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1

        101.
        2001.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Cu-Mn 주조합금의 응력부식균열 저항성에 미치는 Cd첨가의 영향을 C-ring test와 전기전도도 시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Cd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증가하였고 SCC 저항성도 증가하였다. SCC 시험결과 균열이 입계를 따라 전파되는 입계파괴가 일어났으며, 파면은 취성파괴양상을 나타내었고, 입계를 따라 조대 석출물과 무석출대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서 이 합금의 SCC 기구는 anodic dissolution model이라고 판단된다. Cd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 최대경도값은 127Hv였으나, Cd을 첨가한 경우 최대경도값은 138∼146Hv로 증가하였다.
        4,000원
        10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0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Cd. Pb용액에서 사과껍질. 모과, 밤내피(밤 친 껍질). 인삼, 키위껍질. 대추. 원두커피 가루의 입자별, 농도별, 온도별 흡착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사과껍질을 제외한 모든 폐기물에 있어서 중금속 흡착력은 증가되었고, 중금속별 제거량은 Cd는 인삼폐기물이 3.506∼4.659㎎/g, Pb은 밤 친 껍질이 9.189∼9.582㎎/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높았다. 농도별 중금속 흡착량은 중금속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는데 Cd은 인삼 폐기물이 1.929∼3.800㎎/g. Pb은 밤 친 껍질이 0.930∼9.3685㎎/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높았다. 온도별 중금속 흡착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Cd은 인삼폐기물이 3.800∼5.091㎎/g Pb는 밤 친 껍질이 9.368∼9.613㎎/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물에 함유된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07.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재료를 찻물에 담근 후 차건데기를 건저내고 마시는 차류의 중금속 제거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Cd과 Pb 용액에서 보리차, 옥수수차, 쟈스민차, 현미녹차, 홍차, 결명자차, 감껍질차, 귤껍질차, 누룽지의 입자별, 농도별, 온도별 제거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모든 차에 있어서 중금속 제거력은 증가되었고, 금속별 제거량은 Cd는 결명자차(3.253∼6.136㎎/g)가, Pb은 쟈스민차(6.784∼7.557㎎/g)가 높았다. 농도별 중금속 제거량은 중금속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Cd와 Pb는 쟈스민차(1.209∼4.815㎎/g, 0.642∼7.004㎎/g)가 제거력이 높았다. 농도별 중금속의 제거작용은 모든 차류에서 증가되었으나 옥수수차는 Pb에서 0.497∼0.647㎎/g로 제일 낮았다. 온도별 중금속 제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Cd은 결명자차가 4.080∼7.799㎎/g, Pb는 쟈스민차가 7.003∼7.763㎎/g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13.
        1996.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를 Cd로 대치시켜 세라믹 소결법으로 합성한 Ni0.8Cd0.2Fe2O4 의 X-ray 회절선을 측정하여 구조를 확인하고, 형성된 결정체의 격자 상수를 조사하였다. 이 시료의 Mossbauer 스펙트럼을 80K-900K의 온도 영역에서 측정 분석하여 Mossbauer parameter의 온도 의존성과 Fe 이온에 대한 자료를 얻고, 이 자료를 토대로 Ni0.8Cd0.2Fe2O4 의 자기 전이 현상과 Curied 온도 Tc와 격자 비열 및 Debye 온도와 같은 물성을 조사하였다.
        4,000원
        114.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Allium속의 중금속 흡착력을 구명하고자 식물체의 식용부위별, 시료의 입자별, 중금속의 농도별, 용액의 온도별, pH별 실험 결과이다. Allium속에 의한 중금속의 흡착 량은 Allium속의 종류에 관계없이 Cd이 Zn보다 훨씬 많았다. 대파, 쪽파는 입자가 클 수록 Cd 흡착이 잘 되었으나 Zn은 입자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농도별 중금속 흡착력은 용액중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일정하지 않았다. 온도에 따른 중금속의 흡착력은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예외적으로 달래는 Cd 흡착량이 감소하였다. pH에 따른 중금속의 흡착량은 두 금속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중금속의 흡착에 미치는 Allium속 성분함량간의 관계는 함황 아미노산과 비타민 B_2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000원
        115.
        199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andardized activated sludge for the biodegradation test of anion surfactants has been produced from the collected microorganisms in the soil and the wastewaters treatment plant. The activated sludge was kept under control of the pH, dissolved oxygen, microorganisms and inoculated the basal medium flasks with LAS and LAS mixed with heavy metals [Cd(II), Cu(II), Zn(II)]. Based of results, the inhibition effect(%) of heavy metals in LAS biodegradation were 1. All 1% when LAS 30mg/l-Cd(II), Cu(II) and Zn(II) 0.1mg/l, respectively 2. All 1~10% when LAS 30mg/l-Cd(II), Cu(II) and Zn(II) 1mg/l, respectively 3. All 10~40% when LAS 30mg/l-Cd(II), Cu(II) and Zn(II) 10mg/l, respectively 4. All 30~65% when LAS 30mg/l-Cd(II), Cu(II) and Zn(II) 100mg/l, respectively And toxicity order of heavy metals to the microorganisms in LAS biodegradation were Cd〉Cu〉Zn in low concentration(0.1~1mg/l)and Cd〉Zn〉Cu in high concentration(10~100mg/l).
