 및 Clark-kict법, Laurenson법, SCS법 등의 작업을 일관성 및 재현성을 높일 수 있고, GIS기법이 적용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이 공간 모형화를 수행하였다. 하천종단법 및 Clark-kict법은 벡터형태의 실제 하천망도 만을 이용하여 실제
        59.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atially distributed characteristic of longevity regions analysed using GIS tools. Fundamental factors for long life are categorized into natural conditions and artificial conditions. Degree of longevity is defined and used as a key parameter in analyzing longevity region. It is visually shown that aging areas are moving with time and variances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It is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longevity is increased with improving living quality because of improvement of economic activities and living environment. However, longevity regions of recent times have slightly reversed tendency against urban areas in the manner of moving toward areas where social and economical activities are relatively weaker.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