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7

        10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중량충격음을 예측하기 위해 구조해석 모델과 음향해석 모델을 개발하고 예측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패널 임피던스 값을 사용하여 거실의 적절한 흡음 특성을 반영할 수 있었으며, 수치해석에 주파수 응답함수 특성을 적용하여 1회 수치해석만으로 다양한 충격원에 대한 응답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조진동에 의한 실내 소음해석은 유한요소 수치해석 기법이 진동 및 음향모드에 대한 응답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연구의 예측결과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향후 정확도가 보다 향상된 수치해석 모델개발을 통해 바닥충격음 저감에 효과적인 공동주택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10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Green-House-Gas emissions from domestic farmed flounder in the southern sea and Jeju-Do, where is mainly produced, by the assessment of energy consumptions and GHG emissions from domestic fish farms for establishing reduce standards of greenhouse gas from a sustainable perspective. It needs to analyze such GHG emission components as feed, electricity, fuel, fixed capital, fish respiration, and liquid oxygen in two locations by 4 stage running water type farm size of small, small and medium, large and medium, large scale.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an GHG emissions were 36.83 kg·CO2/year in the southern sea and 24.33 kg·CO2/year in Jeju-Do, respectively, in the stage of production per fish 1kg at 2 locations and farm size from domestic farmed flounders, and it will give to be useful for policy, planning, and regulation of aquaculture development with establishing GHG reduction standards.
        4,000원
        10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W. B. 예이츠의 내전 시기의 명상 중의 선조들의 저택 과 셰이머스 히니의 공작새의 깃털—데이지 가넷에게 를 영국 장원시의 전통에 비추 어 비교하여 살펴본다. 장원시는 목가시의 하부 장르이며 아일랜드 문학의 전통에서는 “대저택의 시”가 이에 해당하는데, 이 시에는 귀족가문의 대저택과 주변 자연풍경을 바라보는 특정한 시각으로서의 목가적 비전이 내재되어있다. 이러한 인공적인 양식으 로서의 목가와 사실주의적 시각으로서의 목가 사이에는 갈등과 긴장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두 시인의 장원시에서 이러한 전통적인 목가적 비전과 현실이 어떠한 긴장관 계를 나타내는지 살핀다. 아울러 귀족의 저택과 관련된 역사적 폭력의 문제와 이상적 인 과거에 대한 회고적 시선 및 미래에 대한 전망이라는 목가적 양식의 제반 특징들 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역사와 시대, 공간에 따라 끊임없이 새롭게 쓰일 수 있는 목 가적 형식의 생산성을 드러내고 아울러 예이츠와 히니의 시적 영향관계도 연구하고자 한다.
        5,400원
        10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옥’ 포도의 안정생산을 위하여 무가온 하우스에서 착과량을 조절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 년간 수체생육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처리내용은 10a 기준으로 1.3t, 1.8t, 2.2t, 2.4t, 2.6t의 5처리로 하였다. 시험결과 신초경, 신초장, 절간장 등은 처리간 비슷한 경향 이었다. 숙기는 착과량이 많아 질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으며, 포도 ‘진옥’ 무가온 하우스 재배시 노지보다 수확기를 3주 정도 앞당길 수 있었다. 착과량이 많아질수록 수량은 많아졌으나, 평균과중은 착과량이 많을수록 작아져서 10a당 1.3t 착과한 처리구는 363g으로 가장 컸으며, 10a당 2.6t 착과한 처리구가 342g으로 가장 작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착과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수확 후 착과량에 따른 엽 및 신초내 무기성분함량은 처리 간 비슷한 경향이었다. 따라서 포도 ‘진옥’ 품종은 착과량 이 2.4t/10a 이하이면 생산량에 따라 품질차이가 없으며, 가용성 고형물 함량 15oBx 이상의 고품질 포도를 생산 할 수 있었으며, 위의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육성된 ‘진옥’ 포도의 지속적인 고품질 안전생산을 통하여 농가 소득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truction of vinyl greenhouses are increasing because of economic feasibility,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regulations. However, the vinyl greenhouses are apt to collapse by snow load since they have a small member as a temporary structure. The 3 types of buckling such as global, member and nodal buckling could be occurred to arched structur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ross section. To examine the member buckling, the precision of analysis need to be enhanced. In that case, we can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ose buckl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using the method of high precision analysis with a center node of member. The results of high precision analysis bring member buckling, and in the analysis method having the center node of member, the value of strength is getting lower than a previous study.
