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3

        4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703 air purifiers certified by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from 2003 to 2019 was performed. Sixty-one percent of the products had an area coverage of 15 m2~30 m2 and the median value of the total products was 37.6 m2. The number of certified products by the top five manufacturers was 325, which corresponds to 46.2% of the total products. The median value of the clean air delivery rate (CADR) of the 703 products was 4.8 m3/min but the number of air purifiers over the value increased to 62.5%~66.3% since 2018. The odor removal ratio showed a median of 86.0% which was higher than the certification criteria but had large differences in efficacy in the five test compounds. Removal efficiencies of each compound in terms of the median and ratio to the average value showed acetate > formaldehyde > toluene > ammonia > acetaldehyde in descending order with large variances. The median noise level average value from five positions of air purifiers was 47.7 dB(A). However the medians of the top position and the front, where purified air was vented out, were relatively higher in 49.8 dB(A) and 48.2 dB(A), respectively. Noise level ratio to noise criteria had a median value of 96.4%, which showed that most of the noise levels were distributed near the criteria limit. The probability of the noise level at 100% of the criteria was calculated ton 0.232, which indicated excess noise levels.
        4,200원
        4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산양의 정확한 서식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개체군 증가에 따른 복원과 서식지 관리 중심의 보전사업을 위한 무인센서카메라를 이용한 산양의 개체 수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오대산국립공원에서 2018년 1년간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산양 서식실태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산양의 서식 흔적이 가장 많이 관찰된 18개의 격자 (2km×2km)를 우선 선정한 후 다시 4개의 소격자(1km×1km)로 나누어 38개의 소격자에 총 62대의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총 5,096장의 야생동물이 촬영되었고, 이중 산양은 총 2,268장이 촬영되었으며, 산양 분류표(뿔 형태 Ⓐ, 링 무늬Ⓑ, 링 형성 비율Ⓒ, 얼굴 색상 Ⓓ)로 분석한 결과 총 95개체를 확인하였다. 암・수 비율은 수컷 35개체(36.8%), 암컷 46개체(48.4%), 성별미상(새끼) 14개체(14.7%)로 나타났으며, 성별미상을 제외한 암・수 비율은 4(수):6(암)비율로 나타났다. 산양의 개체 수 분석 중 뿔 형태 Ⓐ와 얼굴 색상 Ⓓ로 암・수 및 개체가 확연이 구분되어 각 개체를 구분하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성별미상인 14개체를 제외한 81개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r=-0.635, p<0.01)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오대산국립공원의 산양은 최소생존개체군을 형성하였기에 복원에서 보전으로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4,000원
        4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mong 3 different types of bus stops, specifically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front & back partition,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back partition, and bus stop with open space (referred to as bus stop types Ⅰ, Ⅱ, and Ⅲ, respectively) at urban roadside, using the Anderson-Darling test as statistical method.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data on concentrations of PM2.5 on the 3 types of bus stops at urban roadside were acquired for certain days, with different levels of air quality index (AQI). Secondly, this study accomplished the data processing of removing outliers from acquired data, and the Anderson-Darling test was conducted to estimat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s of PM2.5 in the 3 types of bus stops. RESULTS :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PM2.5 for AQI‘ Very High’for bus stop types Ⅰ, Ⅱand Ⅲare 46-179㎍/m3, 66-194㎍/m3, 42- 134㎍/m3, respectively, and for AQI ‘High’for bus stop typesⅠ, Ⅱ and Ⅲ are 16-71㎍/m3, 26-84㎍/m3, and 14-69㎍/m3, respectively. Furthermor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s of PM2.5 in AQI were estimated for given measurement dates using the Anderson-Darling test as statistical method. As a result, for AQI ‘Very High,’th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s ‘Very High’and‘ High’were determined more likely to occur regardless of bus stop type. With respect to each type of bus stop, the probabilities of ‘Very High’for bus stop type Ⅱ were 93.37% and 98.92%, higher than for the other bus stop types. For AQI ‘High’th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s‘ Good’were found to be very low, at 0.00% to 3.07%, and occurred mainly for‘ Moderate’and‘ High’in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 High’for bus stop type Ⅱwere analyzed to be greater than 90%, compared to those for the other bus stop typ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hen PM2.5 is analyzed on certain days, probabilities of occurrence for concentration levels in AQI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type of bus stop.
        4,300원
        4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주된 사망원인이었으며, 주로 환경적 요인이 암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다. 암으로 인한 높은 사망률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지리적 및 환경적 요인이 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국내 사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관점에서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유방암을 포함한 주요 암의 발생률이 지리・환경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군구 수준에서 계산된 암 발생률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고, 암 발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13가지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의 공간적 의존성 및 군집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역적, 국지적 Moran ’ s I 통계량을 이용하였고, 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OLS 및 공간회귀모형들을 활용하였다. 전역적 Moran 통계량과 LISA Cluster map을 통하여 암 발생의 공간적 패턴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OLS 회귀 분석을 통하여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이때 대부분의 암에서 연령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통제하였다. OLS 모형의 잔차에서 공간적 의존성이 명확하게 나타남을 확인한 후, 공간적 의존성을 모형화하기 위하여 공간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유형 별 암에 대한 발생률을 설명하는데 있어 공간회귀분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할 경우 암별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 OLS 분석 결과와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공간통계분석을 통하여 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 지리 환경적 요인을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암을 예방하기 위하여 지역의 환경을 요인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5,200원
        4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연안지역의 고해상도 파랑예측을 위하여 통계적 규모축소화 방안을 적용하여 고해상도 동해 연안 파랑예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예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상청 현업에서 예측된 동해 및 남해 연안파랑예측모델과 전구 파랑예측모델의 예측결과를 이용하였다. 3일까지는 연안파랑예측모델들의 결과를 그대로 활용하였고 3일 이후 7일까지는 전구파랑예측모델의 예측결과를 통계적 규모축소화 방안(역거리 가중 내삽방법과 조건부합성방법)을 적용하여 예측하였다. 예측된 고해상도 연안예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예측된 파고의 2차원 공간분포는 연안예측모델의 초기장(분석장)과 자기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부이 등 해양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파고 및 풍속 예측을 검증되었다. 수치모델의 예측성능과 유사하게 초기시간에는 예측성능이 높게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측성능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전체 기간의 파고 예측결과를 파고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을 때 역거리 가중 내삽과 조건부합성방법 적용에 따른 상관계수와 평균 제곱근 오차는 0.46과 0.34 m에서 0.6과 0.28 m로 개선되었다.
