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41.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situation of ICT use in education in the Russian region, its reasons, and possible problems and solu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attempted purpose, analysis was done on thirteen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final presentations of 34 Russian (Sakha) trainees who attended the APEC e-Learning Training Program during 2007-2013 and Russian government project on ICT i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mentioned problem and need to the Russian education informatization was identified as a shortage of ICT equipment. The next two problems identified were the problem of the insufficiency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lack of teacher motivation in using ICT. Third, the implementation of ICT in Russian schools should become one of the important objectives of the region’s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school administration. Thus, Russian regional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responsible for education, need training to implement better polici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s of ICT use in education. Also it’s important for them to learn the best foreign experience in using ICT in Education and adapt it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culture, geographical and other regional features.
        5,500원
        4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analyze the trends in ICT in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the need for more scholarly research and dialogue done between Korea and Chile due to their similar ideals in furthering ICT in education in their respective economies. In result of this, 29 individual and team reports submitted by Chilean trainees in the APEC eLearning Trainee Program from 2006-2014 were analyzed. From this study, the results based on the reports were as follows. 1) The need for high quality teacher training programs created by the government and motivating the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se programs. 2) Implementation of mor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tudent, teacher-expert,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grams. 3) Improving students’ aptitude in utilizing ICT, especially in education. 4) Due to the majority of the trainees’ coming from the teaching profession, more research is needed to be done by other stakeholders involved in education informatization, such as government officials, learners, and professors, in order to enhance the totality of this study.
        4,000원
        43.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자력 인력의 원활한 공급과 체계적인 교육훈련은 원자력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운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이 논문은 국가적 차원의 원자력 교육훈련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구상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원자력 기관들에 대한 분석자료와 원자력 인력양성 방안에 대한 정부 문서들에 기초하여 원자력 인력과 교육훈련 체계 현황을 분석했다. 현재 한국의 원자력 교육훈련체계는 산 · 학 · 연 기관별 다양화와 분산화를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각 기관들 간의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연계와 협력은 미약한 수준에 있고,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자원 배분 중복, 그로 인한 비효율 등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거시적인 정책 구상으로 국가적 차원의 원자력 교육훈련체계 모 델과 원자력 교육훈련을 관리 · 조정하는 콘트롤 타워를 제안하고 있다.
        4,500원
        4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과 소년원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각 시설별로 주 1회, 총 30회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양적 및 질적 측면에서 평가되어졌다. 양적 측정의 경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의 준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해 ANCOVA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수용자들은 스트레스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줄어들었으며, 사회성과 문화예술 선호성 그리고 자기조절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수용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교육은 즐거움을 주는 기다림, 자신의 발견, 자신감, 함께하며 편안함을 주는 교육이라고 구조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교정시설 내 인지적, 사회적, 예술적 역할로서의 유용성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7,700원
        45.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사례중심대학의 보육교사 양성과정별(유아교육과, 사회복지과, 언어재활과)로 진입동기와 전문성 등 교직관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양성과정별로 보육교사직을 지원하는 동기와 재학생들이 생각하는 보육교사직을 질문내용으로 하여 의견을 수집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백분율, 독립2표본, t-검증, One-way ANOVA, Turkey 사후분석 등으로 조사하였다.