        4,000원
        10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택정원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정원을 소유하고 있는 도시민과 소유하지 않은 도시민들의 정원 이용 행태와 선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국 대도시의 농업기술센터에서 도시농업 및 정원 관련 교육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도시민 5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제 정원 소유 집단의 정원 규모는 넓지 않으며 무소유 집단 또한 소규모의 정원을 가꾸길 희망하고 있다. 정원을 이용하는 목적으로 두 집단 모두 휴식, 먹거리 재배, 마음 안정을 추구하고 있다. 하루 중 정원에서 소요하거나 소요하고 싶은 시간은 30분에서 2시간 정도로 분석되어 일상생활의 여가시간 중 정원 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진 않다. 정원 소유 집단은 식물(나무)가꾸기, 텃밭가꾸기, 휴식 등의 이용행태를 보이며 무소유 집단 또한 이러한 행태를 희망하고 있다. 이는 이용 목적과 비슷한 경향으로 도시민들은 식물, 나무, 텃밭 등의 정원을 가꾸고 정원에서 휴식을 취하길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정원 조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그늘 바람에 의한 쾌적함, 환경오염에 대한 완충이나 정신적 위안을 포함하는 건강함, 자연성, 아름다움을 중시하였다. 정원에서 식재공간, 휴게공간, 텃밭, 다목적공간 등을 선호하였다. 응답자들은 정원에 그늘을 제공, 계절별 꽃 감상, 열매를 제공할 수 있는 식물, 아름다움 형태 등의 식물 도입을 선호하였다. 정원 관리에 있어서 병해충 및 식물을 비롯한 체계적인 정원 관리방법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정원 관리 교육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원 소유 집단은 병해충 방제, 식물 전정 및 정지, 식물 파종 및 식재 방법 등 실제적인 교육을 요구하였으며 무소유 집단은 정원 조성방법, 총괄적 관리방법 등에 관한 교육을 선호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맞도록 정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10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 (Hemiptera: Aphididae)은 감귤에서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감귤 과실에 경제적으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무가온 하우스 감귤에서 계절초기 목화진딧물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감귤나무에 정착하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감귤나무에서 진딧물 월동알 조사결과 가을순이 난 여름순에서 많이 발견되었는데 월동알은 대부분 조팝나무진딧물이었으며, 목화진딧물 월동알은 발견되지 않았다. 봄순에 정착하는 목화진딧물 유시형 성충은 크게 4월 하순(조기비산)과 5월 하순(지연비산)에 두 차례 관측되었다. 지연비산은 완전생활형 간모세대에서 유시형이 출현하는 시기와 일치하였다. 조기비산 시기에 황색수반트랩에서도 목화진딧물 유시형 성충이 유살되었는데 확실하지는 않으나 월동잡초에서 잔존하고 있던 불완전세대 개체군으로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무가온 하우스 감귤에서 목화진딧물의 정착은 불완전생활형의 조기비산과 완전생활형의 지연비산으로 일어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4,000원
        108.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09.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pply of Quality Function Deployment for redesigning on fashion product.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s a useful tool in product development with the application of voice of customer. The findings could helps in redesigning Malaysia Batik sarong to be a better in design quality. According to Legino, 2012 and Yunus, 2013, local Batik producers in Malaysia are still producing batik sarong with printing or stamping method and freehand stylus batik using canting.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Batik sarong which locally produced in Kelantan and Terengganu states in Malaysia. Ismail et al. (2013) stated the batik designing activities frequency could boost up the sales performance of Small Medium Enterprises in Peninsular Malaysia. As in a Batik sarong tradition production, all the design specifications are from the ideas and creativity of the designer or the Batik producer (Yunus, 2013). The firs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tilise the application of Voice of Customer in redesigning cultural fashion product. The customers’ feedback or known as the term ‘Voice of Customer’ could help the manufacturer to better the product before the following production. This Voice of Customer could offer a specific detailing for quality which needs to be redesigned in a product. Meanwhile, the second objective is to distinguish design spec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using House of Quality. In product designing phase, it is crucial to identify each specification and characteristic which translated from Voice of Customer to the House of Quality matrix. This matrix would help designers to design according to qualities that customer wants for a better and successful product in a market.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s has been used in automotive industries in the decades back but now other industries are applying it as well. Golshan et al. (2012) studied on using Quality Function Deployment to detect important items influencing clothing industry in Iran focusing in men’s shirt. Meanwhile, Huang and Tan (2007) research was on how to characterise various key factors affecting apparel design and product quality. Ng and Wang (2007) explored further benefits of research collaboration between an innovative clothing-making technology and an effective design management instrument, Quality Function Deployment toward integrated products design development. Waisarayutt and Siritaweechai (2006) study about the potential of using Quality Function Deployment as a tool for product development, the communication transferred between marketing to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v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efficiency in producing sports bra in Thailand. The input that could be concluded in these researches is Quality Function Deployment could be applied to fashion product. It really helps to identify and managing a proper production process with specific technical aspects. But the challenge would be the cost and time constraint to test the results into production. The scope of this research would be limited on the Malaysia Batik sarong and the samples taken on Malaysian women