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6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optimum priming treatment conditions to the sesame se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enhancing sesame germination properties. Effective priming agents and concentrations for sesame seed were K3PO4 , 200 mM and PEG6000, -1.0 MPa respectively. Optimum priming temperature and duration were 15~circC , 4 days in view of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rcentage. PEG6000 with -1.0 MPa was selected as an efficient priming treatment condition at 15~circC , 4 days. This study suggested that priming treatment to sesame seed would be an effective technique enhancing sesame seed germination and shortening time to the T50 at the field condition, but the efficiency of priming treatments to the sesame seed would be strongly dependent on individual or integrated conditions of priming agent,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duration etc.
        62.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자 priming은 발아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빠르고 균일하게 하는 유용한 종자처리기술로서 조경적 가치가 뛰어난 팥배나무 종자의 번식 효율성을 위해 다양한 발아촉진법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Priming 처리를 위해 NaCl, CaCl2, KNO3, PEG(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농도에 따라 각각 2일과 3일간 처리하였으며, 실험종료 후 발아특성 및 유묘생장특성을 분석하였다. 발아율은 KNO3 100 mM 2일 처리구에서 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평균발아일수는 KNO3 200 mM 2일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발아속도와 발아균일지수 역시 KNO3 100 mM 2일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발아특성 증진에는 KNO3가 적정한 처리제임을 짐작하였다. Priming 처리된 종자로부터 생장한 유묘들을 대상으로 상대생장율과 유묘활력지수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p〈0.05), 상대생장율(수고 및 근원경)의 경우 NaCl 400 mM 2일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유묘활력지수는 발아율에서 가장 높았던 KNO3 100 mM 2일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priming 처리를 위한 염류(NaCl, CaCl2, KNO3, PEG) 중 팥배나무의 종자 발아 및 유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적정 처리제는 KNO3로 판단되었으며, 적정처리조건은 100 mM 2일처리였다.
        63.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상태에서 발아율이 불량하고 발아기간이 오래 걸리는 둥굴레의 종자번식을 위해 저장기간을 달리한 종자를 이용하여 종자수명 및 발아적온을 알아보았다. 또한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생장조절제 및 무기염류를 프라이밍처리하였다. 저장기간별 둥굴레 종자의 발아실험의 결과 1~2년까지는 발아율이 떨어지지 않았으나, 4년간 저장하는 경우에는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둥굴레 종자의 발아는 고온보다는 22~25℃의 온도에서 양호하였으며, 발아속도도 빨랐다. 특히 1~2년 저장한 종자를 25℃에서 발아시키는 경우 70~71.2% 정도의 비교적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둥굴레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생장조절제와 무기염류를 사용하여 프라이밍처리를 한 결과, BA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GA3, IAA, NAA, kinetin, KNO3, KH2PO4, Ca(NO3)2)에서 무처리보다 높은 발아율을 보여 프라이밍처리 효과가 인정되었다. 특히 1년 저장종자에서 GA3 0.5mM 처리는 96%, IAA 1mM 처리는 93%의 높은 발아율을 보여 가장 발아율을 높였으며, 발아소요기간 또한 단축시켰다.
        6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wild vegetables; Gondalbi (Cirsium setidens),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and Jandae (Adenophora triphylla var. Joponica Hara) seed to study whether priming with deep sea water results in enhanc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identif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priming solution, and duration of priming. Seeds were primed with 5 various concentrations (5%, 10%, 15%, 20% and 30%) of deep sea water (DSW) in 12 hours, 24 hours, and 48 hours at 24℃. Since Jandae had seed dormancy, it was kept for four weeks in refrigerator at 2℃ after priming treatment. In Deoduck, 5 percentage DSW prim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early germination percentage, radicle length, and plumule emergence percentage. Among the priming period of treatments, 24 hours priming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his treatment whereas, in Jandae, 12 hours priming with 10 percentages DSW significantly improved the germination percentage and germination rate. This treatment had increased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by 54%, 15% and 40% compared with control, plain water and KNO3 priming respectively. But in Gondalbi, priming did not improve the germination of seed. However, among the priming treatments, 12 hours priming with 3% KNO3 and 20% DSW gave better performance. In both the wild vegetables; Deoduck and Jandae, priming in deep sea water had improved the germination percentage and germination rate as compare to plain water, KNO3, and without priming treatment. Hence the best seed priming treatment on Deoduck and Jandae are 24 hours with 5% DSW and 12 hours with 10% DSW respectively.
        67.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rice (cv. 2005 Thaoi) seeds to study whether priming with deep sea water (DSW) results in enhancement of seed emergence and seedling growth and to identif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Deep Sea Water (DSW) for priming.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subsequently. In experiment 1, four concentrations of the DSW (10%, 20%, 30% and 40%), and in experiment 2, five concentrations of DSW (10%, 15%, 20%, 25% and 30%) were prepared and seeds were primed for 24 hours duration at 25℃. Beside this, hydro priming with plain water was also included as a control. Experiments were laid out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with three replications. Result showed that 20% DSW seed priming treatment had improved the emergence, seedling height, number of roots and root length as compare to other with DSW or without DSW treatments. Beyond 20% DSW priming (i.e. 25%, 30% and 40%) were not suitable for priming the seed. On the basis of seedlings growth parameters; emergence, seedling height, root number and length, and shoot root ratio, 20% DSW priming was the best priming treatment.
