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61.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며, 유아의 기질별로 교사-유아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경향성과 성차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한 공립 유치원의 9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학급 유아 185명(남아: 105명, 여아: 80명)이었다. 그 결과 순한 기질 유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교사의 지각 정도는 갈등은 보통이거나 낮은 편이고, 친밀감은 보통이며, 의 존은 보통이거나 낮은 편이었다. 이를 유아의 성별로 보면, 갈등과 친밀감 그리고 의존에서 모두 남아와 여 아가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더딘 기질 유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교사의 지각 정도는 갈등은 보통이며, 친밀감과 의존은 높은 편이거나 보통이었다. 이를 유아의 성별로 보면, 갈등은 남아와 여아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겪고 있고, 친밀 감은 여아와 더 많이 느끼고 있으며, 의존은 남아와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까다로운 기질 유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교사의 지각 정도는 갈등은 높은 편이거나 보통이며, 친밀감 과 의존은 보통이거나 낮은 편이었다. 이를 성별로 보면, 갈등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느끼고 있는 편이기는 하지만 남아와 더 많이 겪고 있으며, 친밀감과 의존은 남아와 여아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느끼고 있었다.
        62.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temperament, emotion, and class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Methods: Middle school students (N=407, 226 males, 181 females) completed measures of approach and avoidance temperament,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self-efficacy, and engagement in class. Result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temperament and engagement in class.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temperament and engagement in class were moderated by students' self-efficacy. More specially,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protected from the detrimental impact of avoidance temperament on engagement, compared students with low self-efficacy.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level of self-efficacy lead a more adap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utcome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63.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3년 폐기물 해양배출 금지로 인하여 음폐수 육상처리가 의무화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음폐수 육상처리방안에 대한 새로운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음폐수와 같은 고농도의 폐수는 많은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미생물 에너지 전환기술이다. 미생물연료전지는 혐기성 조건에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질을 에너지발생원으로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므로 별도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 전환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ngle Chamber인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음폐수 초기 pH 및 기질교체율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의 성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폐수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내 음폐수처리장 혐기성소화조 처리수(pH 7.56, SCODcr 956 mg/L)를 사용하였다. 산화전극과 환원적극으로 각각 Graphite felt, Carbon cloth를 사용하였으며, 분리막은 Ceramic막을 사용하였고, 외부저항 1,000Ω, 운전온도 35℃이었다. 실험은 초기 pH를 5~9로 설정하여 batch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중성 조건 즉, pH 6, 7에서 전력발생량이 가장 안정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질교체율을 1%, 2%, 4%, 6%, 8%, 10%의 경우로했을 경우, 10%일 때 기질교체시 충격부하에 의해 미생물연료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질교체율을 충격부하의 영향을 받지 않는 1%, 2%, 4%, 6%, 8%로 설정하였고 초기 pH를 6~7로 조절하여 각 pH 별 기질교체율에 따른 미생물연료전지의 전력발생량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매일 같은 시간 기질을 교체하는 Fed-batch로 진행하였다. 음폐수 초기 pH 및 기질교체율에 따른 미생물연료전지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pH 6일 경우 기질교체율 1%, 2%, 4%, 6%, 8%에서 평균 0.552 V ~ 0.605 V의 범위를 보였으며, 최대값은 기질교체율 6%에서 나타났다. 또한 pH 7, 기질교체율 1%, 2%, 4%, 6%, 8%에서 전력발생량은 평균 0.486 V ~ 0.569 V의 범위이었으며 pH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질교체율 6%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64.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aerobic digestion is getting attention by its ability to degrade organic materials and produce energy at the same time.Even though most full-scale anaerobic digesters are operated as continuously fed reactors, laboratory-scale tests for designparameters would be conducted using batch or semi-batch re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effect of different feeding patterns with an identical organic loading rate on the performance of laboratory-scale batchanaerobic digestion reactors. Laminaria japonica was applied as a substrate with 1.5g-VS/L.day of loading rate. Threedifferent types of feeding periods, i.e, 12, 24, and 48 hours, were applied. The reactors were operated at HRT 26.7 days,35±1oC mesophilic anaerobic condition. The methane production rates were 165.10±16.92, 120.74±40.25, and57.81±20.06mLCH4/gVS for feeding periods of 12, 24, and 48hours, respectively. Reactors fed more frequentlyproduced more methane gas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lower. As substrate feeding period increased,concentrations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s) increased and pH decreased. Finally, the reactor with 48 hours of feedingperiod was failed after 22 days of operation. Consequently, it was shown that feeding pattern may significantly affectperformances of laboratory-scale batch anaerobic digestion reactors and the results from laboratory tests may mislead thedesign of full-scale digesters.