consumers only. As a pilot test, a structured survey was executed with targeted sampling total the minimum of 10 and the maximum of 30 participants. It would be suffice to have the data from 10 to 30 participants to build the House of Quality model (Griffin and Hauser, 1993). The expertise opinion for matrices validation would be from the Malaysian expertise in fashion design with Malay Batik sarong knowledge. It is hope this research would indicate the customers’ requirements and production team idea could be measured and translated to a systematic data. It could be a detailed and specific technical requirement could be planned earlier before it is actually being produced. This could be a sustainable approach for a traditional product which could control the material that they use and sustain the quality as the past production. This research would help the Small Medium Enterprises design team or the designers to design a product from customers’ view and plan well. This research finding also could assist designers or batik producer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requirements in Batik sarong. The Small Medium Enterprises also could plan their sarong product using the identified specifications in the research as a starting poi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 in sales and marketing strategy.
        11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무창돈사에서 폐기되는 에너지를 재이용하기 위해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효율 및 돈사 내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실제돈사에 적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적용에 따른 내부 온도, 상대습도, CO2 및 부유미생물을 측정, 분석하여 돈사 내 열회수형 환기장치 적용 시 연료비 절감 및 돼지 사육 환경의 최적 조건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실험은 돈사 내 환기팬 및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세 가지 다른 조건에서 실험을 행하였다. 첫 번째, 환기팬 및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가동하지 않은 상황(Test-1), 두 번째, 환기팬만 가동한 상황(Test-2), 그리고 마지막으로 열회수형 환기장치만 가동한 상황(Test-3), 세 가지 상황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가동하였을 경우, 내부 상, 중, 하층부의 온도가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습도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2 농도의 경우, 환기팬을 가동한 상황(Test-2)보다 다소 높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환기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부유미생물의 경우는 밀폐된 상황(Test-1) 보다 오히려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내부 교차오염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11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은 생육에 적합한 온도 및 수분이 유지되면 자연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기간은 1년중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인공적으로 조절된 환경에서 생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존 연구자들의 보고에 의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불균일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버섯 균 상재배사 내부에 공기를 위로 토출 할 수 있는 대류팬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느타리버섯 균상재배사 내부의 위치에 따른 온도 및 습도 균일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외기온도는 5.2~20.4oC까지 변화하였고, 외기 상대습도는 40~100%까지 변화하였다. 외기온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아 버섯재배사 내부의 온도도 13.3~18.4oC 변화하였지만 동일한 기록 시간의 균상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는 0.2~1.3oC로 매우 균일하게 유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재배사 내부의 상대습도도 외기 상대습도 변화에 영향을 받아 82~96%로 변화하였지만 동일한 기록시간의 균상 위치에 따른 상대습도 변화의 차이는 2~7%로 나타났고, CO2 농도 변화는 약 575~731ppm으로 목표로 하는 1,000ppm 이하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내부 대류팬의 설치로 버섯재배사 내부의 균일한 환경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2.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기생성선충으로 인한 피해를 경감시키고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는 고추 시설하우스 재배지역의 토양 내 선충 발생 양상과 분포 및 밀도 조사를 하였다. 밀양시 부북면, 무안면 그리고 상남면의 고추 시설재배 32 농가의 56개 하우스로부터 71점의 토양 샘플을 수집하여 고추 재배 연작 연수 및 고추 재배 시기 등에 따른 식물기생선충의 분포와 밀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농가의 방제제 사용으로 인하여 고추 재배 연작 연수와 선충 밀도와의 유의성은 없었다. 선충의 발생 양상은 뿌리혹선충, 참선충, 둥근꼬리선충, 창선충, 위축선충 그리고 부식성선충을 포함한 기타 선충이 검출되었다. 식물기생성 선충들 중 뿌리혹선충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밀양시 고추 시설재배지 중 부북면, 무안면, 상남면의 순으로 뿌리혹선충의 밀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13.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ingival epithelium of the oral cavity is constantly exposed to exogenous stimuli such as bacterial toxins, allergens, and thermal changes. These exogenous stimuli are resisted by innate host defense in gingival epithelial cells. However, it is unclear exactly how the exogenous stimuli affect detrimentally on the human gingival epithelial cells.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the allergen, such as house dust mite (HDM) extract, is linked to Ca2+ signaling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 primary cultured human gingival epithelial cells. HDM extract induced an increase in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Ca2+]i) in a dose-dependent manner. Extracellular Ca2+ depletion did not affected on the HDM extract-induced increase in [Ca2+]i. The HDM extractinduced increase in [Ca2+]i was abolished by the treatment with U73122 and 2-APB, which are inhibitors of phospholipase C (PLC) and inositol 1,4,5-trisphosphate (IP3) receptor. Moreover, HDM extract induced th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 (IL)-8. These results suggest that HDM extract triggers PLC/IP3-dependent Ca2+ signaling and IL-8 mRNA expression in primary cultured human gingival epithelial cells.
