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81.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영월읍 북부 지역의 영흥리 물암골, 속골 및 삼옥리 일대에는 중기 석탄기의 요봉층이 남북 방향으로 길게 분포한다. 특히, 요봉층 내에는 품위가 높은 석회암이 발달되어 있어 석회석 자원으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요봉층내의 석회암의 구성 입자와 조직 및 지화학적 특징, 그리고 석회암의 부존 상태를 규제하는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요봉층의 석회암은 대체로 담회색 또는 담갈색의 세립 팩스톤(packstone)과 와케스톤(wackestone)으로 구성된다. 석회암의 구성 입자는 해백합, 유공충, 방추충, 개형충, 복족류 등의 다양한 생물 파편으로 이루어진다. 연구 지역의 요봉층 내 석회암의 CaO 함량은 48.12∼59.31% 범위이며, 평균 함량은 54.52%로 높다. MgO, Al2O3, Fe2O3 및 SiO2의 평균 함량은 0.32%, 0.05%,0.20%) 및 0.05%이다. 화학성분을 고려할 때 요봉층 석회암은 비교적 품위가 높은 석회암이다. 석회암의 Al2O3, Fe2O3및 SiO2의 함량은 석회암의 암상, 층리의 발달 정도, 그리고 셰일층의 협재 등에 따라 변화 양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일반적으로 연구 지역에서 요봉층 석회암의 CaO 함량은 층의 상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요봉층은 적어도 5회의 변형작용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첫 번째와 네 번째 변형작용 중에 생성된 습곡구조에 의해 요봉석회암의 부존상태가 크게 지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첫 번째 변형작용은 등사습곡과 엽리구조를 발달시켰다. 두 번째 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질구조 요소인 노두 규모의 등사습곡은 조사 지역 전역에 걸쳐 발달되어 있지 않고 오직 요봉층의 녹색 이암 및 밤치층의 암회색 이암에만 발달되어 있다. 세 번째 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된F3 횡와습곡과 이와 관련된 S3 엽리구조 및 네 번째 변형작용 중에 생성된 노두 규모 및 지질도 규모의 F4 습곡구조, 그리고 다섯 번째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충상단층 및 이와 관련된 습곡구조가 연구 지역 전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인지된다.
        4,300원
        82.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영월 남부 지역의 청림 일대와 충북 가창산 일대에는 중기 석탄기의 갑산층이 북북서 방향으로 길게 분포한다. 이 연구는 갑산층 내의 석회암의 구성 입자와 조직 및 지화학적 특징, 그리고 석회암의 부존 상태를 규제하는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갑산층의 석회암은 대체로 담회색 내지 담갈색을 띠며, 세립질의 치밀한 조직을 갖는다. 석회암의 구성 입자는 해백합, 유공충, 방추충, 개형충, 복족류 등의 파편으로 이루어졌다. 부분적으로 재결정 작용을 받아 세립의 결정질 방해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갑산층 석회암의 CaO, MgO, Al2O3, Fe2O3 및 SiO2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CaO 함량의 범위는 49.78 - 60.63%이며, MgO는0.74에서 4.63% 까지 변화한다. Al2O3와 Fe2O3는 각각 0.02∼0.55%, 0.02∼0.84% 까지 변화한다. 이들은 CaO의 함량이 비슷한 경우 이들의 값도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여 준다. SiO2는 대부분이 1.55∼4.80% 범위 내에서 변화하나 일부 시료에서 6%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낸다. CaO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석회암은 크게 49.78∼56.26%(A군)와 59.36∼60.38%(B군)의 범위 내에 분포하는 2개의 군으로 구분된다. A군의 석회암은 CaO의 함량 변화에 따라 Al2O3, Fe2O3 및 SiO2는 매우 불규칙하게 변화하며, MgO는 대체로 거의 비슷한 값을 갖는다. B군의 석회암 경우 MgO, Al2O3, Fe2O3 및 SiO2는 매우 비슷한 값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여 준다. 연구 지역의 갑산층 석회석 자원의 부존 상태를 규제하는 지질구조 요소들은 적어도 다섯 번의 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첫 번째 변형작용은 등사습곡구조를 형성시켰으며, 연구 지역 전역에 걸쳐 발달된 층리면과 평행한 엽리는 축면엽리로서 축을 갖는 노두규모의 습곡구조와 그와 관련된 축면엽리, 파랑습곡구조, 파랑엽리, 교차선구조 등의 지질구조 요소를 형성하였다. 세 번째 변형작용 동안에는 압축응력축의 방향이 대체로 동서 방향으로 바뀌었으며, 노두규모의 습곡구조, 파랑습곡구조, 파랑엽리, 교차선구조 등의 지질구조 요소를 형성하였다. 네 번째 변형작용은 세 번째 변형작용과 동일한 응력환경하에서 거의 연속해서 일어난 것으로 여겨지며, 지질도 규모의 향사구조 및 배사구조를 형성하였다. 다섯 번째 변형작용은 네 단계의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지질구조 요소들을 절단하는 취성 단층운동으로 특징된다. 이 중에서 갑산층 석회암의 분포는 첫 번째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등사습곡과 네 번째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지질도 규모의 향사 및 배사구조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4,300원
        83.
        199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rvey of the marine litter which has sunk and accumulated on the sea-bed was conducted over a 3-years period from 1996 to 1998 in eastern part area of the Southern sea.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many pots as many as to be occupies 655 of collected marine litters. The distribution of pots in area A is much more than that of pots in area B, and the near Hongdo island has the most pots compared with other areas. The density of pots is the highest when the depth is 61~70 meters.