        4,500원
        49.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한문교육 연구는 ‘편재’되고, ‘편중’되어 있다는 표현이 알맞을 정도로 개념 연구의 비중이 경험 연구의 비중보다 지나치게 높다. 이러한 현상은 한문교육 현장의 데이터와 현장의 모습을 과학적, 객관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효과를 증명하기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개념적인 연구 방법 외에 현장의 연구를 위한 방법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즉,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배가시켜줄 통계적 데이터 처리에 대한 고찰과 탐색, 그리고 접근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까지의 통계적 접근 방법을 통한 연구의 수행 양상과 현상 그리고 연구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5,200원
        5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중금속의 사용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생물학적 위해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통계 지수는 배경농도 값과의 비교를 통해 중금속 오염농도를 정규화 시킴으로써 토양 오염의 정도를 수치화하고, 단계 별로 오염 정도를 판단 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축인자(Enrichment factor, EF), 축적 계수(accumulation index), 잠재적 생물학적 위험 지표(potential ecological risk index)등을 이용하여 중공업 근처 토양 내 중금속 오염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중금속의 오염 정도는 정부 가이드라인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특정 위치에서 아연, 구리, 납 등의 중금속 오염이 관찰 되었다. 농축인자, 축적계수, 생물학적 위험 지표를 통해 일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이 우려할 수준이며, 주변에 존재하는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추가 시료채취 및 추정되는 오염원의 시료 확보 후, 동위원소 분석 및 x-ray 기반 분석을 통해 오염원 추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출산으로 인해 학령인구는 감소하고 있으나, 과대학교와 과밀학급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는 학교별 학생수요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며, 근본적으로는 학령인구 이동에 대한 예측의 불확실성에 기인한다. 이는 학교의 신설이나 이전 계획 수립에 장애가 된다. 장기적 관점에서 학생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학령인구의 순이동 경향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16년간 전국 인구이동자료를 바탕으로 시도별로 연령별 인구의 이동 경향을 파악하고 만 11세 인구를 대상으로 크리깅을 적용하여 전국규모의 순이동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학령인구의 연령별 순이동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하 였다. 크리깅을 통해 추정한 결과, 만 11세 인구는 서울, 대구, 경기, 인천 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 강남이나 대구 수성구와 같이 교육열이 높은 지역이나 송도 같은 신규 개발지로의 순이동 경향이 가시적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는 전국을 범위로 장기간의 학령인구이동 경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국가차원의 교육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4,600원
        56.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nrise and sunset times differ depending on location and date. Previous studies conveniently but monotonously applied day and night times set up. This research defined the daytime and nighttime while considering the time of twilight according to the date and the location of ship collision accidents. Classifying the frequency of ship collision accidents with this standard, we conducted a chi-squared te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The frequencies of ship collision accidents according to daytime and nighttime was compared by season, month, and time, and all of th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highest number of daytime ship collisions was 11.6 %, in June, and nighttime collisions peaked at 13.7 %, in December. The most frequent hour for daytime ship collisions was 0700h-0800h, at 10.2 %, and nighttime collisions peaked between 0400h-0500h, at 16.9 %. It is clear that the criteria used in previous studies cited was applied without any theoretical basis and like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the researchers. It was found that results depend on what criteria are applied to the same research data. This study shows that statistical analyses of marine accidents, traffic volume, and congestion density should be carried out quantitatively while considering daytime and nighttime hours for each particular location and date.
        4,000원
        57.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erform the Maritime Safety Audi Scheme, 10-4 was constantly applied without adjustment when evaluating the proximity of the fairway.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different aberrancy probabilities from the different proximity of the fairwa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oute and the size of the ship was validated using marine simulations. Marine simul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statistical analysis-based aberrancy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hapes of routes and ship size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s results, the validity of the criterion of the statistical analysis-based aberrancy probability was confirmed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simulation-based aberrancy probabilities. The results support that the aberrancy probabilities by the types of a vessel could be different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vessels. The results motivate that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find the reasonable criteria of the aberrancy probabilities for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 according to the fairway shape and the size of the vessel.
        4,000원
        59.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f asphalt-aggregate mixture is produced at a high temperature, the mixture will suffer a significant higher shortterm aging (STA) due to the elevated temperature. The binder in that mixture will be oxidized (aged) more than expected during STA due to the highly elevated temperature. The STA at the high-temperature level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hot-mix asphalt (HMA) mixture shows many distresses in the early stage of service life. In this respect, adopting warm-mix asphalt (WMA) technology is another advantage in the asphalt pavement industry. In this study, various levels of STA were used to evaluate aging levels of the binder in the mixture before and after STA. A gel-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est was performed on the mixture particles without binder recovery to estimate the significance of aging for each case of STA.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aging levels among STA temperatures. Statistical test results found that the aging level of the binder after ST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inders before STA at an α = 0.05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aging level of binders in the WMA mixtu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inders in HMA after STA at an α = 0.05 level. It was observed that if an HMA mixture was produced at high-temperature STA, its aging level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four years in servic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