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

        82.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서울시는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에 따라 버스전용차로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과거 가로변버스전용차로 설치를 시작으로 현재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구간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중앙버스전용차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에서 버스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으로 교통사고가 확률적으로 극히 드물게 일어난다는 점을 생각하여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을 선택하였으며, 과산포 존재여부에 따라 음이항 회귀모형으로 최종모형을 정립하였다. 중앙버스전용차로구간은 버스노선수, 중앙차로 진출입 유형수, 중앙차로 정지선 후퇴유무, 중앙차로 정지선과 횡단보도 이격거리, 교통량, 가변차로 정류장 정차노선수 6개의 변수에서 버스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변버스전용 차로구간은 우회전 버스노선수, 상습 불법주정차 유무, 보행신호시간, 토지이용형태 4개의 변수에서 버스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8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래의 폭발적인 차량의 증가와 지가 상승, 도시부 시가지 내에서의 지상공간의 공급한계, 자연환경 및 경관에 대한 사용자 요구수준의 증대 등 여러 이유로 지하공간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공간의 개발은 필연적으로 건설비의 증가로 이어지며 대형 구조물의 설치는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최근에 가능하면 도심 구조물의 경우 경량화, 소형화 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지하공간의 개발을 위해 대구광역시의 도시부 도로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지하차도 구조물을 대상으로 미시적 소프트웨어인 VISSIM 5.20을 이용하여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 도입에 따른 지체시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 도입 시 운영 방식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대형차량을 지하차도를 통해 통행시키지 않고 지하차도 상부 평면교차로를 이용해 통행하도록 하였으며, 교통특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접근로의 포화도(v/c)와 대형차량 혼입률을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통행시간의 변화를 알아보고 기존 지하차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의 도입은 토지매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른 환경훼손 및 친환경적 녹색교통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considered is the provisioning quantity determination problem of consumable concurrent spare parts (CSP) of a new equipment system to minimize the procurement cost under the operational availability constraint. When a part fails, repair of t
        4,000원
        92.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3.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어기본법’에는 한국의 글자는 ‘한글’ 하나이고 漢字는 외국 글자라고 규정하 고 있다. 이런 한글專用體制아래서 漢字語表記가 合理的으로 이루어지고 있 는지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漢字語를 ‘한글’로 적는 表記의 問題點을 살펴보았다. 이 방식에 서는 세 가지 問題點이 드러났다. 첫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으면 意味把握이 어렵다. 1) 韓國語의 辨別力이 떨 어진다. 2) 讀解速度가 느려진다. 3) 意味를 전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곧 漢字語固有名詞, 學術用語․專門用語․漢字語略語등이다. 둘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으면 發音을 正確히 할 수 없다. 1) 現行‘한글맞춤법’ 은 韓國語發音混亂의 主犯이다. 현행 ‘한글’이 한국어 발음을 정확히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2) 發音混亂을 막을 수 있는 두 가지 表記方式이 있다. 그 하나 는 ‘한글’을 長短音구별하여 적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漢字語는 漢字로 적게 하 는 것인데, 最上의 방식이다. 셋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어서 發生하는 그밖의 副作用들도 많다. 1) 英語등 外國語를 飜譯없이 韓國語안에 불러들인다. 2) 韓國語를 英語로 풀이하는 精神倒錯症的表記가 나타난다. 3) 소리 나는 대로 漢字語를 적는 엉터리 한글 표 기가 나타난다. 제3장에서는 漢字語를 ‘한글(漢字)’로 적는 方式의 問題點을 살펴보았다. 첫째, 두 가지 문자를 竝用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한글專用이 不可能함을 스 스로 인정하는 矛盾的表記다. 둘째, ‘한글(漢字)’은 努力과 空間을 浪費하게 하 는 非經濟的二重表記이다. 셋째, ‘한글(漢字)’은 正確한 意味와 發音을 적기에 는 非效率的인 방식이다. 넷째, ‘한글(漢字)’ 表記에서 빚어지는 副作用들이 많 다. 1) 漢字의 象形性을 使用할 수 없다. 2) 漢字文化圈‘外來語表記’의 歪曲이 벌어진다. 제4장에서는 결론으로 漢字語를 올바르게 적는 表記方式을 살펴보았다. 漢字語표기의 最善策은 漢字로 적는 것이다. 곧 國漢字混用이다. 次善策은 ‘漢字(한 글)’ 방식의 國漢字竝用표기다. 따라서 現行‘國語基本法’은 ‘漢字’도 ‘한글’과 함 께 韓國의 두 글자라고 규정하고 國漢字混用을 하도록 改正해야 한다. 最小限筆者가 國漢字混用과 한글專用중에서 自由롭게 表記方法을 選擇하여 表記하 도록 ‘文字選擇權’이라도 許容해야 마땅할 것이다.
        6,400원
        9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누진가입도렌즈 피팅용으로 개발된 이동식 코받침(Moving Nose Pad, MNP)의 임상성능을 평가하여 누진가입도렌즈의 피팅실무에 효과적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현재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며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55명(남자 48명과 여자 7명)(평균 나이 53.1±4.6세)을 선정하였다. 현재 착용 중인 안경의 피팅 상태와 사용 만족도를 평가하고, MNP로 교체했을 때 피팅상태의 변화를 측정한 다음 2주 동안 사용한 후 자각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MNP로 교체된 안경을 착용하고 원거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피팅상태의 변화는 피팅기준점높이와 정점간거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MNP로 교체된 안경을 2주 동안 착용한 후 자각적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47%가 컴퓨터 작업을 할 때 흐려 보임을 경험했고 그 가운데 95%는 안경을 위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선명한 시력을 얻었다. 82%가 독서할 때 흐려 보임을 경험했고 그 가운데 96%는 안경을 위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선명한 시력을 얻었다. MNP로 교체된 안경에 적응하는 시기는 86%가 1주일 이내라고 응답하였다. 결론: MNP로 교체된 안경의 피팅상태가 유의한 변화를 보였지만, MNP로 인한 적응기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며, 누진가입도렌즈에 적응하기 어려운 불편감을 경감시키거나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5,400원
        9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식하지 못하지만 세상은 오른손잡이 중심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왼손잡이가 일상적으로 겪는 불편은 상상외로 많다.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연장, 주방기구, 사무용품, 가전제품, 가구, 의류, 악기, 의료기기, 스포츠용품, 공공시설 등 이들 대부분이 오른손잡이에게 맞춰져 있어 왼손잡이들은 자신들의 왼팔을 비틀어서 사용하거나 주손이 아닌 오른손으로 부자연스런 자세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왼손잡이는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상당
        4,000원
        9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thesis, we explain developing processes of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lift truck. Conventional power transmission system had some problems such as spatial constraints or low speed and high torque problem. Because conventional power transmi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