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3

        101.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생약재인 가시오갈피 , 마황, 복분자, 인진쑥을 이용하여 추출과정 중 40℃, 60℃, 100℃로 온도를 달리 하여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과 초음파를 범행한 추출로 인해 면역 활성 증진이 다르게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여러 조건 중 복분자 60℃, 40 kHz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가장 좋은 항암활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추출시 모든 열수 추출물들에 비해 초음파 병행 추출물의 추출 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추출시 열수 추출에서 미쳐 빠져나오지 않았던 여러 활성 물질이 초음파 처리에 의해 공동화현상과 더불어 액체간의 상호 탈기 작용에 의해 추출 수율의 상승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Apoptosis 실험에서는 5일 동안 인간 폐암 세포인 A549의 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이 좋았던 마황과 복분자의 60℃ 열수 추출물과 초음파 추출을 병행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apoptotic이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 병행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HL-60 세포분화능 실험에서도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들이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또한 모든 조건 중에서 생약재들이 60℃, 40 kHz 초음파 병행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앞으로 한국산 생약재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더 많은 실험을 통하여 초음파의 병행 처리에 따른 효과와 이를 통한 기능성 소재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102.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철쑥 추출물은 정상폐세포인 HEL299 세포주에 0.5 g/l 이하의 농도로 투여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0% 이상으로 유지시켜 정상세포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되었으며,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은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 88%이상, 폐암세포주인 A549에 대하여서는 모든 추출물에서 0.5 mg/ml의 농도 이상에서 65%이상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하여는, 에탄올 추출물이 87% 이상, 위암세포주인 AGS에 대하여 증류수 추출물이 약 85% 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상세포독성에 대한 암세포의 억제율을 나타내는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 mg/ml에서 1.0 mg/ml의 농도에서 1.5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B와 T 세포주의 생육촉진 실험 결과 배양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며, 배양 5일째 0.5 mg/ml의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 최고 1.2배 이상 증가, T-cell을 1.2~1.5배 이상 생장을 증가시켰으며, 배양 6일째 에탄올 추출물이 IL-6를 67 pg/ml, TNF-α를 물 추출물이 68 pg/ml의 분비 하였다.
        105.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청색색소 카마줄렌을 함유한 쑥 종류를 선발하고, 이 카마줄렌 함량이 집단 내에서 개체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고자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수집종 쑥 5종 쑥(Artemisia indica), 물쑥(Artemisia selegensis), 실제비쑥 (Artemisia japonica var. angustissima), 뺑쑥(Artemisia feddel), 황해쑥(Artemisia argyi)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카마줄렌을 함유하고 있는 종은 Artemisia indica이었다. 2. 식물체 내에서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 모두 잎이 화기와 줄기보다 카마줄렌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영양생장기에는 상위 엽이 중, 하위 엽보다 2.5배 정도 많은 카마줄렌을, 생식생장기에는 상위 줄기가 중, 하위 줄기보다 5-8배 정도 많이 카마줄렌을 함유하였다. 3. 집단 내 50개체의 개체별 카마줄렌 함량의 변이를 조사한 결과 최소 0.015% 에서 최대 0.113%까지의 큰 변이를 보였으며, 전체 개체의 72%인 36 개체가 0.03% 이상의 카마줄렌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모본과 후대(clones)의 카마줄렌 함량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106.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인진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항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용매별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물 추출물에서 18. 1%로 가장 많은 고형분을 얻을 수 있었으며 메탄올, 에탄을 추출물에서는 12. 8%, 12. 6%로 별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는 방법 중 DPPH 소거효과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메탄올 추출물이 36.2μg/ml로 가장 효과 좋았지만, 대두유에 대한 한한인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60℃로 20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POV)를 측정하여 대두유를 기질로 한 저장시험 에서 1,000ppm 농도의 물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이 저장 기간이 20일 되었을 때 46.8(meq/kg, 50.8(meq/kg)의 과산화물가를 나타내 대조구의 과산화물가 79.1 (meq/kg)에 비해 낮았다. 식품의 부패균이나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세균 4종을 대상으로한 항균실험에서는 추출 용매에 따른 항균력은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았으며 세균에 대한 항균력으로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가장 좋았다. 