        6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고표현의 ‘배치 분위기’단계는 광고크리에이터의 스타일과 느낌, 문화가 지닌 미적가치의 다양성에 봉착하게 됨에 따라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Interactive Marketing Comunication)이 지니고 있는 실증적 연구의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배치 분위기는 단순히 시각적인 임팩트를 위한 레이아웃이 아닌 말과 그림의 융합에 의한 새로운 문화가 창발되는 미적감성의 장인 것이다. 이번 논문은 배치 분위기에 따른 문화인식을 메를로퐁티의 ‘살’로 하였다. 살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교차감응’가운데 주자의 ‘음양오행기질’로 하여 광고표현의 ‘배치 분위기’에 대한 감성적이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메를로퐁티의 ‘살’의 미적감수인 음양오행기질을 통해 광고표현의 배치 분위기에 따른 ‘좋고’, ‘나쁨’에 대한 판단기재로 활용 할 수 있었다.
        66.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기물 매립정책은 단순 매립위주에서 자원화, 에너지화로 폐기물 처리 페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폐기물 에너지화를 위한 바이오가스는 유기물이 산소(O₂)가 없는 극도의 환원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메탄(CH₄), 이산화탄소(CO₂), 기타 황화수소(H₂S), 수소(H₂), 수분, 휘발성지방산(VFA) 가스를 포함하는 기체 혼합물을 말한다. 바이오가스 생성 반응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미생물 반응으로 바이오가스가 생산되는 조건(온도, pH, 알칼리도 등)을 제어하여 공정화한 것이 혐기성 소화공정이다. 혐기성 소화공정은 기본적으로 산생성 단계(Acidogenesis), 메탄생성 단계(Methanogenesis)의 2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메탄생성단계에서 아세트산(acetic acid)과 수소 등의 유기물이 메탄으로 전환되면서 실질적인 안정화(stabilization)가 이루어진다. 각 단계에서 작용하는 미생물은 생리적인 특징 및 요구 영양이 다르기 때문에 외부의 조건이 바뀌면 두 생물군 사이의 균형이 깨어져 전체 공정의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혐기성 소화공정은 반응조를 산생성 단계와 메탄생성 단계의 두 개의 반응조로 구분하는 2단계 발효(fermentation)공정이 합리적일 것이다. 전통적인 1 단계의 반응공정(1상법)에서는 하나의 반응조에서 산생성과 메탄생성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산생성 단계와 메탄생성 단계를 최적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성상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안정성이 깨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2상법은 각 단계에서 적합한 환경조건을 용이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메탄 반응조의 부하율(loading rate)을 적절히 조절하고, 저급 지방산(fatty acid)의 축적에 의해 급속한 pH의 저하를 방지하여 메탄발효의 저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상법은 반응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점, 그에 따라 제1 반응조로부터 제2 반응조로 이송을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는 점 등 비용면에서 불리하고, 각 반응조의 반응조건을 별도로 조절하여야 한다는 번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자원화를 위해 구조적으로 간단한 혐기성소화조를 구성하여 음식물류 처리시 발생하는 탈리액(음폐수)를 처리시 일체형 혐기성소화와 2단 혐기성소화공정의 비교 연구를 통해 기질 제거특성 및 바이오가스발생 특성(CH₄, CO₂ 함량 및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6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change of microbial community in inoculums, lag, and stationary phase using the community level physiological profiles (CLPP) base on C-substrate utilization. It was to ascertain the characterizing microbial community over time in the enrichment step of microbial fuel cells. Microbial fuel cell is a device that converts chemical energy to electricity with aid of the catalytic reaction of microorganisms using C-substrate included wastewater. Microbial fuel cells enriched by a mixture of anaerobic digestive sludg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livestock wastewater were used. The current after enrichment was generated about 0.84 ± 0.06 mA. Microbial community in inoculums, lag and stationary phase used amine group, phosphorylated chemical group, and carboxylic acid group (some exclusion). However, phenolic compound did not use by microorganisms in lag and stationary phase. It means that there are not the microorganisms capable of decompose the phenol in microbial fuel cell enriched by livestock wastewater. In case of substrates of amino acid and carbohydrates group, these C-substrates were only used by microorganisms in the stationary phase. It may be that electrochemically active microorganisms (EAM) which we want to know should utilize the better these C-substrates than that of lag phase. This study showed that the electrochemically active bacteria that can be distinguished by electron changes of C-substrate utilization over time could be separated.