        4,000원
        11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commercialization model for theindustrialization of head family food as a gentry families' complex food culture product. We tried to develop a head family food and propose a city sightseeing style's head family product by interviews with 'Hakindang' as the center, the head house of the Suwon Baek clan, and Injaegong group in Jeonjoo. Hakindang (in Jeonju) was confirmed as an improved model Korean-style hous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twentieth style modern head family as emerging capitalist. Hakindangsupported independence war fund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was widely known as gate of filial piety in Jeonju. Representative seasonal foods of Hakindang include pan-fried sweet rice cake with flower petals in the spring, hot spicy meat stew and polypus variabilis in summer, hanchae in autumn, and napa cabbage kimchi with salted flatfish seafood in the winter. When parents-in-law had a birthday, there were party noodles, sliced abalone stuffed with pine nuts, brass chafing dish, fish eggs, slices of blilde meat, and matnaji. Daily, there were mainly salted seafood, slices of raw fish, grilled short rib patties, braised fish, baked fish, syruped chestnut, grilled deodeok root, bean sprouts, radish preserved with salt, dongchimi, soy sauce-marinated horseshoe crab, butterbur, perilla seed stew, salted clams, raw bamboo shoot, agar, fried kelp, etc. The most basic virtue of the head family is filial duty, and they developed mosim dining as a representative food of Hakingdang's head family. The mosim menu is composed of 65% carbohydrates, 20% protein, and 15% fat because it is table for parents-in-law like more than 75 years old.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a chewy texture that is easily swallowed.
        4,200원
        11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 재배방법이 원목재배에서 톱밥재배로 전환되어가 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재배적기인 봄가을의 버섯생산 은 톱밥재배는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이를 개 선하기 위하여 연중재배 방안의 개발이 절실하며, 균상재 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진 상태이다. 농가 재배사의 위 치별 온도변화와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조사와 재배온도별 버섯발생 및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재배사 내의 온도는 외부 온도가 34 o C일 때에 내부온도는 30~31 o C이었으며, 상하단의 온도 편차는 1 o C 이내였고, 밤의 온도는 외부온도가 22~21 o C 일 때에 내부 는 22~23 o C 수준으로 1 o C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24 o C 미만은 버섯 발생 및 생육이 가능한 온도대의 시간은 22:30부터 아침 7:30분까지이며, 습도는 온도와는 반대로 낮에는 55~65% 내외이나 밤에는 85~95%내외를 유지하 였다. 재배사 시설들은 냉동기, 물콘, 3중막 표고재배사, 미스 트 및 포그노즐 등이었으며, 재배자들은 낮은 온도를 유 지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었다. 봉지배배에서 혹서기에 재배가능한 온도를 확인하기 위 하여 14 o C부터 29 o C 까지 3 o C 간격으로 항온상태에서 버 섯재배사에서 재배한 결과 23 o C까지는 버섯이 발이 또는 생산되었으나 26 o C부터는 버섯생산이 불가능하였다. 버섯 품질을 결정하는 버섯 색깔과 형태적 특성변화에서 명도 값은 온도가 증가하면서 증가하였고, 대의 채도(a, b)값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갓에서는 채도(b)값은 온도에 따른 큰 변화가 없었으나, 채도 (a)값은 감소하였다. 형태적 특 징 중에서 갓크기는 1차 수확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라 서 서히 감소하였으나 2차 수확에서는 증가하였다. 대길이는 재배온도가 높아지면 대길이가 길어지며, 갓두께는 1차 수확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지만 2차 수확은 1차보다 빠르 게 증가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표고톱밥 재배사내에 상하단의 온도편차가 1 o C 이내로 균상재배가 가능하며, 버섯 발생 유도기간에 온도는 23 o C 이하에서만 가능할 것이다.
