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

        4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222 udder-half milk samples of lactating goats were collected from two herds in Korea during 2008 and all samples were subjected to bacteriological examination. Somatic cell counts (SCC) were also determined for all samples except for 13 (5.9%), which were collected from halves of udders with clinical mastitis. A total of 85 bacteria were isolated from 82 (36.9%) of 222 milk samples tested. Staphylococci were the predominant pathogens, accounting for almost 70% of the isolates: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CNS) and S. aureus constituted 55% (47/85) and 14.1% (12/85), respectively. Among 209 samples tested for SC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36 of 115 (31.3%) samples with SCC of <1×106 cells/㎖ and 38 of 94 (40.4%) samples that had SCC of ≥1×106 cells/㎖, respectively. All S. aureus were detected from samples with SCC of ≥1×106 cells/㎖, while 25 of 47 (61.0%) CNS were isolated from milk samples with SCC of <1×106 cells/㎖. Mean SCC of milk samples that harbored S. aureus and CNS was 4,787×103 cells/㎖ and >1×106 cells/㎖, respectively. All S. aureus and CNS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all antimicrobials tested except for penicillin, to which 2 (16.6%) S. aureus and 12 (25.5%) CNS isolates showed resistance.
        4,000원
        4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섬유질배합사료(TMR)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다를 경우, 비유초기 유산양의 사료섭취량 및 유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동물은 자넨종 생후 16개월령 전후의 초산 착유양 24두를 시험구별 6마리씩 공시하였으며, TMR의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은 대조구(Control)가 TDN 67.0%, CP 13.9% (NRC, 2007), 에너지 증량구(T1)는 TDN 73.7%, CP 13.9%, 단백질 증량구(T2)는 T
        4,000원
        4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계사료 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혼파 총체보리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 (male)를 4처리구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 (T1), 헤어리베치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2), 사료용 완두 (forage pea)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3) 및 이탈리
        4,000원
        4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8년 4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환경조절축사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건초는 수입 Timothy 건초(수입건초), 혼합목건초 (목건초) 및 혼합 야건초(야건초)의 3처리이며 공시가축은 유 산양 (Saanen종, 평균체중 24.2 kg, male) 12두로 화학적 성분, 건물소화율, 건물섭취량과 질소 및 에너지이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목건초가 야건초나 수입건초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p<
        4,000원
        4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산양유 생산을 위해 유기사료를 이용하여 유산양의 적정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과 조농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중기 Saanen종 유산양 4두( BW)를 이용하여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사에너지 공급수준과 단백질 공급수준을 10.59 (T1), 10.14 (T2), 9.45 (T3) 및 8.75 (T4) MJ/kg과 11.90 (T1), 12.73 (T2), 15.19 (T3) 및 16.60% (T4)로 달리하였으며, 조농비율은 49
        4,000원
        4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계사료 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 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샤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혼파 총체보리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T1), 헤어리베치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2), 사료용 완두 (forage pea)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3)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T4)}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과 유기물 섭취량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 및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조단백질 섭취량도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ADF와 NDF 섭취량은 IRG>HV> 총체보리 단파>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일당증체량은 IRG와 HV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과 유기물 소화율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와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질소섭취량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총체보리와 헤어리베치 혹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사일리지 첨가가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척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8년 4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환경조절축사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건초는 수입 Timothy 건초(수입건초), 혼합목건초(목건초) 및 혼합 야건초(야건초)의 3처리이며 공시가축은 유 산양(Saanen종, 평균체중 24.2kg, ♂) 12두로 화학적 성분, 건물소화율, 건물섭취량과 질소 및 에너지이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목건초가 야건초나 수입건초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p<0.05), NDF, ADF, ceIlulose 및 lignin 함량은 반대로 수입건초와 야건초가 높았다(p<0.05). 건물 섭취량은 목건초(30.7 g/BWkg)가 야건초(24.6 g/BWkg)와 수입건초(24.4 g/BWkg)에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야건초와 수입건초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건물소화율은 목건초가 69.8%로 야건초(62.2%)와 수입건초(60.8%)에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그러나 야건초와 수입건초간에 건물소화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외관상 생물가는 목건초가 56.0%으로 야건초(49.2%), 수입건초(47.7%) 순으로 나타났다 (p<0.05). 