한인진의 간보호 효과 시험에서는 한인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V, IV군의 간무게, 체중에 대한 간무게의 비율이 생리 식염수만을 투여한 III군보다는 낮았으나 시료 채취전후로 한인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V군과 IV군사이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0일간 실험을 실시한 결과 한인진 물추출물만을 단독 투여한 VI군의 체중은 계속 증가하였으나 한인진 물추출물을 계속 투여한 다음 시료 채취전에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VIII군의 간무게, 체중에 대한 간비율이 대조군 VII보다 다소 감소하였다. 병리학적인 소견으로 한인진추출물을 투여 한 군에서는 사염화탄소만 투여한 군보다 간세포의 괴사와 지방적의 축적이 감소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107.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from thyme(TM) and tarragon(TG) on shelf-life and quality of kimchi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changes in pH, acidity, number of total microorganisms, number of Lactobacillii and Leuconostoc during fermentation at 1, and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TM and TG were extracted with water,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ethanol. Water,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ethanol extracts of TM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did not observed against Leuconostoc mesenteroides. On the other hand, water, ethyl acetate and ethanol extracts of TG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did not observed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The decrease of pH and the increase of acidity showed lower in kimchi prepared by adding water extracts from TM than in products from TG. The number of total microorganisms were also detected less in the kimchi prepared by adding water extracts from TM. And, the properties of barkless of kimchi measured instrumentally were higher for kimchi prepared by adding water extracts from TM, also maintaining good crispness. The optimal addition amounts of both TM and TG for good overall and spicy taste of kimchi were 0.03%. Th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le use of the extracts of TM and TG can be successfully used for the quality and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108.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식물중 기능성식품원료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쑥, 한삼덩굴, 돌외의 주년생산과 우량계통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이들에 대한 수집종간 및 재배방법간의 재배학적 특성과 성분을 분석(分析)하였던 바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쑥의 생산량(건초량)은 수원에서 수집한 뺑쑥에서 제일 많았으나 정유함양(精油含量)은 음성에서 수집한 약쑥과 음성에서 수집한 쑥은 각각 0.15%, 옹진에서 수집한 쑥은 0.12%, 뺑쑥은 0.09%이었다. 2. 돌외의 수량은 관행재배에 비해 지주(支柱)를 세워 덩굴손이 지주를 감아 신장시킨 재배에서 48% 많았고, 돌외의 지상부에서는 rut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환삼덩굴의 수량은 계룡상에서 수집한 종이 음성에서 수집한 종에 비해 12% 많았고, 환삼덩굴의 지상부에서 phenol성(性) 성분인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정성적으로 확인되었다.
        109.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m2당(當) 생체수량(生體收量)은 전남 순천 수집종(蒐集種)이 3,975g으로 가장 많았으며, 충북 옥천 수집종(蒐集種)은 713g으로 가장 적어 5.6배(倍)의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수집종간(蒐集種間)에는 황해쑥이 3,420g, 명천쑥이 3,173g, 실제비쑥은 3,148g 순으로 많았으며, 뺑쑥은 2,093g, 큰제비쪽이 2,078g으로 가장 적었다. 2. 황해쑥과 실제비쑥, 명천쑥은 향미(香味)가 좋고 색택(色澤)은 연녹(軟綠)으로 상품성(商品性)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3.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이 좋았던 황해쑥은 철, 마그네슘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던 반면(反面)에 동은 적게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상품성(商品性)이 가장 뛰어났던 명천쑥과 템쑥은 단백질함량(含量)이 않았던 반면(反面)에 칼슘과 철, 아연이 적 게 함유(含有)되었다. 4. 차광매배시 황해쑥과 실제비쑥의 수양(收量)이 가장 높았고 맛과 색택등(色擇等) 품질(品質)이 우수(優秀)하여 상품성(商品性)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10.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쑥을 유용화하기위해 물쑥의 화학성분을 수집 종쑥과 분석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중 수분, 조회분 및 조섬유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높았다. 2. 비타민함량에 있어서는 thimain, riboflavin 및 ascorbic acid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약간 낮았고 niacin함량은 약간 높았다. 3. 식이섬유소함량은 물쑥이 40.91%, 수집종쑥이 38.42%이었으며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hemicellusose, cellulose의 함량이 높았고 lignin함량은 낮았다. 4. 무기질함량중 K함량이 물쑥 5206.7mg%, 일반 쑥 4166.7mg%로 가장 높았고 Na, Fe 및 Mn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2배이상 높았으며 Cu함량만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낮았다. 5. Phenolic compound 의 함량은 수집종쑥보다 물쑥이 약간 높았다.
