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의 국내외 독도연구는 국제법 연구와 역사 연구로 대별되어 진행되었다. 법적 연구에 있어서는 독도의‘영유권’(sover- eignty, ownership, 영토주권)의 문제와 한일간 어업 및 배타적경제 수역(EEZ) 경계획정 등의 주제 및 전문분야별 문제로 구별하여 진행되었다. 특히 독도영유권의 연구는‘본원적 권원’(original title) 또는‘역사적 권원’(historictitle)과‘실효성(지배)’(effectivities, effective control, effective occupation)등에 근거한‘현대적 권원’및‘권원의 행사 및 유지’등에 관한 분야별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편 역사적 연구는 연혁적으로 크게 1894년‘갑오개혁기’를 전후한 전근대 및 근대 등 시기적 구별에 기초하여 연구되었다. 이러한 법적 역사적 연구는 기본적으로 독도의‘고유 영토론’과 ‘무주지 선점론’으로 대별되어 법과 역사간의 학제적 기틀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독도영유권에 관한 한일간의 연구 경향을 개괄적으로 고찰하고, 한일간 법사학적ㆍ법제사적으로 주요 쟁점들을 추출 분석하고, 독도영유권 증거 자료, 대응평가 등에 관한 검토를 통해 향후 독도연구 과제와 전망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제 3기층 퇴적분지 내에 분포하고, 유사한 지질환경에서 형성된 일본의 2개 광상 (Tsukinuno 및 Tomioka)과 국내 5개 광상(두산, 나아, 옥산, 동양 및 연일16호)에서 산출하는 7개 벤토나이트를 대상으로 광물학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주 지배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 시료들 중 츄키누노(Tsukinuno) 광석은 천연산 Na-형 벤토나이트이며 나머지는 모두 Ca-형 벤토나이트이다.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이지만 모든 물성이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점토광물류의 경우는 입도 분포가 물성을 지배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입도 분포와 같은 물리적 요인을 동일시한다면 광물학적 요인이 우세하게 영향을 미친다. 벤토나이트의 주성분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비와 층 전하에 따라 몇 가지 물성은 지배된다. 특히 층 전하값은 몬모릴로나이트의 양이온 교환능과 메틸렌블루 흡착량을 크게 지배한다. 부성분광물로 산출하는 불석과 황철석의 함량비가 물성을 크게 지배하며, 불석이 우세하게 산출하는 광석은 강한 알카리성을 띠며 양이온 교환능을 상승시키나 팽윤도, 점도, 강도 등의 다른 물성을 저하시킨다. 황철석이 함유된 시료 는 생형 압축 강도와 습태 인장 강도 값을 극히 저하시킨다. 층간 교환성 양이온 종에 따라 물성이 크게 달라지며, Na-형 벤토나이트는 Ca-형 벤토나이트보다 극히 향상된 팽윤도 및 점도를 보이며 보다 강한 알카리성을 띤다. 또한 몬모릴로나이트 결정크기와 형태가 물성을 지배하는 요인이 되며, 결정도가 우수하여 결정크기가 크고 얇은 엽편으로 구성된 광석에서 비 표면적, 양이온 교환능, 점도, 팽윤도, 메틸렌블루 흡착량, 생형 압축 강도 및 습태 인장 강도를 향상시킨다. 국내산 두산 벤토나이트가 가장 우수한 물성을 보이는 주 요인은 높은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와 우수한 결정도에 기인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파의 파군이 계단형 지형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2차 장파를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수심 변화에 의한 단파의 회절을 해석하였으며, 다변수 섭동법을 이용하여 2차 장파의 지배방정식을 유도하였다. 2차 장파 방정식을 해석하여 서로 다른 속도로 진행하는 자유장파와 구속장파가 발생함을 보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gender discrimination against the female musician in the music history>. Many people had believed that women does not have musical talent pointing out the fact that all great musicians were men. The reason might not be what many people think. Musical history tells us that women musician having musical talent hardly had chance to develop and show it. Patriarchism prevailing the society had worked also in musical fields, sometimes more intensively. Patriarchal ideology and social system based on it demand that active, productive, resonable, creative, scientistic, technical characters be reserved to man. In that system, women take only passive, reproductive role. The long music history shows that female musicians had been permitted musical activities on the condition that their musical activities encourage the femininity. For example, women were totally excluded in the field of composition, which is considered as creative domain, and the situation was not different in the instrumental performance requiring high technical expertise. Women musicians were free, or encouraged to play key-board music or harps for that they had to take a female posture during the performance. Even in that case, they were allowed to play in the home, not in public. Exceptionally women vocalists were allowed to sing in public from the beginning of music history.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needed for their role restricted often to a prostitute image using body to seduce men. This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musical production and performance had given strong impact on musical education. In a sense, it is reproduced in a exactly similar way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Women had been prohibited from taking musical lesson to become a music professionals. They were only allowed to be trained by means of cultivating their general culture. Under this context, musical education was considered as symbol of wealth.