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77

        8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due to the change to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and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2021, the paradigm for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is changing significantly, with the number of ESG topics and indicators that must be disclosed by industry from an autonomous material topic selection metho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mpulsory topic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by GRI standards 2021 is up to 2.4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number of material topics disclosed when domestic companies publish sustainability reports using GRI Standards 2020. In the oil and gas industry, I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I standards 2021 and the ESG topics covered by SASB by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and governance areas. In addition, the materiality test process, which is different in GRI standards 2021, is introduced, and the issues included in the following 10 representative ESG-related initiatives are summarized into 62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s for materiality test used in the topic pool.
        5,200원
        83.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거부터 해상은 육상의 도로와 같이 선박이 통항할 수 있는 항로가 지정되 어 있거나 선박 통항의 자유가 보장되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자원 개발이나 안 보 등의 여러 이유로 연안국의 관할권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선박 통항의 자유 가 보장되는 수역인 공해가 점점 축소됨으로써 선박 통항의 제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그 결과 연안국의 주권이 미치는 수역에서도 항해 의 자유는 보장할 수 있도록 무해통항권과 같은 제도가 마련되었다. 무해통항권이란 말 그대로 선박이 연안국의 관할권 수역을 통항함에 있어 연안국에 무 해할 경우는 선박 통항을 보장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국내 연안에 설 정되어 있는 유조선통항금지해역은 해당 해역을 통항하는 유조선의 유무해성 에 상관없이 통항을 금지하고 있어 국제법인 유엔해양법협약에 저촉될 수 있 다. 이에 일방적으로 유조선의 통항을 금지하기 보다는 유조선의 주의항해 및 연안국의 적극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조선통항주의해역으로의 변 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조선통항금지해역의 입법 취지 의 달성과 국제법의 저촉 문제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6,600원
        84.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licon oxide (SiOx)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mising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due to having a higher capacity than the commercial graphite anodes. However, its practical application is hampered by very large volume variations. In this work, pyrolysis fuel oil is the carbon coating precursor, and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is performed on SiOx at 200 and 400 °C (SiOx@C 200 and SiOx@C 400), followed by carbonization at 950 °C. SiOx@C 200 has a carbon coating layer with a thickness of ~ 20 nm and an amorphous structure, while that of SiOx@C 400 is approximately 10 nm thick and has a more semigraphitic structure. The carbon-coated SiOx anodes display better charge–discharge performance than the pristine SiOx anode. In particular, SiOx@C 200 shows the highest reversible capacity compared with the other samples at high C-rates (2.0 and 5.0 C). Moreover, SiOx@C 200 exhibits excellent cycling stability with a capacity retention of 90.2% after 80 cycles at 1.0 C. This result is ascribed to the suppressed volume expansion by the PFO carbon coating on SiOx after PVD.
        4,000원
        85.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mija seed oil was extracted from Omija seeds, a by-product of Omija, using an eco-friendly pressed extraction metho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12 extracts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seed moisture content (5, 7.5, and 10%) and extraction temperature (25, 49, 75, and 100℃) were then investigat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was 31.33%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75℃. The lowest acid value was 4.18±0.25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49℃ or moisture of 7.5% and temperature of 25℃. Peroxide value, iodine value, and saponification value were the lowest at 0.64±0.56 meq/kg, 159.38± 6.03, and 57.60±9.40, respectively,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25°C.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s was the highest at 4,413±125 mg TAE/100 g when the moisture content was 10% and the extraction temperature was 2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il extracts at 20~100 mg/mL were 28.68±7.30~87.65±2.20%. The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and IC50 were 87.65±2.20% and <20 mg/mL, respectively, for extract obtained at moisture of 10% and temperature at 100℃. As a result, the extraction yield, acid value, peroxide value, iodine value, saponification value, and so on were excellent at moisture content of 5%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25℃ or 49℃. However,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highest at moisture of 10%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100℃. In conclusion, extracting Omija seed oil from Omija seeds, a by-product of Omija, is effective with a pressed extraction method.
        4,300원
        8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수에 유출된 유류는 대기와 해수와의 접촉을 통해 다양한 풍화 과정(증발, 확산, 분산, 유화, 용해, 산화, 침전 및 생물분 해 등)을 통해 물리·화학적 변화와 함께 생물학적 분해과정을 겪는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풍화작용 중 가장 즉각적이고 빠르며 오염물질의 질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고 알려진 증발(evaporation)에 대한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휘발유, 등유, 경유 를 대상으로 25 ℃(해수 연평균 온도)와 35℃(적도 부근 온도) 조건에서 유류의 휘발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일정 기간마다 채취 한 유류를 전처리하여 GC/MS 분석을 수행하고, 탄화수소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4,000원
        8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olyketone (PK)을 이용하여 전기방사 조건에 따른 섬유 형상의 특성 변화와 유수분리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고습과 저습 조건에서는 마이크론 직경의 섬유가 형성되었으며, 특히 고습에서는 섬유의 표면이 거칠게 변한 것이 확인되었다. 섬유 직경을 micro에서 nano로 변경하기 위하여 방사용액에 염을 추가하였으며, 그 결과 섬유 직경이 약 9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rPK-LNC와 PK-H로 유수분리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oil/water 에멀션으로 중 력 조건에서 유수분리를 진행하였으며 total organic carbon (TOC)와 탁도를 측정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거율 확인결과 탁도가 TOC와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의 방사조건과 염의 유무에 따른 분리막의 섬유 형상과 물리적 특성변화와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