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7

        81.
        2019.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earch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performance and stock return of Vietnamese fishery companies. To conduct this study, quarterly data was collected for period from 2010-2018 of 13 fishery companies listing in Ho Chi Minh Stock Exchange (HOSE) and Ha Noi Stock Exchange (HNX). The export performance was measured by export intensity, export growth and export market coverage. In addition, interest rate, exchange rate, GDP, firm size, profitability, and financial leverage were considered as the control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Panel data analysis with Generalized Least Squares model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predictive regress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xport intensity and export growth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ock returns. However, export market coverage h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tock return at the 0.05 level. Profitability, financial leverage, and exchange rat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hile interest rate and GDP have no relation to stock return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 The findings imply that investors should consider the export intensity instead of export growth and export market coverage as selecting stock of fishery exports firms to invest; managers should increase export intensity to increase company’s stock price or firm market value.
        82.
        2019.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accrual anomaly on stock return ratio of listed firms in Vietnam. Data were collected from listed firms for the period from 2008 to 2018. To learn about the causes of accrual anomaly in returns and future rate of returns on the Vietnamese stock market, this research is based on accrual analysis of Richardson, Sloan, Soliman, and Tuna (2006) on growth and effective components. We employ GLS regression model for examining the impact of accrual anomaly on stock return ratio and T-test for chec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and the highest portfolio. The results show that accounting distortion is the main factor impacting the stock return, not growth determinant. Both two determinants of accounting distortion and growth contribute the explanation of the impact of accrual anomaly on profit and future stock return ratio. Experimental evidence confirms an abnormal existence of accrual in the  Vietnam stock market. Aggregate accrual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uture operating profit and future stock return. However, after considering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mpact of future profitability and return on stock retur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accounting distortion can account for low sustainability of income that is not growth.
        83.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 산지소하천 미세소유역별 돌발홍수 재현기간을 산정하고, 돌발홍수 실사례를 활용하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1시간 지속기간의 한계유출량과 SURR 모형으로 모의한 토양포화미흡량으로부터 돌발홍수능을 산정하였다. 이후 돌발홍수능을 초과한 과거 집중호우 사상(2002∼2010년)의 강우량과 재현기간별 유역평균확률강우량을 비교하여 미세소유역별 돌발홍수 재현기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돌발홍수 실사례(2011∼2016년) 강수량으로부터 추정된 재현기간을 활용하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돌발홍수 재현기간 산정결과 평균은 1.6년, 표준편차는 1.1로 산정되었으며, 1.1∼19.9년 범위로 나타났다. 적합성 평가결과 돌발홍수 사례별 추정된 재현기간의 83%가 돌발홍수 재현기간 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돌발홍수 재현기간의 적합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84.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uggested a vegetation restoration plan for a coastal area where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targeting the whole area of Dalmaji-gil, located in Haeundae, Busan. After distinguishing if it would be a proper site for the operation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by analyz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the current status of land owners, the target species for vegetation restoration was determined, and the facilities and program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patial division of the biosphere reserve. The basic direction is as follows. First, is the expansion of green space and the securement of life habitats downtown. Second, is the conservation of core areas by separating the conserved area from the space for use. Third, is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resting space and the reinforcement of an ecological educational progra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vegetation restoration plan of a coastal area, fully utilizing the existing vegetation of the subject area, by suggesting the land use and flow plann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vegetation restoration) plan, life habitats establishment plan, planting plan, and hydrologic plan, facilities, maintenance, and monitoring plan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ecosystem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surrounded by the ocean on three sides.
        85.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participants’ perception regarding improvements in education for their return to a mountain village, based on “satisfaction, motivation’s achievement, and effectiveness.” Survey was conducted with 80 participants in 2017, of which 64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the instructor and teaching materials”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motivation’s achievement of technology skills, social skills and effectiveness in interpersonal exchange.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if “the content of education” were satisfactory, there was effective self development. In addition, the higher the motivation’s achievement of social skill, the higher the perception in effectiveness of self development and interpersonal exchange. The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on return of people to their mountain villages, which are collaborating with civic groups,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86.
        2018.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ice discount is one of the commonly used promotion strategies to increase sales and revenue. If a discount is perceived before the purchase (i.e., pre-purchase discount), consumers are likely to perceive it as a potential gain. If it is noticed after making a regular-priced purchase (i.e., post-purchase discount), consumers may develop negative emotions and attitudes. Based on the rising transparency and omnipresence of price and discount information through web and mobile platforms, we attempt to tackle an understudied topic on the negative effect of post-purchase price discount. Specifically, post-purchase discount information may increase consumers’ perception of monetary loss, which may affect consumers’ decision to return the product, potentially increasing the operating costs borne by retailers. Based on a close scrutinization of the current market environment and previous academic literature, we suggest a novel conceptual framework to understand consumers’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 (perception of loss, willingness to return) upon perceiving various formats of discount promotion (absolute value vs. percentage discount) posterior to the purchase of a product. We also look at the effect of price level (low-priced vs. high-priced). For marketing practitioners, we intend to suggest optimal promotion formats that can alleviate consumers’ negative perceptions and prevent additional operation costs.