        69.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울릉도에서 산출되는 치밀한 회색부석, 회색부석, 갈색 및 검은색부석의 기질에 대한 광물 암석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 FT-IR, 열분석, XRF,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울릉도 부석의 기질은 전반적으로 비정질이며 미량의 새니딘과 아노르도클레이스의 결정구조적 특성을 보였다. FT-IR 흡수스펙트럼에서 흡착수분을 지시하는 O-H 피크가 관찰되었으나 열분석에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수분 함량은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낮은 수분 함량은 기질이 넓은 비표면적을 가지며 형성 이후 상당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수화변질 정도를 매우 낮게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SEM 이미지상에서 기질의 기공은 2~2000μm 크기를 가지며 구형, 타원형, 실타래형 및 각상의 형태학적 특성을 보인다. 또한, 기공들은 융합하고 성장하면서 변형되는 연성특성을 보여준다.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보이는 기공의 특성은 마그마의 급격한 압력감소와 빠른 냉각에 기인하며 형성과정에서 마그마가 상당한 연성을 유지하였음을 시사한다. 초기에 형성된 치밀한 회색부석은 기공의 성장이 제한되고 구형 기공의 결핍과 각상의 매우 작은 기공(15μm 이하)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 수화프리니언 분출에 근접하였음을 시사한다. 기질표변에서 관찰되는 비정질 알루미나 규산염 덩어리인 극미립질 입자는 알칼리계열의 포놀라이트질 마그마가 급격히 상승하는 과정에서 미립자화된 마그마가 기질표면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되며 부분적으로 결정화된 알칼리 장석입자와 공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76.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체력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기질과 체력의 관계적인 구조모형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체력의 요인에 대한 기질의 관계와 영향력이 분석되고 있지 못하다. 이에 유아의 기질과 운동능력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내 4곳의 유치원의 만 5, 6세 유아 406명을 대상으로 체력의 측정을 시행하고 부모용 유아 기질질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기질의 요인과 체력의 요인에 대한 상관관계분석에서 정서성 요인은 수행관련체력요인에만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활동성과 사회성요인은 건강관련체력과 수행관련체력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수행관련체력에 더욱 높은 상관을 보였다. 구조모형의 분석결과 유아의 기질은 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러 적합도 지수들은 모형이 적합함을 증명하였다. 체력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의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건강관련체력은 사회성요인이 수행관련체력은 활동성요인만이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77.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 자율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 것이었다. 경상남도 J시와 C시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68명과 그들의 어머니 2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구성 차원 중 활동성이 유아 자율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성별로는 남아의 경우, 유아 기질 차원 중 활동성 자율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의 경우, 유아 기질 구성차원과 자율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합리적 지도가 유아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성별로는 남아의 경우,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한계설정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여아의 경우,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합리적 지도와 반응성이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78.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라 집단 간에 그리고 집단 내에서 기질과 성차의 특성이 자기조절력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라 자기조절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1. 교사가 지각한 유아 기질의 집단 간에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1-2. 교사가 지각한 유아 기질의 집단 내에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자기조절력은 구성요인 중 인지조절의 하위요소인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 정서조절의 하위요소인 정서인식, 정서억제, 대처하기 모두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0.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라 또래간 상호작용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유아 기질 검사를 위한 도구는 Thomas, Chess와 Korn(1977)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 기질 평가(Teacher Temperament Questionnaire for Children)를 강민정(1997)이 번안하여 수정·보완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간 상호작용은 Holloway와 Reichhart-Erickson(1988)의 관찰도구를 수정·보완한 조윤정(1997)의 「또래간 상호작용 분석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간 상호작용은 순한 기질 집단과 까다로운 기질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 의존적 상호작용, 부정적 상호작용은 순한 기질 집단과 까다로운 기질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