        4,000원
        84.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연안에 위치한 대진, 갈남, 포항, 울산 등 4개 지역의 연안역을 대상으로 1994년 7월부터 1995년 4월까지 계절별로 4회에 걸쳐서 영양염과 유기물질의 분포에 관련된 환경요인, 영양염류, 부유성 유기물질 및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BOD는 울산 처용암이 모든 정점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염류의 농도는 근처에 오염원이 많은 포항과 울산의 처용암에서 전 조사기간 동안에 걸쳐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처용암은 조사된 모든 영양염
        4,000원
        8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mollusk on the Chinese liver fluke in the middle of August, 1997 at the upper area of Kyungan stream located in Yongin Kun, Kyungki province. The snails were collected from the shallow and irrigation route in a rural area located along the upper area of Kyungan stream. The snails collected by hand were brought to the laboratory and cercariae naturally shed from the snails, Parafossarulus manchouricus were examined. Parafossarulus manchouricus is medically important intermediate host of the transmission of digenetic trematoda to human. Each snail was placed in aerated tap water for the detection of cercariae and examined for expelled cercariae. Infection rate of the 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was 3 (1.5%) among 195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habitat. The identification of the cercaria of Clonorchis sinensis was performed as described by Komiya and Tajimi.
        3,000원
        87.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fish in the Cheju southeastern area was studied by the combined hydroacoustic and bottom trawl surveys in April 1994 and in July 1995, respectively. The main purpose of these investigations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is management and the biomass estima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demersal fish stocks in this area. The hydroacoustic surveys were performed by using a 50 kHz scientific echo sounder system with a microcomputer-based echo integrator. Acoustical measurements of fish abundance and distribution were conducted along the cruise tracks of research vessel and during all trawl hauls by continuous echo sounding. The average weight-normalized target strength for demersal fish aggregations wa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for the depth strata of trawl hauls and the weight per cubic meter of trawl catch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ish stocks in the 1994 survey area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condition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the 1994 and 1995 survey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SV〉, dB) for the depth strata of trawl hauls and the weight (W, kg/m3) per cubic meter of trawl catches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V〉 = - 32.8+ lOlog(W) The average weighted-target strength value at 50 kHz derived from this equation was .. 32.8 dB/kg. 2. In 1994 and 1995, both survey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fish abundance toward the southern area of the Cheju Island with high densities offish along the west coast ofth.e Tsushima Island. The highest demersal concentrations in the southern area of the CheJu Island appeared in bottom waters colder than 12℃.. . 3. From the results of combined bottom trawl and hydroacoustic surveys, the estunated fish densitie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Cheju Island were 1.5488 x 10-4kg/m3 in the 1994 surveyand 1.9498 x 10-4kg/m3 in the 1995 survey, respectively.