        8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식민시대 또는 전쟁점령 등에 의해 영토를 침탈(점령)한 국가들이 영유권 주장을 포기함으로써 침탈당한 국가에게 원래의 영토주권을 되돌려 준 사례들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독도 관련하여 억지 주장을 해 온 일본의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담론을 주도하는 한편 일본의 억지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할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침탈한 국가들이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주거나 아니면 억지 영유권 주장을 포기할 경우 어떤 계기로 어떤 요인이 작용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독도의 경우처럼 억지 영유권 주장을 해 온 일본과 같은 침탈국의 억지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해 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아시아, 중남미, 유럽, 구미 등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의 유사 사례들의 조사를 통해 20개의 영토갈등 사례들을 추출하였으며, 영유권 주장의 포기 및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준 요인 내지 배경을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및 외교안보적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많은 사례들이 외교안보적 요인들이 적지 않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별히 미국-쿠바 간 후벤투드 도서영유권 사례 등 침탈한 국가의 국가적 결단에 의해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준 사례들도 일부 도출됨으로써 일본 등 억지 영유권 주장을 하는 침탈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사회에 주는 시사점도 제시되었다.
        88.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lead consumers to visit traditional markets and buy market goods. Thus, the current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return intention a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level of factors on loyalty and how it influenced consumers’ visits to traditional markets in 125 adult adolescents and women living in Mok-po area.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obtained. The statistical data of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by SPSS. Results – In this study, consumers' perception level of eight loyalty factors can be perceived by the traditional Korean market. The empirical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selecting five representative variables influencing intention to return to traditional markets, Mok-po area consumers were affected by the intention to revisi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recognition level among these variables. Second,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product price, quality of access (accessibility) among the factors that consumers perceive as important factors in visiting traditional markets were heightened. Third, Mokpo residents are aware of the main important factors of visiting the market such as receiving a friendly atmosphere (image) about traditional market, market environment (hygiene and cleanliness), connection with the local economy, and customer service such as kindness, refund and return. These loyalty factors did not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revisit. In other words, image, environment, regional economic linkage, and these factor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Conclusions –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loyalty among the key factors that play a major role in visiting traditional markets should be identified and developed as loyalty facto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raditional market users, and operate a system that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manages and evaluates them. In order to do this, the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regularly conduct loyalty and satisfaction surveys on visa recognition levels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dramatic improvement measures.
        8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rural experience is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for the problems such as the decrease of the agricultural income facing the agriculture and the rural area,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and the regional stagnation. The rural experience has recently been transformed into a software dimension such as programs and participation activities in the past. In addition, public awareness also positively evaluates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as the basis for supporting society and recognition of multiple functions. Furthermore, the intention of the citizen to the earnest village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ural experie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on the recognition of return to farm and rural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arming villages by the program, the experience field and the host,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arming villag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rural experience is needed in the future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rural people in the 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arliest villages.
        9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컨테이너 화물의 수출이 수입에 비해 감소하면서 특히, 경인지역 내 공 컨테이너의 순환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 에 경인지역 내 공 컨테이너 반납지(의왕 ICD 및 인천항)에는 공 컨테이너가 계속해서 쌓여 가고, 일부 선사들은 공 컨테이너의 부산 반납을 의무화하여 업계 내 마찰까지 발생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경인지역 내 공 컨테이너 반납처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인지역 의 공 컨테이너의 반납처리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때, 개선방안을 선사 입장이 아닌 컨테이너 이용 주체 입 장에서 제시하고자 화주 및 운송업체, 컨테이너 운송기사 등 실질적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반납지에 대한 문제점 및 선호도를 파악하고, 종합 물류기업 A사의 운영 자료를 바탕으로 비효율적인 비용 구조를 분석하여 경인지역 내 공 컨테이너 반납처리 문제가 심화될 수밖에 없는 근 본적인 원인을 도출하였다. 경인지역 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천항 기능의 재정립, 경인지역 내 제3의 신규 장치장 확보, 효율적인 공 컨테이너 순환체계 확립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한 국가 차원의 법·제도 마련 등이 시급함을 시사하였다.