외관상 대사에너지 축적률은 목건초가 63.4%로 야건초(54.4%)나 수입건초(53.6%)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p<0.05), 역시 야건초와 수입건초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유산양에 의한 건물섭취량, 건물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의 이용성은 목건초가 가장 높았으며, 야건초는 수입건초에 비하여 건물소화율과 외관상 생물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산양유 생산을 위해 유가사료를 이용하여 유산양의 적정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과 조농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중기 Saanen종 유산양 4두(57.5土10.8 kg BW)를 이용하여 4x4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사에너지 공급수준과 단백질 공급수준을 10.59 (T1), 10.14 (T2), 9.45 (T3) 및 8.75 (T4) MJ/kg과 11.90 (T1), 12.73 (T2), 15.19 (T3) 및 16.60% (T4)로 달리하였으며, 조농비율은 49:51 (T1), 59:41 (T2), 74:26 (T3) 및 90:10 (T4)의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은 모든 처리구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량은 T3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T2 및 T4구와 비교 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유지방 함량과 생산량은 T4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낮았다(p<0.05). 유단백질과 유당 생산량은 T1 (61.29 및 70.95 g/일)과 T3 (60.52 및 75.82 g/일)구에서 T2 (50.49 및 59.64 g/일)와 T4 (52.49 빛 59.82 g/얼)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산양의 유생산성을 극대화시커기 위해서 에너지 공급수준은 최소 9 MJ/kg 이상과 단백질 공급수준은 최소 15% 이상을 공급해 주어야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을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일당 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동계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의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T1: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T2: 유채사일리지 첨가구, T3: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T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
        4,000원
        5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혼파초지에서 유 산양을 방목 이용하였을 때의 건물섭취량, 증체량 및 두당 방목초지의 소요면적을 산출하고자 2007년 4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 동물사육장내 혼파초지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초지는 2006년 9월 21일 orchardgrass (40%) + tall fescue (20%) + perennial ryegrass (10%) + alfalfa (15%) + red clover (15%)를 ha당 30 kg 파종하여 경운초지로
        4,000원
        5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산양의 에너지 및 단백질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구(A), TDN 증량구(B), 조단백질 증량구(C) 그리고 TDN 및 조단백질 증량구(D)로 구분하여 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을 시험하였다. 공시축은 유산양(Saanen, 평균체중 17.5kg, female) 12두를 공시하였고, 2008년 10월 20일부터 11월 9일까지 충남대학교 부설동물사육장에서 수행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D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B구가 C구보다 유의적으로 높
        4,000원
        54.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growth performance in dairy goats (Saanen) fed total mixed ration (TMR) of different nutrition levels. Twenty four growing female goats of 8 months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MRs; low energy-low crude protein (CP) TMR (control), high energy-low CP TMR (T1), low energy-high CP TMR (T3) and high energy-high CP TMR (T4). The conte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nd CP in the control diet were 64% and 12%. The TDN content of the high energy TMR was 72% and the CP content of the high CP TMR was 14%. Feed intakes were 1,194g, 1,060g and 1,124g for T1, T2 and T3, respectively, being higher than control (1,039g). Average daily gain was also numerically higher for T1 (170.2g), T2 (114.5g) and T3 (154.9g) than for control (109.0g). The difference of average daily gain between T1 and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 of body weight) between treatments, feed conversion ratio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1 (7.01) and T3 (7.26) being higher than T2 (9.26) and control (9.53). The increases of heart girth were 11.8㎝, 10.0㎝ and 11.4㎝ for T1, T2 and T3, respectively, being higher than control (8.1㎝).
        55.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 이용될 공시시료는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채집되었으며, 기호성 조사는 2008년 6월 21일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와 두과목초(passes and legumes)류는 mixed p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및 white clover 의 5종, 야초와 잡초(native grasses 및 weeds)류는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
        4,000원
        5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흑염소의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재래흑염소 10두(male)와 교잡흑염소(재래흑염소호주야생염소 교잡종; 50:50%) 10두(male)를 공시하여, 시판 배합사료와 조사료를 급여하는 관행사료와 TMR 사료를 각각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소화율, 질소축적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사료 적응기간 14일 예비기간 10일을 거친 후, 14일간의 본 실험 기간을 두어 총 38일
        4,000원
        6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10월까지 충남대학교 부속사육장 및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목초(gasses)는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Poa pratensis, Agrostis alba 및 mixed grasses의 5종과, 두과목초(legumes)는 Trifolium pratense, Medicago sative, Trifolium repens, Melilo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