        68.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발아율이 낮고 발아가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발아소요기간이 긴 고로쇠나무 종자의 발아율 및 발아속도를 향상시키고자 PEG를 이용한 priming 처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분퍼텐셜을 0, -0.25, -0.5, -1.0, -2.0MPa로 각각 조절한 PEG 용액에 3일 동안 침지시켜 priming 처리한 고로쇠나무 종자는 무처리구에 비해 priming 처리구에서 발아율,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가 향상되었다. 특히, -2.0MPa 처리구에서는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priming 처리는 무처리구에 비해 휴면율이 낮게 나타나 휴면타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iming 처리가 종자발아 뿐만 아니라 유묘활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priming 처리 후 발아된 종자로부터 생장한 유묘를 대상으로 상대생장율 및 T/R율을 조사한 결과 -2.0MPa 처리구의 유묘에서 상대생장율은 가장 높고 T/R율은 가장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2.0MPa의 수분퍼텐셜에서 3일 동안 priming 처리하는 것이 고로쇠나무 종자에 있어 가장 합리적인 종자처리 방법이라 할 수 있었다.
        69.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종자의 초기발아 촉진을 위한 priming 처리시 그 적정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priming 처리 약제의 종류와 농도, priming 처리 기간과 온도, priming 처리후 온도조건에 따른 발아율에 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파종자의 초기 발아 촉진 및 발아율 향상을 위한 priming 처리결과 최종 발아율 향상 및 발아 소요일수 단축에 효과적 이었으며, priming 처리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150 mM 농도의 KCl이였으며, priming 처리기간 및 온도는 10℃ 에서 6 일간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발아율은 96%로 일반종자의 82% 에 비해 14%가 높았다. 2. Priming 처리한 종자는 발아온도 20℃ 이상보다는 10℃ 및 15℃ 의 저온에서 발아율 향상 및 발아 소요일수 단축 효과가 커서 적온보다는 저온에서 priming 처리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Priming 처리한 후 종자 건조 조건은 20℃ 에서 5 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좋았다.
        7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whether priming with deep sea water results in enhanc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to identif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priming solution, and duration of priming using sweet pepper (Cv. California wonder), rice (Cv. Ilpum) and ginseng seed. Sweet pepper and rice seeds were primed with 5 various concentrations (5%, 10%, 15%, 20% and 30%) for deep sea water for 48 hours, 24 hours and 12 hours at 25℃ and ginseng seeds in 5%, 10%, 15%, 20%, 25% and 30%, and 2,4,6, and 8 electrical conductivity (EC) which were made by desalinating deep sea water. Priming in deep sea water (DSW) improved the early and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mean germinal on rate, emergence percentage and root and shoot length, compared with plain water, KNO3 and without priming treatments. In sweet pepper, 24 hours priming with 5 percentage DSW significantly improved the early germination percentage and radical length. It has also improved the mean germination and emergence days and early emergence percentage, compared with KNO3 and control. Whereas, in rice, 48 hours priming with 10 percent DSW significantly improved the early germination percentage, plumule emergence percentage, root length and shoot height. Hence the best seed priming treatment on sweet pepper and Rice are 24 hours with 5 percentage DSW and 48 hours with 10 percentage DSW, respectively, whereas in ginseng, priming with EC4, EC8 and 25% DSW had shown better germination.
        72.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Korea, production of super sweet corn has been economically feasible and is substituting for traditional sweet corn due to better flavor in recent years. Major limiting factors for super sweet corn production are low field emergence and low seedling vigor. The optimum water potential (WP) for the priming of normal and aged seeds of dent, sweet (su) and super sweet (sh2) corns was studied to improve low seed quality. Seeds were primed at 0, -0.3, -0.6, -0.9, and -1.2 MPa of polyethylene glycol (PEG) 8000 solution at 15~circC for 2 days. Priming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rn, seed quality, and WP of PEG solution. Although WP of priming solution did not influence the emergence rate of extremely high quality normal dent corn seeds, it reduced time to 50~% emergence (T50) and increased plumule weight. In contrast, the emergence rate of aged field corn was improved by seed priming at 0 MPa and plumule weight and α-amylase activity was enhanced. The optimum WP for both normal and aged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was between -0.3 and -0.6 Mpa. At the optimum WP emergence rate, α-amylase activity, and content of DNA and soluble protein increased, while T50 an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reduced.
