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emale college students'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according to their narcissism.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urvey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a total 22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For analysis of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nalysis on narcissism resulted in two dimensional structures: self-initiated and other-dependent narcissism. Th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narcissism groups, such as compositive, self-initiated, other-dependent, and withdrawn narcissism groups. Second, the factor analysis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resulted in two dimensional structures: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Five dimensions of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were identified: individuality, self-expression, fashion, comfort, and social recognition pursui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ategorized narcissism groups i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The results confirm that narcissism has an impact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insight for apparel makers or retailers to develop their marketing strateg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clothing benefits sought by breast cancer survivors in Korea.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from members of online breast cancer forum. 18 participants were breast cancer survivors who had mastectomy or lumpectomy in their 30s~50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significant theme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benefits were sought after functional/comfort, health, feminity, and compensation were found. First, breast cancer survivors considered functional/comfort to be most important benefit so as to keep the body comfortable from the weather. Second, participants put the healthy body as the first priority and chose a well-being lifestyle and were likely to wear clothes made in healthy fabric, such as organic, bamboo or charcoal. Also, they preferred to look active by wearing sport brands or outdoorwear brands. Third, after the surgery, they experienced the sense of femininity loss and the sense of crisis as a woman. Single women and married women in early 30s recognized more seriously, and they tried to recover feminity by wearing clothes with feminine details. Forth, breast cancer survivor consumers tended to shop for the psychological compensation. In summary, consumers with breast cancer surgery, unlike general healthy women, did not sought to be economic, fashion, self-expression benefits, rather they sought health, femininity, and compensation benefits.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proper products and marketing strategy to meet the said consumer's special needs.
새만금수목원은 새만금간척지의 농업용지 내 조성될 국가수목원으로 2025년 개원하는 면적 200ha의 해양기후대 해안·도서식물을 수집, 보전하는 세계 최대의 해안형 수목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수목원조성대상지는 지리적으로 해양성 기후와 내륙기후의 기착지점으로 생물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적공간으로 여타수목원과의 차별성을 갖는 곳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국가수목원 조성의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양분선택형모형을 적용한 결과 새만금수목원 조성을 위한 개인별 평균 지불의사액은 6,607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를 전국 시도별로 확장하면 연간 207억 원에 달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편익 분석을 수행하였더니 순현재가치, 편익/비용, 내부수익률은 각각 141.86억 원, 1.16, 7.48%로 계산되었다. 이 값은 각각 0, 1.0, 5.5%를 상회하므로 새만금수목원 조성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새만금수목원 조성 및 유지가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며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n overall game application as an effective tool for various corporation-related purposes. This work lies in the communication and sharing frameworks: Serious games, Advergames, Gamifications. We first discussed on the serious games, advergames, and gamification for both employee and customer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review. Second, we synthesized the key features of game applications benefits that make them promising to be used for corporation purposes. All three of them, it will be efficient not only corporation (employee training & education, advertising & marketing) but also customer (information delivery capability, communication & feedback control etc). Moreover, various game-related factors are more effective means rather than antecedents of other media such as Internet and TV. Overall, game applicati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corporation’s goals. Finally, implications of applications benefits for corporation purposes and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in this area are discussed.
극치료(drama therapy)는 크게 과정지향(process-oriented)의 연극치료와, 연극제작 과 그 생산물에 무게 중심을 둔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과정지향의 여러 연극치료이론과 그 실제에 대한 소개와 실천에 비해 공연 지향의 ‘치료적 연극(therapeutic theatre)’, 혹은 ‘치료적 공연’에 대한 이론적인 정립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에 본 연구는 ‘치료적 연극’의 양상과 개념적 정의 그리고 그에 따른 영역적 특성에서부터 출발 하여,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를 대표하는 연극치료사 스테판 스노우와 르네 에무나를 중심으로 공연지향 연극치료가 지닌 치료적 가치의 특이성과, 이를 발현하는 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 다. 무엇보다 스노우와 에무나의 치료적 공연에 대한 공통된 사상과, 그들 각각의 치료적 연극 을 대변하는 ‘수행적 연극치료 모델’과 ‘자기-현시적 연극’을 통해 그들 간 방법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종국에는 치료적 연극이 왜/어떻게 치료적이라 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연극’ 본유의 치유적 속성을 발판삼아 출현한 다수의 특수/장애인 극단들의 연극생 산이 본격화되고 있고, ‘치유’ ‘치료’라는 용어가 공연제목에 유행처럼 덧붙여지는 있는 현 시 점에 있어서 ‘치료적 연극’의 궁극적 목표와 그 특성 및 효과에 관한 본 연구는 치‘ 료적’ 공연 모 색의 지표가 되어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coupon benefit and behavioral response to the coupon. Consumer activism was tested as a moderator. All of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supported. The multi-group differential test revealed that the perceptions of coupon benefi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ghly and less active consumers.
