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hysico-chemical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from 15 sites of the Naeseongcheon and tributarie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from May to October 2016.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was assessed using DAIpo and TDI. A total of 163 diatom taxa were identified with 2 orders, 3 suborders, 9 families, 35 genera, 145 species, 16 varieties and 2 forms.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appeared at every examined sites. Achnanthes lanceolata, Nitzschia fonticola, Nitzschia inconspicua and Reimeria sinuata were common taxa of the Naeseongcheon. Nitzschia inconspicua and Achnanthes minutissima were major dominant species. As a result of the CCA,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wer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diatom species composition. In the result of the biological assessment using DAIpo, the Naeseongcheon was rated at class B with an average of 62.38. In the result of assessment using TDI, the Naeseongcheon was rated at class C with an average of 66.12.
        4,0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December 2016 in a cylindrical water tank with a diameter of 1 m, a height of 4 m and a capacity of 3,000 L. The field water and sediment from the Nakdong River were also sampled for the experimental culture (field water+sediment) and control culture (field water),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phytoplankton succession pattern using the phytoplankton functional group in the enclosed culture system. A total of 50 species in 27 genera including Chlorophyceae (30 species), Bacillariophyceae (11 species), Cyanophyceae (7 species), and Cryptophyceae (2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culture systems. A total of 19 phytoplankton functional groups (PFGs) were identified, and these groups include B, C, D, F, G, H1, J, K, Lo, M, MP, N, P, S1, TB, W0, X1, X2 and Y. In particular, W0, J and M groups exhibited the marked succession in the experimental culture system with higher biovolume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culture system, which may be related to the internal cycling of nutrients by sediment in the experimental culture syste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demonstrated that succession patterns in PFG were associated with the mai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utrients (N, P), water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in two culture system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e functional group for understanding the adaptation strategies and ecological traits of the phytoplankton succession in the water bodies of Korea.
        4,200원
        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산만 인근해역은 최근 20여년 넘게 실시된 각종 방조제 공사가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화옹방조제 건설 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형저서동물 채집은 2007년 8월과 2008년 2월에 아산만 주변 해역 22개의 정점에서, 스미스 맥킨타이어 그랩(Smith McIntyre Grab, 표면 면적: 0.1m2)을 이
        5,400원
        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ypoglycemic effects of complexcity extract(DB 55) from five oriental medicinal plants on the intake of food, body weight, blood glucose level, insulin content, serum GOP, GPT, BUN and hematocrit value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rats. Genera1 nutritional composition was also assessed. Thirty-five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five groups: normal control group(NC), STZ-diabetic control group (STZ-control), STZ-diabetic DB-1 group(DB 55-1), STZ-diabetic DB-2 group(DB 55-2) and STZ-diabetic DB-3 group(DB 55-3). The animals were fed an experimental diet for 12 weeks. Body weight gain of the STZ-diabetic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but diet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C group. Blood glucose levels of the DB-1, DB-2 and DB-3 ra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animals. Insulin level of STZ-control rats was lower than the NC serum GOT, GPT and BU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C group, but hematocrit value was not significant as compare to the STZ-diabetic group. Blood glucose level was lower observed for the DB 55-1, DB 55-2 and DB 55-3 group. The results will be useful in oriental diet therapy and in the developing functional food resources.
        4,200원
        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increase of the use of antibiotics and invasive procedures,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MRAB) are increasing. We screened the antibiotic producing strain B-51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RAB from the soils and studied the effects of culture medium on the antibiotic production of B-51. The medium conditions for maximum antibiotic productivity of B-51 was 2% glycerol, 0.5% soybean meal, 0.01% CaCl2, 0.01% MgSO4, 7H2O and 0.01% KH2PO4 at an initial pH of 6.0, at 30℃ for 76 h.
