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

        41.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moment of sharing ratio for each component of the U shaped composite bea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yield moment is 1,129.5 kN․m and the theoretical value based on the strain gages is 1,057 kN․m with a difference of about 7%. As a result, the share ratio of the slab of reinforced concre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U shaped beam were found to be about 88%.
        4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parking in downtown area has caused severe problem due to the dramatic increase of possessing automobile in the country. A parking structure has been on the spotlight to solve the parking problem in downtown area. However, the overall height of parking structure is stipulated less than 8 m. Therefore, in this research, ‘wide composite beam’, which is possible for reducing story height and having long span, is developed and the flexural capacity of the wide composite beam is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flexural test, the flexural strength of wide composite beam increased by 20% as the thickness of steel beam increased by 3 mm (6 mm → 9 mm) The shapes of rebar (whether it is triangle or rectangular shape) in the wide composite beam did not affect its flexural strength. The flexural strength of wide composite beam without rebar decreased by 10% compared to that of wide composite beam with rebar. In addition, the neutral axis moved upward as a load increased, but the neutral axis moved downward, when the load exceeded a certain level of load.
        43.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심지 주차문제 해결에 있어 공작물 주차장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공작물 주차장은 전체 높이 8 m 이하로 건설되도록 규정 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층고 절감 및 장스팬화가 가능한 와이드 합성보를 대상으로 휨 및 전단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보강철근 (트러스 철근)은 휨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보강철근이 없는 실험체의 경우 항복강도의 70%에서 슬립이 발생하여 기계적 부착 능력이 저하되었다. 전단부착 실험결과 전단연결재가 없는 모든 실험체는 기계적 부착만으로 충분한 전단부착 성능을 가지지 못하므로, Flat Bar를 최소 2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4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method of vibration analysis for calculating the natural frequency is presented. This method is a simple but exact method of calculating natural frequencies corresponding to the modes of vibration for the cantilevered composite materials beam. As a calculations of the method of vibration analysis, it is noted that the result of the second cycle is only 2.2% away from the ‘exact’ result. In the case of cantilevered composite materials beam, increase of mass near the suppor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This method may be extended to stability analysis of complex structural elements.
        45.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UHPC 바닥판과 강재 거더를 이용하여 합성보를 구성할 때, UHPC 바닥판의 높은 강도와 강성으로 인하여 합성보 구성 시에 강재 거더의 상부 플랜지를 없앤 역T형 거더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강재 복부에 설치되는 전단연결재에 대한 거동, 역T형 강거더 합성보의 휨거동 특성 등은 실험 및 이론적으로 평가된 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UHPC 압축강도, 전단연결재 간격 및 바닥판 두께 등을 변수로 하는 역T형 거더와 UHPC바닥판 합성보 16개의 휨거동 실험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실험결과와 UHPC의 인장연화 거동을 고려한 재료모델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역해석에 의한 인장연화곡선에서 UHPC의 인장강도는 6.57 MPa(120MPa의 경우) 및 9.57 MPa(150MPa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단연결재 간격이 좁을수록 실험결과와 해석결과가 명확하게 근접하는 겻으로 나타났으며, 바닥 판 두께가 두꺼우며 UHPC 압축강도가 작을수록 동일한 경향이나, 이 영향은 다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종합 적으로 비교하면, UHPC 합성보의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는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으므로 재료 실험으로부터 산정된 인장연화곡선은 UHPC의 실제 거동을 합리적으로 반영한다고 판단된다.
        46.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weight is increased by the quantity and size of the members in large scale structures, precast column-beam joints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assembly process. This paper was presented a way to reflect the construction difficulty such as interference of rebar at the end of beam when you design rebar joints and calculation of the length of the embedded steel.
        47.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콘크리트 슬립실험으로 결정된 계면 계수값을 휨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실험의 결과예측에 적용하여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계면거동과 구속효과를 규명하였다. 원형단면의 콘크리트가 전단면압축을 받도록 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충전강관에 웨브와 플랜지를 추가한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사용하여 휨 거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가 전단면 압축을 받는 단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충전합성강관의 경우에는 구속효과에 의해 약 16%의 강도증진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단부를 폐쇄하여 구속효과가 커진 콘크리트충전 합성강관의 경우에는 35% 정도의 큰 강도증진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이러한 결과는 콘크리트 충전강관을 이용한 교량의 상부 거더나 아치리브에 대한 단면 결정에 적용되는 적용성을 갖는다.
        48.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mposite beam is efficient and easy to construction. But shear connector is needed for the composite action. This research developed SPC beam in order to reduce the shear connector with utilization of mechanical bonded force by the cross sectional shape. The flexural behavior of SPC beam was evaluated through two point loading test.
