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5

        101.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건축 재료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있는 활성 황토는 850°C에서 소성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Poly-Vinyl Alcohol(PVA) 섬유와 GFRP 보강근은 활성 황토 콘크리트의 균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논문은 PVA 섬유 보강 활성 황토 콘크리트에 대하여 인발 하중에 따른 GFRP 보강근의 부착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연구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 결과, 황토가 치환된 PVA 보강 및 무보강 실험체들의 평균 부착 응력 계수가 2.27~2.48로 나타났으며, 부착 응력 계수가 PVA 섬유 보강 유무 및 황토 치환율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착 길이가 길어질수록 부착 강도는 저하되었다.
        102.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고연성과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PET 섬유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착특성과 휨거동을 각각 부착실험 및 휨실 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착실험은 CSA S806에 따라 수행하였고, 실험변수는 섬유 종류와 보강량(CF 및 GF 시트 각 1겹, PET 시트 10겹)이었다. 총 8개의 보 실험에서 주요 실험변수는 단면의 연성비(μ = 3.4, 7.0), 보강섬유 종류(CF, GF, PET) 및 보강량이었다. 보 단면의 모 멘트-곡율 해석을 병행하였다. 부착실험의 결과, CF, GF 시트 1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각각 120, 60 mm 이었고 최대부착응력은 각각 3.25, 2.99 MPa 이었다. PET 10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60 mm, 최대 및 평균 부착응력은 각각 2.30, 2.10 MPa 이었다. 또한 최대 강도 시 CF, GF, PET의 변형율은 각각 0.36%, 0.49%, 6.29% 였으며 CF, GF 부착실험체는 계면에서 시트가 최종적으로 탈락하였지만 PET 부착 실험 체에서 박리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휨실험의 결과, PET 10, 20, 30겹으로 보강한 RC 보의 휨강도, 휨강성이 모두 무보강 보에 비해 증가하였 고, 연성적인 휨파괴 양상을 보였으나 PET 30겹의 경우 20겹에 비하여 연성이 감소하였다. 모멘트-곡율 해석의 결과, PET 보강 보에서 접착제 의 물성을 해석에 포함시키면 해석의 정확도가 향상하였다. 한편 PET 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문헌이 없어서 현재 연구 진행 중이다.
        10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flexural strength and deflections developed of FRC beam with tensile bars composed of two layers combinations of steel bar, GFRP bar, and CFRP bar. As a test result, specimen with CFRP bars had the greatest maximum flexural strength. Specimens with FRP bars had more brittle failure behavior than only steel bars.
        10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pullout tests on deformed steel reinforcing bars with PVA fiber-reinforced activated hwangtoh concrete (PFRC). Four pullout specimens with the variation of the replacement ratio of PFRC to cement are prepared and test. Experimental results, average bond strength of PFRC was appeared to 19.81. MPa.
        105.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압축강도 130 MPa급의 고강도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의 휨거동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부피비 1.0%의 강섬 유와 철근비 0.02 이하의 철근으로 보강된 고강도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거동 특성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일반강도철근과 고강도철근 을 실험 부재에 사용하였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 및 인장거동 재료 실험과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하중-균열 개구변위 실험결과를 반영하여 가상균열모델에 근거한 역해석을 통해 인장거동모델링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는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와 고 강도철근의 사용은 균열제어 및 연성 거동에 유리한 것을 나타낸다. 일반강도철근을 사용한 보의 휨강도 실험값에 대한 수치해석에 의한 예측 값의 비는 0.81~1.42를 나타내고, 고강도철근을 사용한 보의 휨강도 실험값에 대한 수치해석에 의한 예측값의 비는 0.92~1.07을 나타낸다. 수 치해석에 의한 휨강도는 실험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0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ock wave caused by the high-velocity impact causing the tensile strain and stress on the rear side. When the tensile strain and stress exceed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crete, scabbing and perforation were occurred. The strain on the rear side was reduced due to improvement of the tensile strength by fiber reinforcement.
        10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fire. Composite fibers that are mixed in concrete are used to improve vulnerable point. The role of each fiber is to prevent of spalling effect and improve of flexural strength.
        10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rete behaves as a brittle material with low tensile strain capacity. By adding fibers, the cracking in concrete matrix is controll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improved.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re compared with fiber type and fiber volume fraction. From the results, the fiber mixed in concrete must be at least 0.5% regardless fiber type, in order to ensure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equivalent or higher than OPC.
