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7

        82.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llowing demonstrates similariti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food culture. The facts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cords kept by Korean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Japanese Envoys. Both countries used the numbers 7, 5, 3, in food treats. Both demonstrated Da do(茶道) style during banquet. Japanese Na-ra-dae(奈良臺) is similar to Korean Sue-bae-sang(壽杯床). Both countries had a Kan-ban(decorative table, 看盤) and Mi-soo(wine and someatables, 味數) during banquet. The composition of the table may be the same for both Korean Geo-sick-oh-kwa-sang and Japanese 3Jeup(soups) 15Che(dishes). Agasang is a Kan-ban(decorative table) of Choson's Da-do(茶道) style.
        4,800원
        86.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한국, 독일, 일본의 화학기업의 혁신경영의 구성요소를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의 대상은 설문지 조사에 참여한 총 121개의 화학기업(한국 36개, 독일 50개, 일본 35개)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혁신경영의 구성요소를 (1) 혁신에 대한 계획, (2) 혁신에 대한 조직, (3) 혁신과정(아이디어 창출단계, 아이디어 수용단계, 아이디어 실험단계), (4) 혁신에 대한 통제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혁신에 대한 계획은 독일의 화학기업에서는 $quot;시장지향적$quot;으로, 한국과 일본의 화학기업에서는 $quot;비용(원가)지향적$quot;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혁신에 대한 조직구조로서 독일의 화학기업은 기능적 조직구조를, 한국과 일본의 화학기업은 제품지향적 조직 구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혁신과정과 관련하여 조사대상국 사이에 많은 차이점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이 중에서도 아이디어 창출단계에서 볼 때, 한국의 화학기업은 $quot;기술수입$quot;에 주로 의존하고 있으며, 독일의 화학기업은 $quot;학문지향적 연구개발활동$quot;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일본의 화학기업은 $quot;기술적 독립을 위한 과도기$quot;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혁신에 대한 통제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의 화학기업은 독일의 화학기업에 배해 경제성 분석을, 독일의 화학기업은 한국과 일본의 화학기업에 비해 환경보호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6,900원
        8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lor design of Korean and Japanese wooden architecture.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of color decor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Buddhist 'Danchung' in the modern ages. In carrying this study into execution, I examined the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analysed the elements, techniques and principles of color de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Danchung' was originated from the practical functions in Chinese wooden architecture, and developed to embody sensuous beauty in Buddhist temple. The techniques and principles of color design and color tone of Korean and japanese Danchung had been similar in the ancient ages. But little by little they have differed in its function and color tone. So they are very different in modern times. 2. The dominant colors of Korean Danchung are red and green as 'Sang-nok Ha-dan(上綠下丹)', but Japanese's is only red as 'Bak-gan Juk-sun(白間赤線)' 3. Korean Danchung expresses and accentuates the important structural elements in three dimensions, on the other hand japanese Danchung takes two dimensional decoration on the unstructural elements 4. When seen in general, in Korean Danchung colors and their light and shade are simple and patternized. In the meantime, Japanese Danchung has many configurational expressions in general and is closed to paintings or picture.
        4,500원
        8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orrespondents of Chosun called on Japan twelve times, as a mission, from 1607 to 1811. The suite of Chosun Communication Facilities (correspondents) was composed of nearly 500 people including a senior envoy, a junior envoy, other envoyes, and cooks. After preparing traveling expenses, Sifts, foods, medicinal stuffs, and ginseng, they shipped people and freight in three passenger ships and three freighters. They departed from Pusan for Edo(Tokyo). There were 28 stop-overs on their way to Edo and the banquet was given for them at every stop. The arrangements of the table for each banquet were made up of 753 Seon(tables), 3Jeup(soups) and 15Che(dishes). 753Seon(tables) is Ganban(the table for decoration) and a substantial food reception was composed of 3Jeup(soups) and 15Che(dishes). 753Seon(tables) was called Dadopoong(the food of refreshment) style and this was the standard arrangement of the banquet table in Japan. It was comprised of 3Jeup(soups) and 15Che(dishes). On their way from Edo to Thusima Island, food was afforded to correspondents for later preparation and dining. The banquet that the master of Thusima Island gave was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style banquets. The first one was Chusun style and the second one was Japanese style.