본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수급대상 범위를 확대할 경우 직면하게 되는 재정안정화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논문은 대안모델을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의 효용성까지도 검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족요양 보조력의 원천을 고려한 대안모델(M0)을 제시하고 그것의 중장기적 성과 및 재정추계를 보건복지부의 1안(M1)·2안(M2)과 비교함으로써, 각 모델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성과와 재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분석을 행함에 있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대상 범위를 M0·M1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10%로 가정했고, M2의 경우 3.6%로 가정했다. 추계결과에 의하면, 보험료 발전추이를 고려했을 경우 M0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중장기적 재정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것으로 판별되었다. 이는 M0가 납부의무자의 보험료 부담을 덜어주는 재정방식을 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대안모델(M0)은 기본적으로 가족요양 보조력의 원천—인구노령화에 의해 감소추세를 보이는—을 고려함으로써 성과 및 재정의 차별화를 꾀하는 모델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안모델(M0)은 보건복지부 1안(M1)에 비해 요양비용 및 재정부담 완화 효과가 큰 것으로 판별되었다. 즉 대안모델(M0)은 장기적으로 볼 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안정적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대안모델(M0)은 잠재적 수급자들에게 본인부담금과 보험료납부를 의무화하지 않기 때문에, 요양대상자는 물론 가족의 재정 부담을 크게 경감시켜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studied why middle-aged group is using active wear as casual wear. First, we can think of 'comfort', 'ideal body shape', 'trend', 'functionality', 'economy' for the reasons. We categorized the incentives as 'comfort/functionality pursuits', 'trend/economy pursuits', and 'ideal body shape pursuits'. Studies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number of men pursue comfort and functionality, and statically significant number of women pursue trend and economy.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consumers who use the active wear in daily lives is greater than that of those who use it only for outdoor activitie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shirts and pants. The most frequent usage was in social activities, and the next frequent usage was in cultural activities. The reason is that currently, middle-aged consumer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social gatherings than any other activitie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men wear active wear more than the women do, development of the product as men's casual wear that is compatible with other apparels will be necessary. We expect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preliminary data for a marketing strategy targeting the middle-ages.
본 논문은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에 타당성을 위한 총론적인 논문이다, 또한 다양한 연구논문들을 조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를 통해 얻어진 최종산물이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냄새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로서 적합성을 제고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음식물쓰레기는 높은 유기물 함유량을 가지고 있어 퇴비화에 적합하지만 반면 높은 수분함량과 물리적으로 낮은 강도로 인해 퇴비화 과정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퇴비를 이용한 바이오필터링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임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메커니즘의 규명이 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특히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히 음식물쓰레기 퇴비의 바이오필터로서의 사용가능성에 대한 기본적이고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utdoor sportswear purchase behavior, outdoorwear sportswear brand preference, functional fabric awareness, and benefits sought. The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 during February to March 2011. Data were collected from 10 consumers who had purchased outdoor sportswear and experienced camping in 6 months. First, the results from study showed that functionality/comfortability, design, color, and brand name were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outdoor sportswear. Offline stores were the main place to purchase, however, internet shopping mall and portal online community were another shopping channel as well. Second, respondents preferred imported outdoor sportswear brand to national brand. According to the study, the respondents trusted the imported outdoor sportswear quality based on the brand name, value, and brand history more than national brand. Third, consumers who had low functional fabric awareness were more likely to evaluate apparel products based on the brand name. Knowledge levels for textile functions were high in elastic, UV protection, air permeable,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essential features for camping were water absorbing and quick dry, water resistance, wind proof, UV protection, and fire retardant properties.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wo sportswear benefit soughts: functionality and status ostentation.
In order to meet the national standard and public needs for Seoul Metro subway, air purification has been taken into a consistent consideration with the addition of high quality control facilities. This work focuses on the review of the cost effectiveness to improve the air filtration of an MVAC (mechanical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in a field subway. The inflow PM10 and PM2.5 into the test MVAC chamber were 19.4 kg/yr and 8.9 kg/yr respectively. It corresponds to the environmental cost of 5,857,000 won for PM10 and 6,608,000 won for PM2.5 every year. While the current filtration system collects approximately 55% of the inlet PM10 and 35% of PM2.5, a new lay-out showed 80% for PM10 and 55% for PM2.5. The new design presented the environmental benefit for PM10 with 1,464,000 won, whilst the additional cost required 3,192,744 won. In the future, however,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benefits for the indoor dust over the atmospheric aerosols will more or less compensate the potential cost.