        111.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28 수집종중(蒐集種中) 인도쑥과 실제비쑥은 초기생장량(生長量)이 많은 반면(反面)에 황해쑥은 후기 생장량(生長量)이 많아 m2당(當) 생체중(生體重)은 황해쑥과 실제비쑥이 1711~1531gr으로 가장 많았다. 2. 조기재배시 실제비쑥과 황해쑥은 향미(香味)가 좋고, 형태가 가늘어 상품성(商品性)이 좋아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지상부의 생육이 양호(良好)하였던 산쑥, 황해쑥, 실제비쑥은 탄수화물, 철, 동의 함량(含量)이 많이 함유(含有)되어있었으나, 생육(生育)이 떨어졌던 뺑쑥, 명천쑥, 큰제비쑥은 인과 마그네슘함량(含量)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지상부(地上部)의 생체중(生體重)과 무기성분간(無機成分間)에는 인, 철, 마그네슘, 아연, 동함량간(含量間)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칼슘과 후기 생체중(生體重)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112.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연구(本硏究)는 쑥의 周年生産(주년생산)과 쑥의 용도별(用途別) 적품종(適品種)을 선발육성(選拔育成)하기 위(爲해) 전국(全國)에서 수집(蒐集)된 28종(種)에 대(對)하여 지상부(地上部)의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잎에 대(對)한 무기(無機) 및 유기성분(有機成分)을 分析(분석)한 바 얻어진 주요결과(主要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북부수집종(北部蒐集種)은 경장(莖長), 경태(莖太), 분지수(分枝數), 절간수(節桿數), 잎의크기, 잎의 모용(毛茸)가 모두 커 중부(中部)와 남부수집종(南部蒐集種)보다 지상부(地上部)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하였다. 2. 생체중(生體重)은 명주산 덤블쑥이 가장 무거웠으며, 지역별(地域別)로는 전북이리 수집종(蒐集種)과 경북의성 수집종(蒐集種)이 가장 많았으며, 이들 수집종(蒐集種)에 대(對)한 특성(特性)은 잎수(數)와 절간수(節桿數)가 많고 잎의 모용(毛茸)가 길었다. 3.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은 북부수집종(北部蒐集種)은 N, MgO, Zn, Cu, Mn 함량(含量)이 많았던 반면(反面), 중부수집종(中部蒐集種)은 P2O5과 K2O 함량(含量)이 또한 남부수집종(南部蒐集種)은 Fe 함량(含量)이 많이 함유(含有)되었다. 4. 잎의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含量)이 많올수록 K2O 함량(含量)도 많은 경향(傾向)이 있다. 5. 생체중(生體重)이 가장 많았던 전북이리 수집종(蒐集種)과 경북의성 수집종(蒐集種)은 잎의 N, P2O5, K2O 함량(含量)이 많았으나, 반대(反對)로 MgO, Zn, Ca, Mn, Fe 함량(含量)은 적게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