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8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knowledge-based engineering and a methodology for the assessment & measurement of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d safety of industrial systems using fault-tree representation. A fuzzy methodology for fault-tree evaluation seems to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ults, the membership functions must be approximated based on heuristic considerations. Conventionally, it is not always easy to obtain a system reliability for components with different individual failur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p.d.f.), We utilize fuzzy set theory to solve the adequacy of the conventional probability in accounting and processing of built-in uncertainties in the probabilistic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ramework of knowledge-based engineering through integrating the various sources of knowledge involved in a FTA.
        4,300원
        8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study the change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after the operation of Mokpo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MMSTP) an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MMSTP operation to the improvement of marine 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the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from land in dry weather were surveyed and estimated on the bases of the seasonal flow rates and the seasonal water qualities of streams and effluents located around Mokpo harbour from summer, 1997 to spring, 1998 before the operation of MMSTP, and the pollution loads of the inflow and the effluent of MMSTP were also surveyed and estimated from winter, 1998 to spring, 1999 after the operation of MMSTP. The treatment rates of MMSTP were shown to be about 49% in COD, 76% in TSS, 79% in VSS, 3% in T-N, 7% in DIP, 29% in T-P and -32% in DIN. The change rates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the inner harbour of Mokpo due to the operation of MMSTP were shown to be about 56% In COD, 78% in TSS, 84% in VSS, 45% in DIN, 22% in T-N, 34% in T-P and -14% in DIP. The contribution rates of MMSTP operation to the reduction of total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the entire Mokpo harbour were found to be about 3% in COD, 3% in 755,5% in VSS,1% in DIP, 3% in T-P and -1% in DIN.
        4,000원
        84.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kle taping and short period of walking on the treadmill on the range of motion (ROM) and proprioception at the ankle joint. Twenty healthy male subjects (mean age=24.2 yr) participated in this study. Goniometry and videotape replaying method were used to measure the ankle ROM. Passive sagittal and frontal plane motions were measured. The difference in degree between the stimulus point and the reproduced point was defined as an angular error.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four different phases: pre-taping (PRT), post-taping immediately (POT), post-5 minute walking with taping (P5M), and post-10 minute walking with taping (P10M). The ankle of dominant limb was taped by a certified athletic trainer using a closed basket weave technique. Participants walked on the treadmill at 2.5 mp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of the sagittal plane motion at PRT, POT, P5M, and P10M was 53.0, 30.5, 36.2, and 40.2 degrees, respectively. The frontal plane motion at PRT, POT, P5M, and P10M was 33.6, 13.9, 15.7, and 18.6 degrees, respectively. The angular error at PRT, POT, P5M, and P10M was 5.5, 1.6, 1.8, and 1.9 degrees, respectively. After 10 minutes of walking, the sagittal plane motion and frontal plane motion was increased by 9.7 and 4.7 degrees compared with POT, respectively. The propriocep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application of ankle taping. Both the restriction of frontal plane motion and proprioception improvement at the ankle joint may contribute to ankle stability during walking.
        4,000원
        85.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pper limb nerve mobilization (ULNM) on functional recovery of upper extremity in hemiplegic patients following stroke. Twenty patients who had functional impairment on upper extremity were participated.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n=10) received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only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n=10) received ULNM treatment along with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for the same period. Upper extremity functions were assessed by manual muscle test (MMT), modified Ashworth scale (MAS), and Fugl-Meyer assessment (FMA)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upper extremity functio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MT (p<.01) and FMA (p<.01), however only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MA after the treatment (p<.05). Moreover,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in MMT (p<.05), MAS (p<.05), and FMA (p<.05). We conclude that the upper extremity functions is a useful additional therapeutic technique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upper extremity deficits in hemiplegic patients.
        4,200원
        8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 중, 넘어지는 사람들(fallers)과 안 넘어지는 사람들(nonfallers)의 경부, 체간, 하지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남자 6명, 여자 22명, 나이 65세에서 88세의 노인으로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사람들을 두 개의 집단으로 한 사람씩 면접을 통해 분류하였다. 대상자 선정 이전 일년 동안 한번 이상 넘어진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넘어진 사람들로 규정, 그리고 넘어진 경험이 없는 사람
        4,000원
        87.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ATP bioluminescence to measure the degree of microbial contamination from raw meat, meat processing and milk processing lines. Samples collected from slaughter house, meat and milk processing plants were tested for estimation of bacterial number by using ATP bioluminescence and conventional method. The former result was transffered to R-mATP value(log RLU/㎖), and the latter transffered to CFU(log/㎖).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aerobic counts(CFU, log/㎖) and R-mATP(log RLU/㎖) value was 0.93(n=408). R-mATP of aerobic counts from beef, pork, chicken was 0.93(n=220), and that was 0.93(n=187) between meat processing and dairy processing plants. In addition,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aerobic counts and R-mATP was 0.87(n=252) under 1 × 10^5/㎖ of bacterial count and 0.74(n=152) over l0^5 respectively.