        109.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rete behaves as a brittle material with low tensile strain capacity. By adding fibers, the cracking in concrete matrix is controlled, and the durability is improved. In this study, the microstructure and Chloride diffusion resistan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re compared with fiber type and fiber volume fraction. From the results, the fiber mixed in concrete must be at least 0.5% regardless fiber type, in order to ensure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higher than OPC at 91days. However, the micro structure distribution is affected with fiber volume fraction and fiber type at range 10~100nm.
        110.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fined effects of specimens using GFRP(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sheet and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sheet. Since GFRP and PET sheet have a grate deformation capacity, the brittle failure of concrete can be avoid. A total of specimens is sixteen and major variables are the type of strengthen material and strengthening layer. As a result of test, specimens reinforced with a glass fiber sheet compare to the standard specimen have a significant increase both strength and ductility. Ductile of the specimens reinforced with PET is superior to it of the GFRP regardless of strengthening layer. However, in the strength effect aspect is not great compare to the ductile. Resultingly, it is judged that the reinforced method with PET is available to apply field application.
        11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bond capacity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Test variables wer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nd steel bar diameter and a total of six specimens in order to examine the discrepancy in bond resistance due to each variable. The specimens were tested by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in displacement control mode. From the test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bond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diameter of steel bar for the sam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lso, the higher strength concrete is, the higher bond strength can be found in the test. Significant slip resistance inducing greater bond strength can be observed in the specimens with large diameter steel bar. All the specimens failed in splitting failure after its maximum load and compressive stress of concrete predominated in bond capacity.
        11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cases utilizing the composite slab with a deck-plate for the simplicity of construction process and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by eliminating the formwork and reinforcement placing works. General method of an existing deck-plate slab places welded wire fabric(w.w.f) for the crack control by drying shrinkage, however it was pointed out as its potential possibility for a number of cracks. In this study, long-term cracking behavior of deck-plate slab with the steel fiber was evaluated on the continuous two-span slab specimens that was designed on the general building loading condition.
        11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섬유보강콘크리트의 균열발생 평가는 보통 인장강도나 휨강도가 지표가 되지만 시험체 제작 과정 시에 이루어지는 양생의 영향도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시험체는 20±3°C의 온도에서 수중양생을 실시한 후 강도 평가를 수행하나 실구조물은 습윤양생을 소정의 기 간 동안 실시한 후 건조 상태로 된다. 이러한 기술적인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과는 달리 양생방법의 차이가 균열발생 강도에 미치는 영향 은 아직 명확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유보강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특히 균열발생강도에 미치는 양생방법의 영향 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114.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섬유의 일부를 철근집합체로 대체하여 초고강도 섬유보강 철근 콘크리트 I 형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강섬유와 철근집합체의 조합을 가진 초고강도 콘크리트 I 형보 대한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률은 0%, 0.7%, 1%, 1.5%, 2%이다. 철근집합체와 PS강연선 집합체가 압축구역에서 콘크리트를 구속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철근집합체와 강연선 집합체의 길이 도 실험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실험요소를 조합하여 9개의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 형보를 제작하였다. 강섬유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철근 집합체도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형 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강섬유 혼입률 0.7% 또는 1%와 철근집합체를 사용한 조합이 I형 보의 효과적인 연성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 하중과 처짐관계 및 균열양상 등이 좁은 간격을 가진 작은 직경의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유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115.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concerns a measurement of porosity at the nano-fibre interface in concrete. Concrete cast with a centrally located nano-fibre (Ø0.39 × 15.0 mm) was segmented for microscopic observation at a bascattered electron (BSE) im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re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nano-fibre ranged from 5.40 to 11.45%, equivalent to 0.51 - 1.08% of air void in a bulk concrete.
        117.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rear failur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sidering projectile type was evaluated. It was considered that scabbing of Flat nose projectile reduced more than sperical nose projectile by dispersion of impact force.
        11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rete shrinkage is happened due to the cement hydration and water evaporation from early ages, and it induces crack of concrete. In this study, the crack resistan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was compared with fiber type and fiber volume fraction. From the results, cracking is delayed when the volume fraction is increased. And, crack resistance is improved regardless of fiber type.
        11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dicated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coupling beam designed by ACI 318 11 and SFRC(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In this study, SFRC coupling beam added steel fiber of 1.5 %. Teste results indicated that coupling beam reinforced by SFRC shown outstanding absorb energy capacity and stiffness degradation than concrete coupling beam by bridge effect of steel fiber.
        120.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ecaus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concrete and fiber reinforced ultra-high strength concrete under tension and compression, bond behavior als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ond behavior may affect to the flexural behavior and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Especially, because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usually be used as precast members, bond between concrete and steel rebar should be safely and accurately evaluated for design. In this study, bond test results about ultra high 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with various types of prediction methods, especially for empirical eq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