        4,000원
        117.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합성 모데나이트(Na6.6Al6.6Si41.4O96·20.4H2O, Na-MOR)를 이용한 다양한 중금속의 포획 연 구를 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 고분해능 X-선 분말 회절을 이용하여 치환체의 격자상수 및 부피 변화를 이해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열중량 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으로 측정한 결과, 1가 양이온 치환체(Cs-MOR, Na-MOR)는 단위포 당 19.4, 20.4개의 물분자가 존재하였으며, 2가 양이온 치환 체(Pb-MOR, Sr-MOR, Cd-MOR)는 단위포 당 21, 23.1, 23.2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한 모든 물 질은 사방정계에 속하는 Cmcm의 공간군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치환 전 물질인 Na-MOR과 비 교했을 때, 치환체의 (110)면과 (200)면의 회절강도가 명확하게 변화하였으나, 전체적인 피크의 위치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a-MOR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았던 (220)면의 피크가 Pb-, Cd-, Sr-MOR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서 양이온 치환에 따른 원자들의 분포 변화가 주로 ab-평 면상에서 나타나지만, 격자상수의 변화는 미세할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Whole profile fitting 방법을 사용 하여 치환된 모데나이트의 미세한 격자상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치환체의 격자상수 및 격자부피의 변화는 치환된 양이온의 반경 및 전하수에 따라 서로 다른 경향성을 보였다. 1가 양이온의 경우, 이온반경이 증가할 수록 a-축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반면에 b- 및 c-축의 길이는 감소하였다. 2가 양이온의 경우, 이온반경이 증 가할수록 대체적으로 a-축의 길이가 감소하고, b- 및 c-축의 길이는 증가하였다. 격자부피는 1가 또는 2가 양 이온 치환체들이 각각 독립된 경향성을 가지며, 이온반경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8.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adsorption of Cd(II) ions in an aqueous solution by using Peanut Husk Biochar (PHB). An FT-IR analysis revealed that the PHB contained carboxylic and carbonyl groups, O-H carboxylic acids, and bonded-OH groups, such that it could easily adsorb heavy metals. The adsorption of Cd(II) using PHB proved to be a better fit to the Langmuir isotherm than to the Freundlich isotherm. The maximum Langmuir adsorption capacity was 33.89 mg/g for Cd(II). The negative value of ΔGo confirm that the process whereby Cd(II) is adsorbed onto PHB is feasible and spontaneous in nature. In addition, the value of ΔGo increase with the temperature, suggesting that a lower temperature is more favorable to the adsorption process. The negative value of ΔHo indicates that the adsorption phenomenon is exothermic while the negative value of ΔSo suggests that the process is enthalpy-driven. As an alternative to commercial activated carbon, PHB could be used as a low-cos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dsorbent for removing Cd(II) from aqueous solutions.
        11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달성광산 주변 하천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중금속 흡착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수용액 내에 존재하는 As, Cu, Cd를 대상으로 산성광산배수 침전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 실험을 수행하 였다. 중금속 흡착 물질의 주 구성광물은 황갈색(Munsell color 8.75YR 5/10)의 schwertmannite와 흑갈 색의 (Munsell color 2.5YR 3/8) 침철석이다. 흡착 물질에 의한 흡착 제거 효율과 흡착량은 수용액 내 의 중금속의 초기 농도와 흡착물질의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달성광산에서 채취한 침전물에 의한 중 금속 흡착 효율은 As > Cu > Cd 순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저농도일 때 침전물에 의한 흡착 제거 효율 은 As 67.00-85.00%, Cd 26.24-29.08%, Cu 7.67-12.82% 정도이다. Cu의 초기 농도가 1 mg/L와 10 mg/L일 때, 흡착 물질이 schwertmannite인 경우 흡착량은 0.29와 1.29 mg/g이며, 침철석인 경우 0.24-1.97 mg/g으로 초기 농도가 높거나 흡착 물질이 침철석인 경우 흡착량이 더 높게 나타난다.
        120.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e of the reasons to causing blood coagulation in the tissue of xenografted organs was known to incompatibility of the blood coagulation and anti-coagulation regulatory system between TG pigs and primates. Thus, overexpression of human CD73 (hCD73) in the pig endothelial cells is considered as a method to reduce coagulopathy after pig-to-non-humanprimate xenotransplant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duce and breed transgenic pigs expressing hCD73 for the studies immune rejection responses and could provide a successful application of xenotransplantation. The transgenic cells were constructed an hCD73 expression vector under control porcine Icam2 promoter (pIcam2-hCD73) and established donor cell lines expressing hCD73. The numbers of transferred reconstructed embryos were 127 ± 18.9. The pregnancy and delivery rate of surrogates were 8/18 (44%) and 3/18 (16%). The total number of delivered cloned pigs were 10 (2 alive, 7 mummy, and 1 died after birth). Among them, three live hCD73-pigs were successfully delivered by Caesarean section, but one was dead after birth. The two hCD73 TG cloned pigs had normal reproductive ability. They mated with wild type (WT) MGH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female sows and produced totally 16 piglets. Among them, 5 piglets were identified as hCD73 TG pigs. In conclusion, we successfully generated the hCD73 transgenic cloned pigs and produced their litters by natural mating. It can be possible to use a mate for the production of multiple transgenic pigs such as α-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hCD46 for xenotransplantation.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