        3,000원
        8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소의 건설과 가동이 증가 추세에 있다. 수년에 걸친 발전소의 건설 과정에서 부지의 매립과 준설은 저서 해조류의 서식처를 교란시키고 이는 나아가서 종조성의 변화를 야기한다. 발전소가 정상 가동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다량의 온배수를 주변으로 방출하는데, 고착성 해조류는 수온의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냉각수가 복수기를 통과하면서 수온이 7~12
        4,000원
        90.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면 먼저, 인체의 각 관절 주위에는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하는 감지기 역할을 하는 기계적 감수기가 있다. 이러한 감수기는 크게 네가지로 구분되어지는데 대개 I형 감수기, II형 감수기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각각의 감수기의 특성(표 2.)을 알아보면, 루피니(Ruffini)감각기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는 I형 관절감수기는 주로 운동의 속도(speed)와 방향(direction)을 감지(detection) 하며, 파시니안(P
        4,200원
        91.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effective rehabilitation of the shoulder, physical therapists must have correct knowledge of shoulder mov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houlder movements and the rotation of the humerus in the sagittal, coronal and scapular planes. Fifty normal subjects(25 male, 25 female) were tested using a Dualar-plus digital goniometer and an air-splint. The subjects performed active shoulder elevation in each plane with the humerus rotated in both medial and lateral directions. The range of motion(ROM) of the glenohumeral joint was measured three times.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ROM between medial and lateral rotation of the humerus. Results showed that, in the sagittal and the coronal plan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 < 0.01) in ROM of the shoulder between medial rotation and lateral rotation which was greater. But in the scapular plan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dial and lateral rotation. Physical therapists should consider these results when the goal of treatment is to increase ROM of the shoulder.
        4,000원
        9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echniques of joint mobilization and traction are used to improve joint mobility or to decrease pain by restoring accessory movements to the shoulder joints and thus allowing full, nonrestriced, pain-free range of motion. In the glenohumeral joint, the humeral head would be the convex surface, while the glenoid fossa would be the concave surface. The medial end of the clavicle is concave anterioposteriorly and convex superioinferiorly,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sternum is reciprocally curved. The acromioclavicular joint is a plane synovial joint between a small convex facet on lateral end of the clavicle and a small concave facet on the acromion of the scapul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articulating joint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gliding is defined by the Convex-Concave Rule. If the concave joint surface is moving on a stationary convex surface, gliding occu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lling motion. If the convex surface is moving on a stationary concave surface, gliding will occur in an opposite direction to rolling. Hypomobile shoulder joints are treated be using a gliding technique.
        4,200원
        9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goniometric measurement of joint motion. Subjects were 40 healthy university student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4 inexperienced physical therapy students. Four different instruments were used and three readings were taken with each instrument in random order making a total of 12 readings for flexion of the right elbow of each subject. Goniometers used were 1. universal 2. fluid-based goniometer/inclinometer 3. digital LCD goniometer 4. electronic goniometer/torsiome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ncurrent validity was highest (r= .94) with the universal and digital LCD tools. Interrater reliability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good for each tool. Interrater reliability calculated by ICC(2,1) was highest (.96) with the tensiometer and lowest (.78) with the digital LCD goniometer. Intrarater reliability calculated by ICC was excellent () for all instruments. These results show that concurrent validity,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are very good in the used of all four types of goniometers/inclinometer/tensiometer, even with inexperienced raters. These results confirm the almost universal reliance on hand held goniometers for joint measurement by physical therapists as being a reliable practice.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clinically with actual patients.
        4,000원
        9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6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스트레스테스트 추진계획 및 수행지침을 확정하였으며, 극한 자연재해에 대한 구조물 · 계통 · 기기 건전성 평가 시 현장점검을 실시하여 지진건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형 또는 상태 변화 발생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지진 현장점검은 ASME/ANS PRA Standard-2009 또는 EPRI NP-6041에서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가동원전 스트레스테스트 수행 시 지진 현장점검은 극한자연재해에 대한 구조물 · 계통 · 기기 건전성 평가를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가동원전에 대한 구조물·계통 · 기기의 지진 현장점검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96.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를 대상으로 보의 기립각도를 고려한 유사의 퇴적과 델타의 발달 과정을 파악하였다. 가동보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는 배수의 영향으로 유속이 느려지면서 퇴적이 되고 델타가 형성되며 하류로 이동하였다. 각 실험조건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델타의 이동속도는 델타는 시간이 지나면서 현저하게 감소하고, 보에 접근하였다. 무차원 델타의 높이(hd/h)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델타의 이동속도(SD/V0)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델타의 높이(hd)가 증가할수록 수심(h)은 감소하였다. 델타의 유효높이(hw)가 크기 때문에 델타의 체적 (VxD)은 증가하지만 배수(backwater)의 영향을 받아 델타의 이동속도(SD)와 퇴적량은 감소하였다. 수로 경사가 일정할 때, 보의 높이(W)가 클수록 델타체적(VxD)이 증가하고, 델타의 전면부 길이비(hd/△S)는 1에 가깝다. 같은 유량조건인 경우에 가동보의 기립 각도가 가장 클 때, 시간당 델타의 퇴적량(Qs)은 가장 작았다. 따라서 보의 높이(W)가 클수록 델타의 발달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크다.