        4,000원
        90.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충의 발생예찰자료의 분석에 있어서 지리자료처리체계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국의 152개 병해충 발생예찰소의 해충 발생자료를 이용하여 해충지리적 분포정보를 집적하는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SPANS(Spatial Analysis Systme)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리분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근 10년간 이화명나방 발생량의 분포변동을 추적한 결과 일반계 품종이 확대 재배되기 시작한 80년대 중반터 고밀도 분포지가 급속히 확산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분포의 확산과 수축의 중심은 전북의 이리지역임이 확실하게 나타났다. 별멸구의 초기(7월초) 비래량의 분포를 비래후 온도조건과 결부시켜 후기(9월중)의 벼멸구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벼멸구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벼멸구 발생지의 분포도를 1990년 9월의 실재 발생분포도와 비교한 결과 경북 청도지역을 제외하고는 분포양상이 매우 유사하였다. 경사도, 고도, 재배작물 등의 분포도를 추정된 벼멸구 발생도와 함께 투시.분류(Overlay/Modeling)하는 기법을 사용한 결과 서남부지역의 벼멸구 국지적 발생위험지를 구분해 낼 수 있었다.
        4,000원
        91.
        198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adow fescue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엽면적(葉面積)의 수직적분포(垂直的分布)와 건물수량(乾物收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1. 엽면적(葉面積)의 수직적분포(垂直的分布)로서 품종(品種)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하층부(下層部)에 분포(分布)되어 상층부(上層部)로 갈수록 엽량(葉量)이 적어지는 품종(品種)(M), 중간층(中間層)에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분포(分布)되어 상(上) 하층부(下層部)
        4,000원
        9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M10 concentration trend and its characteristics over five different sub area in Busan from 2013 to 2015, data analysis with considering air flow distribution according to its topography was carried out using statistical methodology. The annual mean concentrations of PM10 in Busan tend to decrease from 49.6㎍/m³ in 2013 to 46.9㎍/m³ in 2015. The monthly mean concentrations value of PM10 were high during spring season, from March to May, and low during summer and fall due to frequent rain events. The concentration of PM10 was the highest in five different sub-area in Busan. High concentration episodes over 90 percentile of daily PM10 concentration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mean daily wind speed, and often occurred when the westerly wind or southwesterly wind were dominant. Regardless of wind direction, the highest correlation of PM10 concentrations was observed between eastern and southern regions, which were geographically close to each other, and the lowest in the western and eastern regions blocked by mountains. Wind flow along the complex terrain in Busan is also one of the predominant factors to understand the temporal variation of PM10 concentrations.
        9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the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using the high density urban climate observation network data of Daegu. The observ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February 2013. We used a total of 38 air temperature observation points (23 thermometers and 18 AWSs). From the distribution of monthly averaged air temperatures, air temperatures at the center of Daegu were higher than in the suburbs. The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was more than or equal to 25℃ and the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was more than or equal to 35℃ at the elementary school near the center of Daegu. Also, we compared the time element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diurnal variation of surface air temperature. The warming and cooling rates in rural areas were faster than in urban areas. This is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surface heat capacity. These results indicate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on the formation of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Daegu.
        94.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verage concentration of PM in Seoul metropolitan area satisfied the Korean air quality standard in 2010. Furthermore, concentration of PM in all boroughs across Seoul met the air environment standard in 2012. PM10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higher in center of Seoul in comparison to the rest, while PM2.5 concentration showed exactly the contrary result. We analyzed the effect that PM emissions from vehicles would have on PM concentrations across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average annual PM concentration recently decreased in Seoul although the number of vehicles registered annually continued its upward trend. By contrast,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s in Seoul showed a decline which suggested that correlation between annual average PM concentrations and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remained low. However, year-on-year vehicle registration rate recently showed a declining tendency in the same way as the trend of changes in average PM concentrations. Particularly, the upward trend in annual average PM concentrations in 2002 and 2007 was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in vehicle registration rate, suggesting that vehicle registration rat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PM concentrations.