        5,500원
        4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013년 8월부터 시행된 문화예술교육법 하에 새롭게 시행되는 문화예 술교육사 양성제도에 관하여 교육학적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관련 선 행연구 검토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의 탄생배경과 법제정 , 제도를 살펴보고 , 문화예술 교육사의 자격조건과 양성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위상과 중요성은 날로 커져 갈 것으로 예상되는데 , 현 행 문화예술교육사의 핵심역량에 비추어 볼 때, 양성제도의 교육과정에서 교육자로서 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국가자격증으로서의 위 상과 가치유지를 위해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6,400원
        47.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xamples of developing missionary attitude through community training of the department of Doxology in Jeonju university founded upon christian principals and to suggest some applicable ways.The purpose of the department of Doxology in Jeonju university is to train students to be sincere pastors, missionaries, ministers and lay ministers with excellence of faithful spirituality and worship art, developing spirituality and intellectuality through theology, missiology and doxology and cultivating character through practical training of worship and praise ministry and the community training. The community training in the department of Doxology is a way of spiritual training. All the students who are involved in the training live together in a dormitory during the terms and are to be trained for their regular and individual devotional life. Through these programs students may kn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understand each other so that they are more to serve one and another and to be equipped as a man of God. The training includes spiritual training programs such as silent prayer meeting (morning prayer): students start a day with it, all nations prayer meeting : closing meeting of a day, campus prayer meeting and Thursday service of the department of Doxology. Also there are relationship training and leadership training. In June, 2013. the department did a survey to know the missionary attitude of the community.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 are reading the whole Bible and having individual prayer time more stably and constantly than the 1st and 2nd grade students.In terms of basic concepts of mission, it also reflects that students se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vision and the calling as they have been in the training for hearing and responding to the Word of God. Moreover, they, who have already learned that there are certain necessities in many fields of mission through all nations prayer meeting,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choose appropriate ways for missionary works. They are not just aware of the gravity of a missionary life by answering that they would take a part in a short term missionary work but also fully understanding the emphasis of participating in a missionary work. Also, it lets us know that the students never over looks the importance of intercessory prayer by answering that they would pray for mission continuously. The respondents themselves chose answers evenly among the examples of the programmes of the community training which were either helpful or challenging. At the same time, they confirmed that there have certainly been spiritual experience and growth which have brought maturity in character through corresponding life with the Word and the posture of love and serving.“And let us consider how we may spur one another on toward love and good deeds. Let us not give up meeting together, as some are in the habit of doing, but let us encourage one another—and all the more as you see the Day approaching.” (Hebrews 10:24,25) All Christians are in one community which is united by God, Jesus Christ and the Cross through the Holy Spirit. In spite of that, under the influence of personalization,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in this society, excessive rationalism,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sm are overflowing. Due to it, even christian belief community is loosing its vitality. As the community training requires the trainees to set apart themselves from the world and to live properly according to the call of God for us to be a part of the body of Christ (1 Corinthians 12:27), holding a vision from God, giving themselves to God, within this generation, the community training of the department of Doxology could be a model for developing a missionary attitude of a missionary community following the supreme order of Christ.
        8,700원
        4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검토를 통하여 이론적 근간을 마련하고, 현재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분석하고 문화예술 강사들의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의 문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윤문작업을 거쳤으며,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스크린 작업을 하였다. 본 조사는 2회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1차 조사 설문지의 배포와 수거는 2011년 8월 10일부터 8월 20일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총 842명(교정시설 589명, 소년원학교 253명)이 참여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조정을 실시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1년 12월 10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총 691명(교정시설 505명, 소년원학교 186명)이 참여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순으로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요인, 63개 문항으로 최종 척도가 구성되었다. 전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신뢰도는 .927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 또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17문항’, ‘사회성 17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7문항’, ‘긍정성 10문항’, ‘자기조절력 8문항’, ‘표현력 4문항’의 6요인, 6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5,800원
        52.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 bid to settle an appropriat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this study intends to draw out implications about professional training of physical education by examining cases of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
        5,200원
        53.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desire for a happy life for the safety of the public's interest in higher things of the increased body, Bain safety awareness and safety of repeated disasters without action to prevent the spread will have no choice but to tough it will also harm. Safety education training from an early age desperately needed for safety's why.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safety for your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habits in order to train to teach in any manner whatsoever any information about the study will assess the need.