        7,000원
        89.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일본에 있어서 된장은 극히 보편화된 전통식품이다. 최근에 양국에서는 된장의 가공과정에서 영양상 문제가 되고 있는 감염과 맛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 중의 일환으로 저자는 앞서 김치중의 Na과 K에 관한 보고를 했으며 금번 보고에서는 된장중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양국의 된장의 차이를 비교 해보고자 한다. 그 결과 유리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한국의 시판 된장과 가정에서의 재래식 재료된장이 유사했고 한편 일본도 시판 된장과 가정 제조 된장에서 길은 경향을 보였다. 유리아미노산 중에서는 glutamic acid의 수치가 가장 높은 점에서도 한국과 일본 된장에서 유사하여 한국시판 된장 22.7%. 한국가정 제조된장 17.5%, 한국시판청국장 11.5%, 일본 시판 10.4, 일본 가정 1% 등으로 분석 되었다. 즉, 이들의 글루타민산의 높은 함량이 양국의 된장의 맛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4,000원
        91.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search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wellings implanted into Korea in the time of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its influences on Korean modern dwellings especially in the time of 1930's. At the early stage of the colonial time(1905~1919),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were implanted into Korea for the Japanese official residences.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 was an urban modern dwelling compromised between Japanese style and western style and distinguished by an outer-court type plan, Japanese entrance hall, central corridor and western style reception room. After the 1920's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have spreaded itself and became a prototype of a modern dwelling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have influenced on the Korean high class dwellings and Korean architects' proposals for modern dwelling in the time of 1930's. By the implantation and spread of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Korean modern dwellings at the same time have affected and undergone transformation. The aspects of transformation were ; The outbreaking of the Japanese style entrance and central corridor, the transformation of MaDang from the inner court with a function of circulation into the outer court garden with plants and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dwellings from the rural inner court type into the urban outer court type. The central corridor type Japanese dwellings implanted into Korea in the time of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akes function as a precedent of a modern urban dwelling to Korean and makes Korean dwellings transform from the rural inner court type into the urban outer court type.
        5,200원
        95.
        199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96.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used in East-Asian countries, China, Korea and Japan. The terms and definitions enlist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ensory Analysis-Vocabulary, ISO 5492(second edition 1992) were used as the reference. It includes hardness, fracturability, chewiness, gumminess, viscosity, springiness, adhesiveness, granularity, conformation, moisture and fatness. The Chinese scripts used for the description of each textural terms in these three countries were compared and their native expressions were collected. The food items representing typical textual characteristic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were also listed.
        4,000원