        9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1959-1969년 사이에 네 개의 장로교단(고신, 기장, 통합, 합 동) 사이에서 일어난 5차례의 연합운동에 대해 발생과정, 논쟁점들, 실패의 이유에 대해 고찰했다. ⑴ 제1차 연동-승동(훗날 통합-합동) 재연합운동 (1959-60)은 중립파와 선교사들의 중재로 시작되었다. 분열의 상처가 채 아물기 전이었고, ICCC자금 지원에 의존하여 승동측이 연동측에 신학교재 산을 되찾으려는 소송을 준비하는 중이었기에 화해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1960년 2월 조직된 통합측은 WCC탈퇴를 결정했다. ⑵ 기장-통합 귀일운 동(1961)은 한국신학대학 출신의 목회자들의 인적 관계로 인해 시작되었 다. 강단교류를 통해 우정회복과 신앙교류를 한다는 소박한 운동이었으나 통합측 교권의 반대로 중단되었다. ⑶ 제2차 통합-합동 재연합운동 (1961-63)은 고신-승동의 합동총회(1961)이후 희년총회(1962)에 일치를 기 대하는 평신도들의 열기에 힘입어 시작되었다. 실패의 원인은 NCC 탈퇴에 대한 이견 때문이고, 합동으로부터 성경장로교회(1961)와 호헌교단(1962) 이 분립했고, 고신이 환원(1963)함으로써 연합운동의 동력이 떨어졌다. ⑷ “합동촉진론”(1964)은 NCC를 탈퇴하고 합동과 일치하자는 주장으로 경북 지역의 통합측 노회 안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통합측 리더들은 무례한 유인물을 배포한 합동지도부들의 진실성을 의심해서 이 운동을 규제했다. “장로교연맹체론”(1964-65)은 기장-통합 소장파들로부터 시작되었고 교단 연합이 어려우니 연맹을 구성하자고 했다. 합동과 고신은 이에 응하지 않 았다. ⑸ 3차 통합-합동 재연합운동(1968)은 1967년에 합동교단에서 내부 교권갈등으로 지방주의(Synod제도 추진)가 강화되자 정치적 해결책으로 시작되었다. 합동측은 보수-진보 진영 논리를 강화해서 통합측의 신학적 내부갈등을 유도했다. 하지만 통합측 내부분열이 심해지자 통합총회는 1968년 9월 재연합운동을 중단시켰고, 이듬해 압도적인 다수표로 WCC복 귀를 결정했다.
        92.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모수(parameter)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정상성 확률분포를 훙수빈도분석에 적용하였다. 또한, 비정상성을 가정한 재현기간 및 위험도를 추정하였다. GEV (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를 사용하여 정상성 및 비정상성 모형 4개를 구축하였으며 비정상성 모형은 위치모수(location parameter)만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규모모수(scale parameter)만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위치 및 규모모수가 모두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의 3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축된 4개의 모형 중 적합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상대적 우도비 검정과 Akaike 정보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의 8개 다목적댐(충주댐, 소양강댐,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대청댐, 섬진강댐, 주암댐)으로부터 취득된 과거 관측 댐 유입량을 사용하여 제안된 절차를 적용하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적합모형 선정 결과 합천댐과 섬진강댐이 비정상성 GEV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6개 지점의 다목적댐들은 정상성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합천댐과 섬진강댐의 경우 비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이 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보다 작게 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93.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gram for return farm. In detail, this study evaluated the trainee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This Study polled 250 trainees who presented the Return farm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and the reliability 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return farm was the highest. Second, Trainees' replied that their Agricultural Techniques was improved. Especially, 'business administrative ability, cultivation techniques & management ability, and agricultural machinery using ability were enhanced. Their self-confidence of return farm was increased. Third, the correlation of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plan of return farm education program.
        94.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과확률 또는 비초과확률이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는 비정상성을 가정하여 재현기간 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정상성을 고려한 2가지 재현기간 산정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비정상성 Gumbel 모형을 이용한 빈도해석을 수행하여 초과확률 및 비초과확률을 구한 뒤 비정상성을 고려한 재현기간 정의에 따른 우리나라 재현기간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적용 대상으로는 자료기간 30년 이상을 보유하면서 일 강우 자료의 경향성이 나타나는 서귀포, 인제, 제천, 구미, 문경, 거창 등 6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적용결과 비정상성을 고려한 재현기간 산정 시 기존의 재현기간 산정 방법과는 재현기간이 다르게 산정됨을 알 수 있었고,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정상성 가정하의 재현기간과 비정상성 가정하의 재현기간 값의 차이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정상성을 고려한 재현기간의 2가지 정의 중 기대 대기시간(expected waiting time) 정의에 의한 방법이 기대 초과사상 수(expected number of exceedance event) 정의에 의한 방법 보다 작은 재현기간이 산정 되었다.