Consumers are highly interested in processed fishery products that are healthy and superior in terms of convenience, nourishment, and taste. However, current domestic research on processed fishery products is marginal. We systematically analyzed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relationship to pursuit benefits,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levels, and reasons for purchase. Consumers considered product information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attribute, whereas convenience scored highest for pursuit benefits.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selection attributes and pursuit benefits on satisfaction level and the reason for purchasing an item were analyzed using demographic properties as control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affected satisfaction level were residential district (region: B= -0.268, p<0.05.), recipe (B=0.098, p<0.05), nutrients (B=0.124, p<0.05), convenience (B=0.283, p<0.001), and economics (B=0.138, p<0.05). The variables affecting the reason for purchasing were nutrients (B=0.173, p<0.001), convenience (B=0.277, p<0.001) and satisfaction level (B=0.163, p<0.001). Pursuit int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however, selection attribut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consu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s result showed that if consumers were satisfied, they intended to repurchase. Attempts to increase repurchases by consumer are needed by fulfilling consumer satisfaction. These data can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for sales promo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willingness to pay (WTP) by the general publics, assuming that they pay tax or charge for protecting marine living resources and environment through developing and supplying biodegradable fishing nets. This study employed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which is an econometric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both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nd open-ended survey. Tobit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variables included concerns about marine environment and fishing net discarded, sex, age profile, number of family members, educational level and personal disposable income. Annual average WTP per family for the biodegradable fishing net development and supply was estimated at 5,294 won and national WTP amounted to some 84.2 billion won. This includes both of use and non-use value of biodegradable fishing nets.
이 논문은 대기오염 개선에 따른 부수적 가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하였으며, 지 불의사 유도방법으로는 이중 양분선택법을 적용하였다. 온실가스의 감축, 특히 이산화탄소 감축은 화석 연료의 사용감소를 통해 대기오염물질의 감소라는 부수적 효과를 갖는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대기오염 개선에 따른 부수적 가치는 연간 329,236원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불의사 금액의 가치 추정에 있어 사회․경제적 특성변수와 환경에 대한 인식을 포함한 분석모형의 적합성이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시금액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특성변수들을 포함한 분석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통한 지불의사금액의 가치가 보다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늘날 직무발명에 있어 종업원에 대한 정당한 보상은 기업 경영에 있어 중요한 지적재산권 관리의 문제이다. 우리나라 발명진흥법은 직무발명에 대한 권리를 발명자인 종업원에게 부여하고 있고 사용자에게는 직무발명에 대해 무상의 통상실시권을 인정하여 사용자와 종업원간의 이익형평을 추구하고 있다.한편 사용자가 전용실시권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업원에게 무상이 아니라 유상으로서 정당한 보상을 하도록 한다. 이 때 발명진흥법 제15조 제3항의 “사용자 등이 얻을 이익”은 정당한 보상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누가 발명자 또는 공동 발명자로서의 자격이 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발명되었는가도 중요하고 그러한 발명품의 공정과정은 종종 복잡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발명 과정의 각각 요소들은 최종 발명품에 기여할 수 있다. 직무발명은 특허의 출원이 되었는가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종업원 등을 존중하여야 하는 부분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이해는 사용자와의 고용관계로 인하여 협상능력이 떨어지는 종업원 등이 자신의 법령상 권리를 사용자에게 착취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본 규정의 입법취지로 인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발명진흥법 제10조 또는 제15조는 사용자의 통상실시에 있어서는 무상으로 하지만, 전용실시에 있어서는 정당한 보상을 고려하도록 명문화하고 있다. 그러나 발명진흥법 제15조 제3항의 ‘사용자 등이 얻을 이익’은 그 해석에 따라 사용자 또는 종업원에게 정당한 보상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직무발명에 있어 ‘사용자 등이 얻을 이익’은 발명진흥법의 문리적 해석과 일본 판례의 해석을 통하여 정의내릴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 등이 얻을 이익’은 단순히 발명을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받아야 하는 이익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그것을 초과하여 특허 등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승계하여 발명의 실시를 독점하는 것에 의하여 받아야 하는 이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종업원의 이익 및 주주의 이익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하여 경제정의연구소가 2006년과 2007년에 실시한 경제정의지수 조사결과와 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의 사업보고서 및 한국신용평가의 재무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해관계자이론을 중심으로 주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계층적 회귀분석에 의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적 CSR 활동이 임금수준, 복리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