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81.
        2011.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여성결혼이민자와 외국인 노동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한국은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이 늘어나면서 2006년 이후 부터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 문제가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이들은 외국인 부모님 밑에서 자랐기 때문에 같은 또래의 일반가정 자녀들에 비해 한국어 발달 정도가 늦다. 이러한 언어적 격차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더욱 심각하게 드러났다. 이 차이를 좁히기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대상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문제까지 개선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교재들을 많이 쓰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교재의 내용에 있어서도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교재들을 언어 사용 측면, 언어 지식 측면, 문학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재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 수준을 일반가정 자녀들의 수준까지, 공교육에서 말하는 학년별 언어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 나아가 부진한 교과 학습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8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울에 위치한 S 초등학교 180명, D 중학교 250명, S e-비지니스고등학교 250명, 총 68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3주간 대조군(무처리), 오리엔탈 백합 중 향기가 있는 식물군(시베리아), 향기가 없는 식물군(옐로윈)으로 나누에 교실에 장식하여 교실 장식에 따른 연령별 학습집중력 변화와 정서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집중력은 연령별로 향기가 있는 화훼식물을 3주간 장식한 교실의 학생들에게서 초등학생은 평균4.27점, 중학생은 2.9점, 고등학생은 2.94점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초등학생들에게 가장 큰 효과를 가져왔다. 정서반응은 교실에 향기가 있는 꽃을 장식함으로서 학교생활이 즐겁다, 기분이 좋아진다, 꽃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등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연령별 반응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84.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 경북지역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전처리 채소와 가공식품의 유통단계를 분석하고, 유통과정에서의 미생물 변화와 학교급식에 이용되는 식재료의 미생물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유통 중 박피도라지에서 일반세균 CFU/g, 대장균군 CFU/g, E. coli < , S. aureus < CFU/g, B. cereus < CFU/g이 검출되었다. 전처리 양파에서는 일반세균 CFU/g, 대장균군 CFU/g이 검출되
        85.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planting status of school’s flower of 1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ung-ju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ly 3,502 trees were planted in the 11 schools and the number of species of the trees was 103. For tall tree Thuja orientalis was planted most frequently and for shrub Buxus microphylla was done in the largest number of the schools. In addition, the number of trees planted in a school was averagely two times more in the model schools than in the other ones, and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of trees was also over three times more in the model schools. When the number of species of tre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ir types, decidous broad leaved tree was found most frequently overall and the model schools had more various species of decidous tree compared to the other ones. Investigation on designation of school’s flower and tree with the 11 elementary school, revealed similar results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performed with the schools in other areas and the tendency meant that the designation was uniform to some degree. Moreover, as only a few school’s flower and tree were planted or no one was done in some schools, the species of school’s flower and tree needed to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school percepts of a school as well as local features and circumstances of a region. In additio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nfuse love for school and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by increasing the planting rate of school’s flower and tree and by focusing them.
        86.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8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written to show the direction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new Korean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will be used for all level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rom 2000. This paper is made by selecting and summarizing "The tentative of 7th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and Senior High School" developed by Sung Kyun K wan University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Committee directed by Ok-Ki Kang. This tentative curriculum will be proved in Ministry of Education and published in February 1998. The new mathematics curriculum is a level-type curriculum in which students study their levels that is not related to their grades. This type of curriculum is tried for the first time. The curriculum devises 20 levels for all of the students from grade 1 to grade 10. Slow learners may not learn a few high levels for ten years. Students in grade 11 and 12 can select a few mathematics subject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hopes and the colleges they want to enter. The main goal of this new mathematics curriculum is the mathematical power which will be the most important basic ability in the coming information society. Also, in this curriculum using technologies is emphasized and the topics available for the technologies are indicated. This new curriculum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