        95.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settlement motivation, life satisfaction factors, policy requirement targeting return farmers on mountain village. 8 target villages where return farmers live at least 10 people were selected according as co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through literature by considering the area of the whole country. The return farmers in target villages were conducted a face to face survey with village headman's pre-coordination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3. A total of 94 surveys were performed and 87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ed the decision to be a return farmer was "my family health(3.97)".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factors related with satisfaction of "return farmer life in general". The result showed that "change of physical health" was the most important correlativity with 0.544 correlation coefficient and 0.05 significant level and "family relationship" was followed with 0.424 correlation coefficient and 0.05 significant level. According to the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ful return-farmer life", 42.7% of respondents chose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local residents" and "stable source of income" was chosen by 29.3% of residents. A questionnaire for the analysis of policy requirements showed that "education system related Forestry(Agriculture)" was the highest demand with 4.oo points. The result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with activation of mountain villages to attract to constantly increasing population of return farmers.
        96.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뭄은 중요한 자연재해의 하나로서 수자원 관리 부분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55개 기상청 관측소를 대상으로 SPI지수에 따른 가뭄기간과 가뭄심도를 정의하고, 코풀라 이론을 이용하여 두 가뭄변수의 결합 확률 분포를 유도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가뭄의 발생 양상을 고찰하고 가뭄의 재현기간으로 제시하였으며,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가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가뭄의 재현기간별 SPI 지수로부터 대한민국의 충청도의 공주 및 충주 인근, 강원도의 원주, 인제, 정선, 태백 등의 지역이 상대적으로 가뭄에 취약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9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하천기본계획 수립에서는 해당 구조물의 설계 및 하천개수 계획의 빈도와 지속시간에 해당하는 확률강우량을 이용하고 있고, 이러한 확률강우량은 강우유출 뿐만 아니라 토양침식, 토사유출 등 강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현상들에 대한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률강우량에 대한 토양침식량 추정 시 필요한 빈도별 지속시간별 강우침식능 인자 산정을 위하여,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2011, 국토해양부)」에서 제시한 전국 71개 주요지점의 빈도별(20년, 30년, 100년) 지속시간별(60분, 120분, 180분) 확률강우량을 Huff 3분위 강우 시간분포에 적용하였다. 강우침식능 인자 산정 시 필요한 강우에너지식은 노재경(1984)이 제시한 식을 이용하였다. 빈도별 지속시간별 지점평균 확률강우량과 강우침식능을 비교한 결과, 지속시간이 강우침식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재현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강우침식능이 강우량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강우량과 강우침식능은 정확히 비례하지 않고, 이는 강우침식능 산정 시 이용된 각 지점의 Huff 시간분포 형태 및 강우량 크기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산정된 각 지점별 강우침식능을 IDW 기법으로 공간보간하여 등강우침식능도를 작성한 결과, 지속시간이 1시간일 경우 강우침식능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지속시간이 2시간, 3시간일 경우 확률강우량도와 유사하게 강화 인근의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의 강우침식능이 크고, 경북 내륙지방이 가장 작게 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된 전국 강우침식능 인자는 빈도별 지속시간별 토양침식량 산정 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고, 나아가서는 토양보존 계획 수립 및 토사재해 위험지역 파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9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그비 모듈용 소형 PCB안테나를 30mm×8mm의 좁은 영역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구현함과 동시에 안테나의 반사손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기생소자로 접지면과 이격되는 도체를 가지는 미앤더 슬롯 안테나가 제안된다. 본 논문을 통해 설계되어 제작된 안테나의 공진주파수는 대략 2.44GHz이고, 대역폭은 113MHz(VSWR≤2)이다. 방사패턴은 동작주파수영역에서 다이폴 안테나의 방사특성과 거의 유사하고, 안테나의 효율 및 이득은 각각 60% 및 2.7dBi이상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안테나의 모든 특성들은 지그비에 응용되기 위해 요구되어지는 규격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안테나의 타당성을 보여주기 위해 모의실험 결과 및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100.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상해 후 신체적 재활을 마치고 스포츠 팀에 복귀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재활 병원에서 신체적 재활이 완료되어 스포츠 현장으로 복귀하는 단체종목 남자선수 72명이다. 자료는 아이젱크 성격검사지와 스트레스 대처 검사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향성은 지원추구, 문제해결, 현실인정, 외면(부인)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병적 경향성은 문제해결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경증적 경향성은 지원추구, 문제해결, 현실인정, 외면(부인)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적용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