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102.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3.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의 출판연도, 연구저자, 공인용, 키워드 현황을 분석하여 운동과 실 행기능에 관한 연구동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Web of Science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행된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련한 학술지 총 1577편을 대상으로 CiteSpace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계량서 지학적 분석, 데이터 시각화분석,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16년 동안 출판편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 였으며, 주로 미국에서 발표한 연구편수가 많았고, 연구의 영향력도 컸다. 둘째, Arthur F. Kramer와 Yukai Chang 을 중심으로 협력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피인용이 높은 연구는 주로 메타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무작위대조실 험으로 구성된 연구였다. 넷째, 키워드 현황으로는 연구방법, 관여질병, 관여방식, 연구내용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키워드 클러스터에 따르면 인지기능, 요가, 우주비행, 사건관련전위, 일회성 운동, 자기관리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는 학자 간 협력이 다수 존재하고 공인용 문헌은 ‘운동은 인지를 변화시킨다’ 와 ‘운동은 인지구조를 변화시킨다’ 두 가지로 나뉘었다. 또한 학자들은 이미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등 여러 분야 에서, 다양한 대상, 방법을 통해 운동과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0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 force control based on the observer without taking any force or torque measurement from the robot which allows realizing more stable and robust human robot interaction for the developed multi-functional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The robot has four functional training modes which can be classified by the human robot interaction types: passive, active, assistive, and resistive mode. The proposed observer consists of internal disturbance observer and external force observer for distinctive performance evaluation. Since four training modes can be quantitatively identified as impedance variation, position-based impedance control with feedback and feedforward controller was applied to the assistive training mo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ensorless observer estimated cleaner and more accurate force compared to the force sensor and the impedance controller embedded with the proposed observer completed the assistive training mode safely and properly.
        105.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retic upper extremity post stroke continues to be one the greatest challenges faced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lthough many tasks require the coordinated participation of both hands, rehabilitation strategies for the most part have focused on the paretic limb.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upled bilateral coordinated movements and repetitive high frequency TMS enhanced upper limb corticomotor excitability and motor function poststroke. Methods: For this study, we compared the neurophysi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associated with two such rehabilitation protocols: coupled bilateral training and coupled unilateral training. Twenty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training group over 8-week period. For this experiment, transcranial magnetic stumulation, EMG, Ag/AgCI suface electrode,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jebsen-talyer hand function kit, box & block, and pinch & power grip test kit were used. Results: First, in the box & block and JTT task, coupled bimanual group showed a reduction in movement time in comparision to receiving coupled unilateral group. Second, in the cortical excitability within affected hemisphere, using TMS, an increased in map volume, and map number following coupled bilateral group. Overall, these finding suggest that a coupled bilateral movement and high frequency repetitive TMS protocol effective in recovering upper limb motor function and cortical excit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106.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erobic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executive function and EEG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children and provides a basic data for relieving symptom and treatment to ADHD children.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totally 44 children. The group distribution was combination of exercise and methylphenidate group(n=16), methylphenidate group(n=14), and the control group(n=14). Research subjects pre․post measurement was made equally on executive function(WCST), and brain wave(EEG). Also, exercise program was progressed 3 times a week(every 60 minutes) during totally 8 weeks. Data processing in the experimental result was used PASW-PC 18.0 statistical program. The basic test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ADHD children before exercise was carried out one-way ANOVA. Also, a change in difference according to three groups and measurement period was carried out repeated measure analysis. To correctly analyze a change by factor, the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Results: The 8-week aerobic exercise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ADHD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a change in executive function and EEG. Also, aerobic exercise was helpful to executive function and EEG. Based upon those results, we might expect to use for relax and improvement of negative symptoms with ADHD children.
        107.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위한 상지 움직임의 시간적 협응성에 따른 양측성 협응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칭적 움직임(동일 위상)을 포함한 양측성 협응 운동이 비대칭적 양측성 협응 운동 보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회복에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다기초선 단일피험자 연구설계로 총 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 각각 2명씩 대칭과 비대칭적 양측성 훈련에 참여하였으며, 운동학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에서 훈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피험자들은 4회와 8회의 단측성 훈련을 수행하고 대칭과 비대칭 양측성 훈련으로 전환하여 8회와 4회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칭적 훈련 집단은 기능적 뻗기 평가에서 비대칭적 훈련 집단보다 최대속도가 증가하고 운동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JTT 세부과제에 대한평가에서는 훈련집단에 따른 일관성있는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근위관절과 관련된 JTT 전체시간에서는 대칭적 훈련 집단이 비대칭적 훈련 집단보다 수행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칭적 양측성 운동이 양측성 협응 운동을 구성하는 주요 변인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108.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수중 운동, 균형 훈련과 복합 운동이 파킨슨 유발 흰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수산화도파민(6-hydroxydopamine)을 흰쥐의 좌측 내측전뇌다발에 주사하여 파킨슨 모델을 제작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중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 균형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II, 복합 운동(수중 운동+균형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III, 수술 후 표준사육장에서 운동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배치하였다. 수술 후 7일, 14일, 21일에 실험동
        109.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24명의 노인들은 실험집단(12명) 또는 통제집단(12명)에 무선으로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은 16주간, 주 3회, 하루 60분씩 복합운동(유산소+무산소)에 참여하였다.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복합운동 시작 전과 8주, 16주 후에 각각 인지기능(Cognitrone test)과 우울(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을 측정하여 이원변량분석 반복측정(2X3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지기능의 하위요인 중 정답반응비율과 정답반응수 그리고 우울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 8주, 16주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6주 측정에서 가장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통제집단은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6주간의 복합운동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요약된다.