        73.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들의 대량번식법 개발을 목적으로 종자번식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부들은 종자 발아적온은 25~30℃이며, 명발아성이었다. 종자에 GA3,침지처리는 모든 농도 처리구 에서 발아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00mg.L-1 처리구에서 90.7%의 발아율을 보여 대조구에 비해 약 1.2배정도 발아가 촉진되었다. BA 침지처리에 의해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발아율이 현저히 낮아졌으며,500mg.L-1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KNO3및 Ca(NO3)2처리의 경우에는 Ca(NO3)2 100mM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76.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동력의 절약은 물론 농기계의 효율을 증진시키고 생산비를 절약하여 취약한 보리재배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일환으로 보리종자에 종자처리를 하여 발아시기와 유묘생장을 조정함으로서 벼·보리수확 동시파종재배를 실용화하기 위하여 보리종자에 프라이밍 처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발아율은 대조구보다 PEG 처리구에서 더 높았는데 처 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2. 평균발아율은 PEG 처리한 다음 수세하여 PEG를 제거한 종자가 수세하지 않은 종자에 비해, PEG처리 후 재건조 종자의 발아율은 건조하지 않은 종자보다 저조하였다. 3. 발아소요시간은 PEG 처리에 의해 크게 단축되었는데 처리기간이 길면 길수록 길었다. 4. 포장 출아율은 PEG 처리 종자가 대조구에 비해 훨씬 높았는데 처리기간이 지 연될수록,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조하였다. 6. 출아소요시간은 PEG처리한 다음 수세 하여 PEG를 제거한 종자가 수세하지 않은 종자에 비해 단축되었으며, PEG 처리 후 재건조 종자는 재 건조하지 않은 종자보다 지연되었다. 7. PEG 처리 종자의 포장 출아율은 모든 토양수분 함량에서 대조구 보다 훨씬 높았으며, 포장 용수량의 50%에서 70과 90%보다 높았다. 8. 토양수분함량별 출아소요시 간은 포장용수량의 50%토양수분함량에서 가장 단축되었으며, 이보다 높으면 지연되었다 9. PEG 처 종자의 유묘장은 D.W 프라이밍 종자가 대조구보다 컸으며, PEG처리 종자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작았다. 유근장도 이와 비슷하였다.
        77.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bacco (Nicotiana tabacum L. cv KF109) seeds were artificially aged in a controlled environment of 45~circC and 80% relative humidity condition for different duration up to 14 days before priming in polyethylene glycol 6000 solution of equivalent osmotic potential of -0.8 MPa for 8 days at 25~circC . The seeds aged only and primed after aging were germinated at 15~circC and 25~circC to observe the priming effects on the germination of aged seeds at different temperature. The germination percentage of the aged seeds was rapidly dropped starting from 8 days of aging and mean germination time (T50 ) was greatly increased, particularly in germination at 15~circC . The germination capacity was greatly restored in the primed seeds after aging, particularly in the seeds of longer aging and germinating at 15~circC .>.
        78.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smoconditioning and hardening effects for the seed germination of normal and naturally aged rice seeds were studied through analyzing the total sugars and α -amylase activity. The normal seeds which used to have high germination rate accelerated germination with the osmoconditioning at the suboptimal temperature of 17~circC . On the other hand, the aged seeds did not affect germination rate at 25~circC , while increased germination rate and accelerated germination a little at 17~circC , Hardening of aged seeds increased germination rate by 10-15% compared with control seeds at both 17 and 25~circC and accelerated germination. Total sugar content and α -amylase activity of normal seeds were higher than did aged seeds. The aged seeds with treatment of osmoconditioning and hardening increased total sugar content and α --amylase activity, but hardening was more effective than osmoconditioning. The α --amylase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sugar content and germination rate.
        80.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어린 묘 중에서 가장 판매주수가 많은 것이 고추 묘로서 부가가치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는 발아와 균일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아와 균일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priming 처리중의 광질처리와 발아온도에 따른 발아율의 변화를 추적하여 고추 공정묘 생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명고추 [(주)중앙종묘]와 왕고추[(주)동부한농종묘]를 공시품종으로 파종 전처리는 priming 제 [KNO3; Ca(NO3)2], 농도 (0, 150, 300 mM), 처리기간 (0, 6, 12일), 광질 (적색, 초적색, 청색, 암)과 발아과정에서는 온도 (15, 25℃ 항온, 25/15℃ 변온)를 달리하여 발아과정에서는 백열등으로 조사하면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riming제로서는 KNO3보다는 Ca(NO3)2가 발아율을 향상시켰으며 최종발아율과 T50은 공시품종 모두 Ca(NO3)2로 6~12일간 priming 처리하는 것이 처리하지 않는 것보다는 각각 증가되거나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발아온도 25℃ 항온에서 파종 후 5일까지는 암상태에서 priming한 것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나 파종 7일 이후에는 초적색광을 조사하면서 priming할 경우 가장 낮았다. 3. 발아율은 25℃ 항온에서 가장 높고 15℃ 항온에서는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25/15℃ 변온에서의 최종발아율은 25℃ 항온에 근접하거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공시품종의 발아율은 priming 유무, priming 중에 처리되는 광질과 발아온도에 따라 변화되었으며 발아온도를 달리할 경우 파종 7일 후부터 priming중 적색광 처리시 발아율이 가장 높아 priming중의 광질효과도 발아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