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musical history shows clearly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in music filed is not separated from the paternalistic ideology and many sex-based prohibitions on the societal level. It demonstrates also that the sexual discrimination was reproduced and strengthened in music field. The reason why there were no great female musicians, therefore, have to be searched not in the lack of musical talent of women but in the socially constructed constraints, the patriarchal system.
The elimination of Government Theory is justified in the Minimalist Theory in that the license of traces, the check of structural Cases, the assignment of thematic roles, and the relation of Binding and Control etc. are explained without barriers. The Government is defined on the basis of barriers which limit downward line of COMMAND. And the Subjacency Condition and Empty Category Principle are deeply related with Government Theory because both explanations are dependent on the notion of barriers. But in the framework of Minimalist approach, as the Government Theory is eliminated, the Subjacency Condition is now replaced by economy principles on derivation, and the ECp by the licensing requirement on Chains. In order to form a legitimate Chain, first, it should satisfy morphological requirements such as ø -features, Case features. tense features and〔+WH〕features. The second, it should be uniform with respect to L-relatedness or T-relatedness or both. But in spite of the elimination of Government Theory, the Minimalist Theory should depend on barriers to explain Island phenomena such as the Strong Islands and the Weak Islands. If the notion of barriers can not be removed in such phenomena, the Minimalist Theory gets damaged in that the elimination of Government Theory can not be justifi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 propose that Wh-arguments and Wh-adjuncts be Wh-in-situs within the Strong Islands such as Subject Islands, Complex NP Islands, Adjunct Islands and Weak crossover Islands, and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principle after SPELL-OUT without a direct Wh-movement. (A)〔+WH〕feature of wh-phrase within the Strong Islands can be absorbed only if there exists a〔+WH〕feature of wh-phrase in the matrix clause. And in order to explain the asymmetry of the extraction of arguments adjuncts in the Weak Islands, I propose that Wh-adjuncts only be Wh-in-situs without the lexical movement.
이모작재배에 적합한 극조숙 양질 다수성 소맥품종육성을 위하여 등수기간에 관여하는 유전자 작용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추파성품종 Yam-hill과 Hyslop, 춘파성품종 Red Bobs와 Siete Cellos를 사용하여 4 4 complete diallel crosses F1 , F2 , BC1 및 BC2 를 작성, Jinks-Hay-man model를 이용하여 등숙기간에 관여하는 유전자 작용을 분석하였다. 본 시험은 오레곤 주립대학교에서 실시되었다. 그 결과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전등숙기간인 출수에서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기간과 출수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에서 maternal effect 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비대립유전자간 상호작용도 발현되지 않았다. 개화에서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기간에서는 비대립유전자간에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춘파성 품종인 Red Bobs와 Siete Cellos는 전등숙기간과 출수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을 지배하는 우성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짧은 쪽에 비하여 긴쪽이 우성으로 발현되고 있었다. 대조적으로 추파성 품종인 Yamhill 과 Hyslop은 개화에서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기간을 지배하는 우성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긴쪽이 우성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유전자들은 문배친들간에 독립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