        110.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측성 재활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상지기능의 향상 정도를 운동기능 평가와 운동학적 측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19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과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으로 무선할당하여 12주간의 재활운동을 실시하였다. 재활운동 프로토콜은 T-바 밀고 당기기, 손목 들어올리기, 암-컬(arm-curl), 전완 비틀기, 손가락 사다리의 5가지 세부 운동방법으로 구성되며,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은 각각의 운동과제를 수행할 때 환측 상지와 정상측 상지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였다.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은 운동과제를 환측 상지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훈련그룹에 따른 재활운동참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Fugl-Meyer Assessment, Box and Block Test, 그리고 3차원 영상 분석을 사용하였다. FMA와 BBT는 환측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QUALISYS 3차원 영상분석 시스템은 뻗기 동작 수행시 환측 상지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모든 그룹에서 재활운동참여를 통해 FMA 점수와 BBT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운동시간과 저크코스트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의 경우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에 비해 저크코스트에서 더 큰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재활운동참여의 긍정적 효과와 양측성 재활운동프로토콜의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11.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그들의 기분상태와 인지기능의 변화를 단일 피험자 연구 설계법을 통하여 장기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의 목적에 부합토록 실험 시작 당시 서울 소재 C대학교 종합병원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판명되어 치료중인 초등학생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Rejeski(1985)가 개발한 기분상태 척도(Feeling Scale: FS)와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Wechsler(1991)가 제작한 웩슬러 아동지능검사(WISC-Ⅲ: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를 곽금주, 박혜원과 김청택(2001)이 표준화한 한국 웩슬러 아동용 개인 지능검사 도구(K-WISC-Ⅲ)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단일피험자 설계(single subject design) 유형 중철회 설계(withdrawal design)의 대표적인 A1-B1-A2-B2 설계법을 채택하여 총24주 동안 심층적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아동의 운동 참여는 그들의 기분상태를 긍정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 아동의 운동 참여는 그들의 인지 기능 중 집중력과 처리속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운동 처치 프로그램의 효과들은 단일피험자 설계법에 의거하여 A2단계(운동철회)와 B2단계(2차 운동처치)에서 재차 검증되었으며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ADHD 아동의 운동 참여에 따른 다양한 효과를 확장시키고 운동의 효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3.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측성 단일 운동 훈련이 만성 뇌졸중 노인의 상지 운동기능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손상측 대뇌 운동피질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10명의 만성 뇌졸중 노인들이 양측성 훈련과 단측성 훈련에 각각 5명씩 참여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동작분석 시스템, 경두개자기자극기, 근전도 기기, 재활훈련도구가 사용되었다. 훈련과제는 나무 말뚝 옮기기, 나무 팩 맞추기, 그리고 물 마시기 모방 과제로 구성하여 주 2회 총 16회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측성 훈련 집단은 기능적 뻗기 검사에서 최대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운동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검사에서도 씨앗 옮기기, 무거운 물건 옯기기 과제에서 수행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두개자기자극기를 활용한 신경생리적 검사에서도 130%, 140%, 그리고 150% 자극 강도에서 운동유발전위의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양측성 단일 운동 훈련이 손상측 상지의 운동기능회복과 대뇌 운동피질 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114.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 기능회복을 위해 신경근 전기자극기법과 양수협응운동기법을 병행한 양측성 복합훈련 프로토콜의 효과를 검증하고 또한 원위운동기능 훈련이 근위운동기능향상으로 전이될수 있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집단을 양측성훈련집단(11명)과 단측성훈련집단(10명), 그리고 통제집단(5명)으로 분류하고, 조준운동과제를 이용 사전검사실시한 후 양측성훈련 프로토콜과 단측성훈련 프로토콜, 그리고 무훈련프로토콜을 각 각의 집단에 적용한 후 다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측성복합훈련집단은 운동시간이 감소하였고, 최대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최대속도의 가변오차가 감소하였으며, 감속구간경과시간이 감소하여, 손상측 상지의 운동기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측성복합훈련 프로토콜을 적용을 통한 상지 운동기능향상의 전이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용성을 뒷받침하고 확장하는 결과를 얻었다.
        115.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ould say that the knowledge of results is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motor skill learning. This paper was analyzed to stipulate how inside-kick of soccer affect to perform when we present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results and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 I randomly selected 60 students in the Hakj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divided 6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knowledge of results in the early motor learning stag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other of the exercise and the transfer performance. 2. When we tried various time interval of the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 in the early motor learning stages, there was very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in transfer performance . 3.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results and post-knowleclge of results in interaction effects. 4. The most effectively performed group in this experiment was as the quantitative knowledge of results who performed 6 seconds of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