        5,400원
        5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존재하는 조직은 환경으로부터 받은 영향과 압력에 적응하면서 이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 조직은 그 자체를 유지·존속시키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적응과 대응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21세기 교정조직도 사회변화에 적응하며 동태적 조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문화·개방화·민주화·정보화 등이 요구되며, 교정조직 및 교정공무원의 발전은 전문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특히, 전문적이고 특수한 교정을 요하는 수용자가 증대되고 있고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의 신장도 교정과 교정 공무원의 전문화를 더욱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교정공무원의 전문화는 능력 있고 열성적인 우수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여 그들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시켜서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공무원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교육훈련기간의 연장과 적정한 실무 교육 확보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훈련과 적정한 현장 실무교육 시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조직개편을 통한 전문 교육기관의 신설로 교정공무원만을 대상으로 한 적정한 규모의 내실을 기할 수 있는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인성 및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로 관련 교과목의 개설과 교육기법의 개발의 필수적이다. 넷째, 총체적품질관리의 적용을 통한 교육 훈련으로 총체적 품질관리가 조직문화 속으로 융화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활동이 필요하다. 특히 다른 공공부문에서 이미 적용하고 있는 총체적품질관리의 교정조직에의 적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5,700원
        55.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시 도 교육청, 또는 학교 단위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 교 한자교육을 활성화하고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교원 양성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재량활동 주제로 한자학습이 포함된 것 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아직 국가 수준의 한자 교육과정도 마련되어 있지 않 은데다가 전문적인 한자교육을 받은 교원도 없어서 학교나 교사의 판단에 따라 개별적인 방식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한자교육은 담임교 사가 담당하는 경우 외에 방과후학교 시간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방과후 학교의 경우 교육을 담당하는 주체의 자격 기준이라든지 선발 방식이 자율에 맡 겨져 있다 보니, 수업의 질적 수준을 담보하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현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원의 전문성 제고, 교원 양성 체제와 방식의 표준화, 교원 연수 및 재교육 시스템의 구축 등 세 가지를 초 등학교 한자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교원 양성의 방안으로는 교육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한자(한문) 관련 교과목을 확대·강화하는 방안과 초등학교 정규교사의 연수 및 재교육을 통해 한자교육을 담당케 하는 방안, 그리고 사범대학에서 중등 한문과 교원 자격증을 취득한 자를 교과전담교사나 방과후학교 교사 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세 가지 방안은 문제 해결 방식에 있어서 각각 양 성, 연수 및 재교육, 중등교원의 활용이라는 다른 차원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한자교육의 위상 변화에 맞춰 합리적으로 병행 또는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6,000원
        5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chnological innov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workers, whose ability is the key component to raise business competitiveness. Our study evaluates how satisfactory is the training of workers at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 and suggest how to improve
        4,200원
        5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dearth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gifted education, particularl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eacher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theory and principle. This study describes th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in foreign language after they participated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How did the teachers perceive gifted education?; and 2) Did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nfluence the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If so, in what ways did it influence the teachers? The data include surveys of the 21 teachers, their class assignments and observations.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ndicates despite the teachers" initial negative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the program helped them see it in a renewed perspective. Briefly, through the program, the teachers familiarized themselves with the basic theory and principle in gifted education. More importantly, they gained hands-on experience by discussing various issues in gifted education and creating class materials. The study concludes with pedagogical implications.
        6,100원
        58.
        200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ched for standards in teacher competency for the different econom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We found information about them in several documents contained in the UNESCO an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each economy. After that, we looked for common strategies to propose a model for teacher training with ICT and in the use and introduction of ICT in schools. We found that there are a lot of commonalities, specifically that teachers should be competent in a variety of software and technological tools appropriated to the topic they teach and the students 'age, assess the software and technological tools relevant to the topic they teach and their potential to be used in class, use the computers in a constructive way and to prepare and utilize work plans that incorporate the use of technology. But despite all the advances and recommendations about ICT introduction in teacher training, we still lack a common model that allows us to exchange and share information regarding this issue, even within the Asia-Pacific region. We tried to put these competencies in one single place so that people can access and consider them in developing a teacher training or ICT introduction to classrooms programs.
        4,000원
        60.
        200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f staff member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ross China at which educational technology training programs had been conducted indicated that the great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ir work, although a smaller proportion felt that they had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to do so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 most common skills mastered were basic computer operations, Web searching, and the use of presentation software. Skills that are more integrally related to effective student learning and cost-efficient operation, such as course management and evaluation and integration of technology with lessons, were mastered only by a small minority. Respondents recommended that future training take the form of blended learning, combining face-to-face format with distance learning and self-study, and that it emphasize practical skills and direct application to the participant’s work. Other recommendations are also made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educational technology competencies and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of training course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