        4,000원
        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불계수를 이용하여 시험포장 구간의 품질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피로수명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특히 품질관리가 어려운 아스팔트 함량을 지불규정 기준인자로 선정하여 지불계수를 산출하였다. 먼저 아스팔트 함량이 피로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함량에 따른 피로수명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총 2회에 걸쳐 시험포장 구간에서 시료를 채취해서 지불계수를 산출하여 시험포장 구간의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지불계수에 따라 시험포장 구간의 품질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포장 구간에 포설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 피로수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불계수가 높은 시험포장의 피로수명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통계이론을 이용한 지불계수가 실제 포장의 피로수명을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시험포장 구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납품한 플랜트의 배합보고서와 동일한 시편을 제작하여 휨 피로시험을 실시하여 1, 2회차 시험포장의 피로수명들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배합보고서를 기초로 제작한 시편의 피로수명이 시험포장 구간의 피로수명에 비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입도나 기타 요인에 따른 공용성 감소현상이 발생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지불규정을 적용중인 미국과 같이 입도, 공극률 등을 지불규정 기준인자로 선정하여 최종적인 지불계수를 산출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도로포장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속적인 환경변화에 따른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변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화호 방조제 배수갑문 부근의 대부도 방아머리 조간대의 5정점과 인근 조하대 3정점을 택하여, 2000년 3월부터 2001년까지 계절별로 수행되었다. 표층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조간대에서 사질 퇴적 환경으로 3.16~3.73 Φ, 조하대에서 주로 니질 퇴적 환경으로 5.81~6.67 Φ, 의 퇴적 환경 특성을 나타냈다. 전체 19개의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이
        4,500원
        1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logical methods were reviewed through report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damage effect of fishery in the Korean watershed. Survey items in marine ecological field were included: phytoplankton, zooplankton, benthic animal, algae, adult
        4,200원
        17.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화호 내해의 저서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의 군집구조, 수평분포, 서식 밀도, 선충류/저서성 요각류비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9년 5월과 2000년 5월에 총 19개의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형저서동물은 1999년 총 11개의 분류군, 2000년 8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여, 다른 연안 해역에 비하여 아주 낮은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두 시기 모두 출현 분류군 중 선충류(nemato-des)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중요한 출현분
        4,500원
        1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하대 각 정점에서 중형저서동물의 그룹별 조성을 보면 총 22개의 그룹이 출현하였다. 배수갑문 바로 앞의 정점에서는 방류 하루 후, 방류 일주일 후가 방류 하루 전에 비해 중형저서동물군집의 각 개체군의 개체수가 다른 정점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함을 나타냈다. 우점하고 있는 분류군은 방류 하루 전에는 저서성 요각류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고, 방류 하루 후에는 거의 출현하지 않는 현상을 보였다. 배수 갑문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정점에서는 앞의 정점과 같이 급격한
        4,300원
        1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치의 단맛을 내기 위하여 일반 제조에 이용되고있는 sucros 대신 xtevioside나 sorbitol과 같이 당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성분, 미생물의 변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와 적정산도는 stevioside와 sorbitol이 첨가된 처리구가 sucrose가 첨가된 처리구보다 산의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균수의 경우 전반적으로 당의 종류와 저장온도와는 관계없이 미생물의 생육 억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젖산균의 경우 10℃에서는 균의 생육 억제 효과는 없는 반면 5℃에 저장한 김치의 경우 stevioside와 sorbitol이첨가된 김치는 젖산균의 생육에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stevioside 첨가된 김치 sucrose 첨가구에 비하여 기호도에서는전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Cd. Pb용액에서 사과껍질. 모과, 밤내피(밤 친 껍질). 인삼, 키위껍질. 대추. 원두커피 가루의 입자별, 농도별, 온도별 흡착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사과껍질을 제외한 모든 폐기물에 있어서 중금속 흡착력은 증가되었고, 중금속별 제거량은 Cd는 인삼폐기물이 3.506∼4.659㎎/g, Pb은 밤 친 껍질이 9.189∼9.582㎎/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높았다. 농도별 중금속 흡착량은 중금속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는데 Cd은 인삼 폐기물이 1.929∼3.800㎎/g. Pb은 밤 친 껍질이 0.930∼9.3685㎎/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높았다. 온도별 중금속 흡착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Cd은 인삼폐기물이 3.800∼5.091㎎/g Pb는 밤 친 껍질이 9.368∼9.613㎎/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물에 함유된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