        95.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the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Korea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12 times (from April 2007 to August 2014) were consisted of total 569 taxa; 89 families, 289 genera, 489 species, 5 subspecies, 66 varieties and 9 forms respectively. The 20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21 taxa of Korean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12 taxa comprising 2 taxa of grade Ⅴ, 8 taxa of grade Ⅳ, 23 taxa of grade Ⅲ, 40 taxa of grade Ⅱ, 39 taxa of grade Ⅰ. The introduced and naturalized plants were counted as 22 taxa, therefore naturalized ratio was 3.8%. 577 taxa listed consists of 223 taxa (39.2%) of edible plants, 168 taxa (29.5%) of medicinal plants, 202 taxa (35.5%) of pasture plants, 58 taxa (10.2%) of ornamental plants, 26 taxa (4.6%) of timber plants, 5 taxa (0.9%) of fiber plants and 4 taxa (0.7%) of industrial plants.
        96.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dentified concentrations, toxicities, and sources of polycy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heavy metals in roadside sediment from different areas of Gwangju Cit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3 sites of heavy traffic area (TA), downtown area (DA) and park area (PA) during February and June in 2014. The results showed a wide distribution range of PAHs concentrations between 0.139 mg/kg and 1.740 mg/k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AHs appeared in heavy traffic area (TA). The toxic equivalent quotients (TEQs) of PAHs in the roadside sediment ranged from 27 ng/g to 159 ng/g. The TEQs and PAHs ratio of heavy traffic area and downtown area was 9.1 to 11.0%,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s from potential sources to PAHs in roadside sediment were estimated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diagnostic ratios between PAHs. Vehicular (gasoline and diesel engine) emissions were found to the predominant contributor of PAHs.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highest in the heavy traffic areas.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raffic intensity and heavy metals, showed that AADT correlates very strongly with Cr, Cu and Pb concentrations. From the results of pollution index (PI) calculation for roadside sediment, heavy traffic area was severly polluted by heavy metals such as Cr, Cu, Pb and Zn. Contaminants in roadside sediment were found to be much affected by the vehicles. Therefore, roadside deposited sediments would be expected to be managedon a regular basis.
        97.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장교 케이블의 손상은 사장교 전체의 안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므로 케이블의 손상에 대한 유지관리를 필수적으로 해야한다. 이러한 유지관리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케이블의 고유진동수변화을 추적하는 방법이 있다. 지금까지 케이블의 고유진동수는 진동법에 의해 횡방향 진동으로 추정하여 왔으며 시스템인식기법은 반복법에 의한 민감도방정식으로 축방향강성을 추정하나 새그의 영향으로 종방향운동에 대한 고유진동수의 분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종방향운동에 의한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손상을 추정함으로써, 종방향운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의 적용결과를 근사해인 유한요소해석결과와 비교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제안된 방법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케이블손상과 고유진동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손상률이 증가할수록 고유진동수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케이블의 실측 고유진동수를 알 때 케이블손상과 고유진동수와의 관계식을 통해 케이블의 손상정도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98.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s of thermal difference in atmospheric boundary layer due to the different sophist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in Busan metropolitan areas, several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ACM (Albedo Calculation Model) and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as applied for estimating albedo and meteorological elements in urban area,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coarse aggregated and small buildings, diurnal variation of albedo is highly frequent and its total value tend to be smaller in densely aggregated and tall buildings. Estimated TKE and sensible heat flux with sophisticatedly urban building parameterization is more resonable and valid values are mainly induced by urban building sophistic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uggest that decreased albedo and increased roughness due to skyscrap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sult of thermal change in atmospheric boundary layer.