        97.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를 대상으로 수로경사 변화를 고려한 유사의 수리학적 발달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에 의하여 형성된 델타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하류로 이동하며, 델타높이(hd)는 증가하였다. 또한 보에 도달 할수록 흐름이 약해지면서 델타의 이동속도(SD)는 감소하였다. 무차원 델타 위치(xD/x)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델타의 유효높이(hd/hw)와 무차원 저수지 용량(VxD/Vx)이 증가였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수로경사(i)가 완만할수록 델타의 퇴적량(QS)이 감소하게 되며, 델타의 체적(VxD)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수 초기 델타의 전면경사가 완만하며, 델타가 하류로 이동할수록 델타의 전면경사는 증가하였다. 또한 수로경사(i)가 완만할수록 델타의 전면부 길이 비(hd/△S)는 1에 가까워지고, 무차원 델타의 높이(hd/h)와 무차원 델타의 이동속도(SD/V0)가 감소하였다. 델타의 높이(hd)가 증가할수록 수심(h)은 감소하였으며, 보에 접근하는 유속(V0)과 델타의 이동속도(SD)도 감소하였다.
        98.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식 현상은 발전소 및 대규모 난방가동시설 등의 각종 산업 현장에서 해결해야할 중대한 문제 중 하나이다. 특히 보일러 시스템의 높은 가동 온도 조건은 부식의 주된 원인으로 이러한 고온 부식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 및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직접 개발한 세라믹 코팅을 현장 보일러 시스템에 적용하는 실험을 통해 보일러 가동조건에 따른 내부식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특히, 현장 보일러 시스템에 적용하는 연구를 통해 고온 환경에서의 내부식성 뿐만 아니라 연소 후 발생하는 각종 생성물에 의한 보일러 관 부착 현상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세라믹 코팅의 내부식성에 대한 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보일러 관의 수명연장효과(잔여 수명 분석)에 대해서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99.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이클로트론은 양자 또는 중양자를 가속하는 장치로써 의료장비인 양전자방출촬영장치(PET)에 이용 되는 단반감기의 방사성의약품을 생산하는 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사이클로트론에서 방사성의약품을 생산 하기 위해선 가속된 양성자와 타켓과의 핵반응이 필요하며 반응 후 불필요한 중성자가 발생하게 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사이클로트론에서 발생되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콘크리트 차폐벽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방사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몬테카를로 모의 모사의 한 종류인 FLUKA를 통해 방사화된 방 사성동위원소를 추적하였으며, 콘크리트 차폐벽의 물성은 ppm 단위의 미량의 불순물이 포함된 물성과 불 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물성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발생된 방사화 핵종은 RESRAD-Build를 통해 인체에 미치는 피폭선량율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실험결과 불순물이 포함된 콘크리트 물성에서는 총 14개의 방사성동위원소가 생산되었으며, 인체에 미치는 피폭선량을 기준으로 분석 하였을 때, 60Co(72.50%), 134Cs(16.75%), 54Mn(5.60%), 152Eu(4.08%), 154Eu(1.07%)이 전체 선량의 99.9%를 차지 하였으며, 피폭의 위험도는 60Co 핵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물성에서는 총 5개 의 핵종이 나타났으며, 그 중 54Mn이 피폭선량의 99.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자의 유도 핵반 응에 따라 불순물이 아닌 56Fe에서 방사화 과정을 통해 Cobalt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나 콘크리트벽에 도 달하는 양성자의 개수가 작아 방사화를 일으키지 못하였다. 불순물의 포함 여부에 따른 피폭선량의 비교 결과 불순물이 포함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약 98% 높게 나타나 ppm 단위의 미량의 불순물이 방사화의 주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100.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치성천의 홍수범람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구간을 대상으로 하단배출형 가동보를 다단으로 배치하여 가동보의 관리수위별 저류 및 홍수조절 효과 를 기존 고정보의 설치 경우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축하여 목표하는 저류량과 하류부 홍수위 조절을 위한 가동보의 관리수위를 제안하였다. 하단배출형 가동보를 다단으로 배치할 경우 고정보 대비 하류부에서의 첨두 홍수위가 68.28%가 감소하였고, 대상구간의 총 저류량이 216%가 증가하였다. 인공신경망 학습모델의 구축을 위해 수치모의 결과 216개의 data 중 60%, 20%, 20%를 각각 학습, 검증 및 시험에 사용하였다. 학습결과 평균제곱오차가 0.1681 m2, 결정계수가 학습, 검증 및 시험에서 각각 0.9961, 0.9967, 0.9943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목표하는 저류량과 하천의 하류부에서의 홍수위에 대한 각각 가동보의 관리수위의 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