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6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54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2주간의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를 사용하여 남녀학생 각각의 집단을 측정하였다. 측정 자료는 기술 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에 있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은 남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어떠한 하위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은 여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많은 하위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천정 효과와 바닥 효과 그리고 운동 효과에 대한 정보적 피드백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6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 양성기관에서 실시된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수에 참여하였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연수 프로그램 개선과 관련된 요구를 분석하였다.개선 요구 분석 결과,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관련해서 보완되어야 할 점은 첫째, 다양한 수업 사례 제시와 둘째, 수업비평의 방법과 절차에 대한 단계적인 안내이다. 또한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방식과 관련해서는 첫째, 수업비평에 대한 이론과 실제가 경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활동 중심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연수 참여자들 사이의 원활한 대화와 토론을 위해 유연한 자리배치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연수 관련 자료 제시 순서에 고려와 과제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앞으로 진행될 연수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방향을 마련하였다.
        6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과학캠프 참가 만족도 및 효과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생명환경과학캠프’에 참가한 초·중등생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0일부터 8월 11일의 기간 동안 총 385부의설문을 실시, 분석하였다. 캠프참가 이전 과학 흥미도는 초등학교 4~6학년(50.7%), 중학교 1학년(44.3%), 중학교 2학년(39.5%)순이었으며 캠프 이 후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증가한 학년별 차이는 초등학교 4~6학년(68%), 중학교 1학년(63.3%), 중학교 2학년(54.4%)순으로 연구되었다. 캠프의 수업이 학교 과학 수업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관한 긍정적인 응답은 초등학교 4~6학년(71.7%), 중학교 2학년(60.5%), 중학교 1학년(53.2%)순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캠프 재참여 의사는 초등학교4~6학년(56.4%), 중학교1학년(50.6%), 중학교2학년(35.8%)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캠프 참가로 장래희망에 영향을 받은 정도는 중학교1학년(43.1%), 초등학교4~6학년(40%), 중학교2학년(29.6%)순으로 나타났다.
        64.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increased for the last decades, and schools make efforts for education in the systematic environment. To keep pace with trends such as the open school and the open clas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Parents’ active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ll provide excellent basis to operate environmental education efficiently and advise fruitful ope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as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of deciding the students’ life habits or attitudes about environment, their participation is greatly meaningfu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203 fourth and fifth graders in M elementary school in Ulsan city that operated the model school for protecting the forest from March to December, 2009 and their pare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 group with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interest in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chool. Second, the student group with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environment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Third, the par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environmental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Fourth, the par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As the result of the stud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th parents’ participation attracted their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about school environment problems, and a lot of conversation and attention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mproved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environmental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65.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참여자를 대상으로 운동정서와 낙관성 및 희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필라테스 운동참여자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SPSS 15.0 및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운동정서는 낙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운동정서는 노력과 미래믿음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운동정서가 희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낙관성은 희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낙관성은 희망의 하위요인 중 주도사고보다는 경로사고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세부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66.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스포츠와 체육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동기이론 중 자기결정이론은 사회적 요소인 학습 환경이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들 욕구는 동기를 비롯한 인지, 정서, 행동 결과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 내 지도자에 의한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 및 인지, 정서, 행동과 관계가 있다는 근거를 토대로 하여 자율성 지지(Reeve, 2002)의 정의와 내포하는 의미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현장의 피트니스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지도자에 의해 조성된 자율성지지 환경이 학생 참여자들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자기결정동기, 및 정서-행동적 참여인 즐거움과 노력 등 미래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효과를 검증한다.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자율성 지지를 적용한 피트니스 프로그램의 중재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율성지지, 자율성, 자기결정 동기(내적동기, 확인규제), 정서적 및 행동적 참여(즐거움/재미와 노력)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자율성 지지의 영향력과 효과는 두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이론의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67.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이나 흥미도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었고 대부분이 캠프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한 학생의 반 이상이 대학에서 진행되는 수업에 기대가 높았고 캠프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 또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학캠프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며 캠프에 참가하지 않은 친구들에게 추천 할 의사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과학 캠프의 모든 프로그램을 마친 후 과학에 대한 흥미도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캠프에서의 학습 내용 또한 학교에서 과학 수업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캠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과학실험을 접하게 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