        99.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조사는 2006년 3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전라남도 동부지역 7개 시 군 14개 지역의 귀화식물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은 총 22과 75속 118종 5변종 123종류가 조사되었다. 조사지역별로는 순천시 시가지가 83종으로 가장 많았고, 여수시 산업단지 66종, 여수시 시가지와 고흥군 도로변이 각각 52종이었다. 낮게 나타난 지역은 순천시 쓰레기매립장과 장흥군 농공단지가 각각 21종, 구례군 지리산국립공원 구례지역이 27종이었다. 도시화지수는 순천시가 30.31%로 가장 높았고, 구례군이 18.12%로 가장 낮았다. 과별 출현 종류는 국화과 37종류(30.1%)로 가장 많았고, 벼과 17종(13.8%), 콩과 14종(11.4%), 십자화과 8종(6.5%), 마디풀과 7종(5.7%), 메꽃과 5종(4.1%) 순이었다. 주요 귀화식물군락은 아까시나무군락, 족제비싸리군락, 원추천인국군락, 털물참새피군락, 서양민들레군락, 미국자리 공군락, 양미역취군락, 소리쟁이군락, 개망초군락, 망초군락, 달맞이꽃군락, 미국가막사리군락, 기생초군락, 돼지풀군락, 만수국아재비군락, 울산도깨비바늘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 애기땅빈대군락, 미국개기장군락, 비짜루국화군락 등 총 20개 군락이 확인되었다. 생태계 위해 귀화식물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등 5종이었다. 생육지별 특성에 따라 시 군 읍 지역, 국립공원지역, 농공단지 지역, 강 및 하천지역, 쓰레기매립장 지역, 항만 및 산업단지 지역 등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분포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한 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100.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13분류군이며, 목본식물은 25과 51속 70종 9변종 7품종 86분류군(27.5%)이고, 초본식물은 43과 140속 194종 32변종 1품종 227분류군(72.5%)이 조사되었다. 초본식물 227분류군 중 일년생 초본은 42분류군(18.5%), 이년생 초본은 24분류군(10.6%), 다년생 161분류군(70.9%)가 분포한다. 2. 조사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범위로 3A가 37분류군, 3B가 16분류군, 2A가 70분류군, 2B가 96분류군, 1A가 9분류군, 1B가 85분류군으로 분포하고 있다. 3. 자원식물은 293분류군이다. 유용성에 따라 식용자원 156분류군(49.8%), 약용자원 223분류군(71.2%), 관상자원 141분류군(45.1%), 초지자원 69분류군(22%), 공업원료자원 12분류군(3.8%), 목재자원 8분류군(2.6%)으로 나타났다. 4. 특산식물로는 10과 10속 9종 2변종 1품종 12분류군 (3.8%)이다. 5. 환경부의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미선나무와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위기종인 붓꽃과의 솔붓꽃이 조사되었다. 6. 식물구계학적인 특정식물종 V등급의 1종, IV등급의 1종, III등급의 5분류군, II등급의 3분류군, I등급의 9종으로 모두 19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 7. 귀화식물은 10과 20속 23종 1변종으로 2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환경부의 자연환경 보전법에 의한 생태계 교란외래식물은 돼지풀과 서양등골나물 2분류군이 있다. 귀화율은 7.7%, 도시화지수는 8.4%로 분석되었다. 8. 귀화식물의 귀화도 5등급의 13분류군, 4등급의 1종, 3등급의 8분류군, 2등급의 1종, 1등급의 1종이 있다. 이입 시기로는 제1기 귀화식물 12분류군, 제 2기 귀화식물 3분류군, 제 3기 귀화식물 9분류군이 있다. 9. 원산지별 귀화식물로는 중국 1종이 있고, 유라시아 4분류군, 유럽 10종, 중북미 9분류군이 도입되었다. 생활형을 구분하여 일년생 초본은 7분류군, 이년생 초본은 5분류군, 다년생 초본은 10분류군이 있으며 목본으로는 2분류군이 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