        49.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3D FE model is developed by which one can analyze the composite action in the composite beam subjected to the hogging moment.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einforcement ratio and crack behaviour of the slab are main factors which exert a strong influence on the composite action. The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design of partial interaction can be more efficient in designing of shear connection of the composite beams, are indirectly verified by the FE analysis.
        5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testing of GFRP composite beam strengthened reinforced concrete (RC) slabs with two symmetrical opening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ve strengthening method using GFRP composite beams in slabs with openings for enhancing the load-carrying capacity and stiffnes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trengthened slabs seem to increase the load-carrying capacity by 29%, 21% and 12% over that of the control specimen for diagonal, parallel and surround strengthening, respectively. Furthermore, test results showed that diagonal-strengthened system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RC slab with openings in terms of load-carrying capacity, stiffness and crack patterns.
        5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flex (PF) composite girder is one that the prestressed force are readily applied to the steel beam and concrete is then cast to the steel beam,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steel girder introduces prestressing effect to the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The major advantage of PF composite girders is to reduce the height of sec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Girder(RPF) composite girder that minimizes the amount of steel beam utilizing a temporary steel beam. The proposed RPF girder introduces the preflex effect to the full composite action between main steel beam and temporary beam. As a part of this study, finite element model has been developed and parametric studies are conduct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girder.
        5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endon loss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member is affected immediate elastic loss and time-dependent loss. For the efficient and safe pre-stressed member design, precision calculation method is required. In this paper, experimental study and comparison analysis is conducted by measuring of tendon loss. Later,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would be conduct to make an estimate method of tendon loss considering effects between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5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structural performances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 with steel pipe sleeves was verified. Steel pipe sleeves in the composite beam provide the convenience of piping and facility plans. To evaluate the flexural capacity of the composite beam, analy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our test specimens has progressed.
        5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orphous metal fibers can improve the brittleness of concrete and enhance the shear and tensile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RC) members. A series of experimental studies RC composite beams with amorphous metal fiber composites were conducted, and it was shown that the RC beam with amorphous metal fiber composites could give improved flexural responses to compare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beam.
        56.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omposite structural system which combines the advantages of reinforced concrete and steel structure is a structural system that ha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structural systems.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attention for composite structures, the researches for the composite structures are more carried out. The composite beam us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of pre-cast concrete, cast-in-place concrete, T-type steel, and reinforcing bars. The steels are only used in each ends of the beam. In this study, the reasonable steels length at the ends of the beam is analyzed by structural performance analysis for changing in the length of the steel.
        57.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cludes an analytical investigation of a composite beam consist of concrete, structural tees, and the reinforcement steel. The plastic hinge length theories are applied to this composite beam to calculate maximum deflection exactly. This composite beam can reduce the floor height compared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same internal force. To calculate maximum deflection, we used plastic hinge length suggested by Corley, Sawyer and Mattock. Later,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should be performed to find out the plastic hinge length exactly.
        58.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성능이 저하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보수․보강 공법이 요구된다. 현재 다양한 공법과 신소재를 이용한 보강법의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최근에 섬유보강 복합체(FRP)를 이용한 보강공법이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FRP-알루미늄 유공복합보로 보강된 RC보의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가력으로 손상시킨 RC보에 FRP-알루미늄 유공복합보로 보강후 화재노출시킨 결과, 손상율이 높아질수록 화재노출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보강효과가 떨어짐을 실험결과 나타났다.
        59.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퍼포본드 FRP 판을 영구 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로 이용한 합성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P 판을 영구 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의 합성이용은 재래적인 방법에서 필요한 거푸집 조립 및 탈형 등의 작업이 수반되지 않으므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FRP 판과 콘크리트가 합성 구조체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FRP 판의 표면처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FRP 판에 잔골재를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FRP 판의 웨브에 구멍을 천공하였다. 합성보에 추가적인 휨 및 전단보강은 하지 않았다. 비교를 위해 두 가지 종류의 비교 실험시편을 제작하였다. FRP 판의 웨브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은 비교 실험시편과 FRP 판 대신에 철근으로 보강한 비교 실험시편이다. 모든 시험체는 중앙에 집중하중을 재하하여 파괴까지 실험하였다. 본 연구 결과 퍼포본드 FRP 판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영구 거푸집 대용 및 인장 보강재로도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60.
        200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단계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으로 보강된 합성보의 하중재하 실험 및 구조해석을 통하여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의 프리스트레스 도입효과와 단면증가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온도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합성보의 보강공법은 온도프리스트레싱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 뿐 아니라 커버플레이트의 설치에 의한 단면증가로 합성보의 처짐 또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합성보의 효율적인 보강공법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