        4,000원
        11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truction of vinyl house structures is increasing because they do not have a large cross section as non-permanent structures. Vinyl house structures are apt to collapse by snow load because they have a small size member as a temporary build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not only the stiffness of the individual member, but also the overall stability of three-dimensional arch-type vinyl house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tability of arch-type vinyl house structures that have a various curvature under the vertical load such as snow loa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uckling load of V27 model is the largest, and the values of buckling load have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ing H(height of arch) in the case of H≤2.75m, but to decrease with increasing H in the case of H≥2.75m
        4,000원
        11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여러 형태의 이유자돈사에 대하여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으로 모델화하여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실제 돈사에서 각종환경요인과 이유자돈의 증체율 및 폐사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돈사로는 복도-더그매 예열 음압환기방식 무창이유자돈사(Model-1), 더그매 예열 음압환기방식 무창이유자돈사(Model-2), 그리고 윈치커튼형 음압환기방식 개방이유자돈사(Model-3)가 이용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Model-1이 Model-2와 Model-3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낮은 풍속과 균일한 풍속분포도를 나타냈으며 모델간의 평균 온도, 평균 상대습도 및 평균 암모니아 농도가 차이가 없었으나(p>0.05) Model-1과 Model-3의 종료체중과 일당증체량이 Model-2에 비해 높았다(p<0.001). 따라서 Model-1이 Model-2와 Model-3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200원
        118.
        2014.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a possibility to expend the scope of Traditional Korean-style ** ** House, or Hanok through including North Korea's Modem Korean-style building. A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s gaining more attention, we should think over how contemporary Hanok should be and establish the concept of Hanok for future generations to come. In order to do that, the traditional Hanok design techniques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is, the appropriate Hanok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for contemporary buildings could be found out. This study, therefore, aims at finding basic data of design techniques which can be applied to modern Hanok in South Korea and provi%Bng clues for the future Hanok design through studying Korean-style modern buildings in North Korea.
        5,400원
        119.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인호는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사실은 작가 최 인호에 대한 선입견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평단과 학계는 최인 호의 소설을 진지한 연구 대상으로 삼는 데 유보적이었다. 하지만 최인호 의 등단 초기 작품들은 당대의 다른 작가들과 비교할 때 매우 이채로운 특 징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최인호 의 소설에 등장하는 소설적 인물들이 서울 토박이라는 사실이다. 서울이 대도시로 변모하던 1970년대, 최인호의 소설 속 인물들은 그 변화에 대해 다른 어떤 작가보다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김승옥이나 이청준과 같은 이전 세대의 작가들이 보여주었던 하숙생 인식과 거리가 멀다. 1960 년대 소설가들에게 ‘서울’이 고향과 대조적인 장소이자 환상이 파괴되는, 환멸의 장소였다면 최인호의 소설에서 ‘서울’은 고향이자, 삶의 터전이었 다. 따라서, 최인호의 소설 속 인물들은 1970년대 이후 발생했던 서울의 변화에 대한 목격자이자 증언자 역할을 해낸다. 그 변화가 산업화와 더불 어 진행된다는 점에서 최인호의 소설에 등장하는, 변화하는 ‘서울’과 ‘집’에 대한 서술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된 사유 재산적 가치로서의 ‘집’ 문제가 이미 최인호의 1970년대 소설에 언급되기도 하고, 도시화에 따라 서울의 외연이 어떤 방식으로 확장되어 갔는지도 구체적 장면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중심에서부터 변두리로 멀어지는 거주지로서 ‘집’과 서울의 확장 과정을 통해 당시 서울 토박이 소시민으로서 경험해야 했던 박탈감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최인호의 초기 소 설에 나타난, 서울의 변모 양상과 집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러한 면모가 최 인호 소설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섬세한 관찰력과 사회 문제에 대한 예민한 감식안을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