        98.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산신사(談山神社)의 전신(前身)은 한반도로부터 일본으로 불교(佛敎)전래 이후 불교문화(佛敎文化)가 번성하던 7세기에 건립된 묘악사(妙樂寺)이다. 근세(近世)에 들어와서 국가적인 폐불훼석(?佛毁?)으로 신사(神社)로 바뀌었으므로 고대(古代)로부터의 1200년간 절의 불공(佛供)양식이 그대로 답습되어 전승되어 왔다. 신찬(神饌)이라고 하나 실제로는 고대불교문화(古代佛敎文化)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 문화의 교류가 빈번했던 한국고대의 식문화를 연구하는데 참고가 되리라 본다. 1) 고배(高排) 음식의 형태는 본신사(本神社)와 동시대(同時代) 동계통(同系統)의 춘일대사(春日大社)나 법륭사(法隆寺) 등 고대(古代)의 절이나 신사(神社)에 남아 있어서 현존하는 한국 고배차림과 상통하는 점을 뚜렷이 볼 수 있다. 단지 일본은 현재로는 사자(死者)나 신(神)에게 대한 제사에만 남아 있다는 점이 한국은 경사스런 행사에도 널리 쓰여지고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또 한가지는 본신사(本神社)의 고배형태가 단순한 원주형(圓柱型)에서상부가 지붕 같이 넓어지는 형태로 변형된 것이다. 그리고 한반도의 고배음식은 실제로 행사가 끝나면 나누어 먹을 수 있는 음식인데 비해 「백미어식(百味御食)」은 형태만을 화려하게 만든 상징적인 것이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외관상의 모양만을 만든 것이라 보고 신인공식(神人供食)의 사상으로 볼 때 고대(古代)에는 먹을 수 있는 음식이였을 것이다. 현재 한국의 고배음식은 원래 불교, 도교, 유교, 샤마니즘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아 인도와 중국에 근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뒷바침이 될만한 것이 없어서 앞으로 뿌리와 유래 그리고 변천과정 등을 조사해야 할 것이다. 2) 고배음식 위의 장식은 고추나 꽈리 등의 열매를 죽곶(竹串)(대나무 꽂이)에 꽂아서 더욱 화려하게 만든 점이 특징이다. 이는 이조(李朝)시대 궁중연회행사에서 고배음식에 상화(床花)로 꽂는데 까지의 발전과정에서 극히 시초단계의 형태로 본다. 생열매나 꽃이 보였고 다음이 떡으로 새나 꽃모양을 만들어 장식했고(사진 10) 그 다음이 계절과 관계없이 실크나 종이로 조화(造花)를 만들어 화려하게 장식했다. 3) 화도(和稻)의 문양(紋樣)은 매년 다르나 만형(卍型)은 필히 포함시키고 나머지는 다양한 종류중에서 선택한 것으로 보아 문양이 고대로부터 다양하게 발전했었음을 알 수 있고 만(卍)자를 필히 넣는 것은 본신사(本神社)가 절이였고 절형식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증명해 준다. 4) 황도(荒稻) 본(本) 제사에서는 현재의 벼보다 대가 수십센치나 긴 흑(黑), 백(白), 적(赤)등 3종류의 고대미(古代米)를 쓰고 있다. 적미(赤米)와 흑미(黑米)는 현미(玄米)의 일종으로서 품종(品種)과 계통(系統)에 따라서 종피(種皮)의 색이 적색계(赤色系)는 적미(赤米), 흑자색(黑紫色)인 것을 흑미(黑米)로 칭하여 사용했다. 백미(白米)는 현재의 도정된 쌀이라고 본다. 이도 원래는 대가 긴 고대미(古代米)였다. 춘일대사(春日大社) 제사에도 흑미반(黑米飯)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현재의 개량된 쌀이 되기 이전의 형태는 물론 최초에는 현미를 식용했던 점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술이 달린 벼의 대를 그대로 장식한 것이 특이하다. 이는 쌀을 귀중한 식량으로 꼽았던 것으로 본다. 5) 과실어공(果實御供)의 과일은 각종 야생열매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현재 우리가 식용하지 않는 과일, 채소, 구근류가 보인다. 고대식용(古代食用)식물의 재연구조사가 필요하다. 6) 고대(古代)제사나 현재 고배음식에서 보이는 오색(五色)은 오행설(五行說)에 근거를 두나 고대(古代) 신앙부터 다수의 종교의 부합적인 사상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본다.
        4,000원
        100.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본(日本) 내량시대(奈良時代)를 대표(代表)하는 춘일대사(春日大社) 약궁제(若宮祭)는 한반도(韓半島)와 종교적, 문화적 문류(文流)가 빈번하던 시대에 형성된 등원가(藤原家)의 씨사(氏社)로서의 제사이며 역사적(歷史的)으로도 백제인(百濟人)과의 관계가 밀접하여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식생활(食生活)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리라 보아 조사한 것이다. 1. 좌속신(坐俗神), 불교(佛敎), 유교식(儒敎式) 제사(祭祀) 및 경사스런 축하연에 쓰이는 종이, 실크, 떡으로 만든 조화(造花)장식은 최초에는 계절에 맞는 생화(生花)를 쓰다가 차츰 다양하게 변화했음이 보인다. 본(本) 약궁제(若宮祭)에서의 도라지꽃은 한반도에서 쓰여진 흔적이 없으나 일본(日本)에서는 제사(祭祀)로 쓰였다. 2. 소(小), 대어반(大御飯)은 시루떡의 시작이였고 백미(白米) 이전에는 현미(玄米)로 만들었다. 다시 쌀 외에 찹쌀, 팥 등 여러가지 곡물을 가미하게 됐다. 3. 채소의 종류는 근채류(根菜類)가 귀중한 채소로 꼽혔고 극히 단순한 조리법이였으리라 본다. 4. 당과자(唐菓子)는 쌀가루를 여러가지 형을 만들어 쪄서 튀겨서 먹는 것으로 보아 그 이후의 과자와 전병의 원조임을 알 수 있다. 5. 8의 어과자(御菓子)에서 둥근 메떡은 현재의 절편이나 가래떡의 시작이였으며 일본(日本)은 기호상 찰떡으로 변했다고 본다. 6. 제사에 최근에도 쓰여지는 곶감, 밤은 고대(古代)부터 이어온 식품으로 밤은 그 껍질채로 쓰여졌고 그 외의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갖가지 과일이 쓰여진 것으로 본다. 7. 염분(染分)과 사색(四色)은 적(赤), 황(黃), 청(靑), 백색(白色)을 말하며 그 색채가 원시적인 선명한 색깔로 본제(本祭)의 상징이며 대표적인 제물이다. 한반도에서는 과자, 사탕, 떡, 과일 등을 주로 이 4가지 색깔로 물들여 제사뿐만 아니라 경사스런 잔치에도 높이 고여서 축하의 뜻으로 차렸다. 8. 성물(盛物)에서는 검은콩, 흰콩, 팥, 비자로서 그 당시 중요한 곡물로서 나타났다. 9. 술은 청주(淸酒)를 쓴 것으로 보아 이미 그 시대의 고도(高度)의 제조법이 백제로부터 전해져서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신찬(神饌)과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사진 1, 2, 3에서 보여주듯이 직접 본(本) 행사(行事)에 참여하면서 제단형태, 의상, 절차, 그 외의 음악과 무용, 장식 등이 현존하는 한국의 전통적 풍물과 그 분위기에 이르기까지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을 느낄 수 있었다는 점이 본 제사를 통하여 고대식(古代食)을 추정하는데 간접적인 뒷받침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