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10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valence and serotype of food-borne pathogens was investigated from 888 samples of chilled meat, 222 samples of packed frozen meat and 117 samples of imported frozen meat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96 to October 1998. Isolation rates of pathogens associated with food poisoning were revealed in order of Staphyloccus aureus, Campylobacter jejuni/coli,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but Escherichia coli O157:H7 was not isolated in all of the meat samples. Amusingly, Cczmpylobacter jejuni/coli were isolated highly in refrigerated meat, but was not isolated in packed frozen meat. L. monocytogenes was encounted higher isolation frequency in packed frozen chicken meat than in refrigerated chicken meat. In the distribution of serotypes of isolates, most isolates of Sta. aureus classified as enterotoxin type C and D. All of the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ork were diagnosed group A and most of isolates from chicken meat were grouped B and D. Most of L. monocytogenes isolated from chicken meat were grouped type 1 and a few number of isolates classified as type 4.
        4,000원
        105.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나무혹벌의 천적종류와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국내 천적종류는 Torymus sinensis, Torymus geranii(남색 긴꼬리좀벌), Eurytoma brunniventris(상수리좀벌), Eurytoma setigera, Megastigmus maculipennis(배잘룩꼬리좀벌), Megastigmus nipponicus(노란꼬리좀벌), Ormyrus flavitibialis(노란다리남색좀벌), Ormyrus punctiger(큰다리 남색좀벌), Eupelmus urozonus(노란꼬리벼룩좀벌), Eupelmus sp., Sycophila variegata, Diptera sp.(파리 1종)로 동정 되었다. 이들 천적 가운데 Torymus sinensis, Eurytoma setigera, Eupelmus sp.는 국내에 분포하는 것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천적의 계절별 발생소장을 경기지방에서 조사한 결과, Torymus sinensis의 성충은 전년의 형성된 벌레혹으로부터 이듬해 4월~5월에 우화하였으며 각조사지역에서 최우점종이었다. Torymus geranii, Sycophila variegata, Eupelmus urozonus(노란꼬리벼룩좀벌), Eupelmus sp.의 성충은 전년 및 당년에 형성된 벌레혹 모두에서 각각 4~5월과 6~8월에 우화하였으며, 이외의 기생벌 성충은 당년에 형성된 벌레혹으로부터 6~8월에 우화하였다.
        4,000원
        106.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obesity and body fat distribution on the variances of age.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and girth circumference on about 422 women residing in Cheju, Korea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 1) All the antropometric measurements except height were shown to increase with age. Weight is at its highest level between the age of 50-59. The measurement of skinfold thickness and girth circumference between the ages of 20-39 of the female subjec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bove 40'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middle aged women. 2) Physical indices tend to increase according to age. Both BMI and RBW of women in their 50's are at their highest values, however, the index values of the women in their 60's decreased slightly (p<0.05). On the contrar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total body fat content among the middle aged women surveyed. 3) According to this survey, 15.6% of the 422 subjects are assessed as being obese ; more specifically 4.4% of women in their 20's, 12.6% in 30's, 25.6% in 40's, 22.5% in 50's and 17.3% in 60's. 4) 39.4% among obese women proved to be upper body type women. Because the frequency of upper body type women became higher as the obese women aged, there is possibility that the pattern of fat distribution can change. 5) Weight is th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BMI(r=0.91), whereas weight as correlated with RBW, percentage of BF and WHR are 0.8, 0.66 and 0.44 respectfully. The conclusion of this survey is that it is better to estimate the value of total body fat and percentage of body fat than the value of BMI in the analysis of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of middle aged women.
        4,000원
        109.
        197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utbreak of apple scab was found on the apple seedlings growing in Korea which were imported from Marylang, U.S.A. in 1972. Symptom of apple scab is much similar with pear scab caused by Venturia pirina except that the round spot on leaves, more lesions on upper side of leaves and much severe symptoms appeared on both side of leaves. About of plants were infected in 1972 and 1973, respectively.
        11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rinary tract infection (UTI) accounts for 15.5% of hospitalizations by infectious disease in over age of 65, second only to pneumonia, and they are responsible for 6.2% of infectious disease related deaths. UTI and asymptomatic bacteriuria (ASB) are very common in elderly. Distinguishing symptomatic urinary tract infection from asymptomatic bacteriuria is often difficult especially in old people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ue to lack of specific symptoms. As the population is getting older, UTIs and ASB in elderly adults represent a significant health care burden. However, there is no exact data on morbidity of UTIs in elderly persons in Korea. This article reviews the prevalence of ASB and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UTIs.
        111.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신경학의 등장과 함께 뇌와 관련된 지식을 교육에 융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뇌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지 않는 융합의 시도는 뇌와 관련된 잘못된 믿음 인 신경계신화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신경계신화 수준을 확인하고 이러한 신경계신화를 예측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21명(초등교 육 전공 대학생 269명, 중등교육 전공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80% 이상의 예비교사들이 뇌를 이해하는 것이 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높은 수준의 신경계신화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미만의 정답률을 보인 문항은 시각적, 청 각적, 운동적 학습양식과 관련된 문항이었으며 풍요로운 학습환경에 의한 뇌발달, 좌우뇌형 학 생, 전이효과와 관련된 문항은 10% 미만의 정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4문 항을 중심으로 신경계신화 정도를 예측하는 요소를 확인한 결과, 뇌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할수 록, 뇌가소성과 관련된 지식이 많을수록, 방송과 학문저널을 통해 뇌관련 지식을 습득할수록 신경계신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교사들이 높은 수준의 신경 계신화를 가지고 있으며 뇌에 대한 관심이 신경계신화를 높이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학제 간 효과적인 융합과 이를 통한 교육의 발전을 위해 교사들이 뇌와 관련된 정확 한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1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focuses on the fauna, seasonal prevalence and altitudinal distribution of the flies from March to November, 2008 in Mt. Hallasan, Jejudo Island, Korea. The fauna of flies was 39 species belonging to 5 Families which consist of 12 Calliphoridae, 19 Muscidae, 5 Sarcophagidae, 1 Dryomyzidae 1, Scathophagidae and 1 Anthomyiidae. The total number of flies collected was 21,605 with sex ratio of 57.98% in Mt. Halla. The ratio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sidential area and other mountain survey sites. The average number of per trap individuals collected on the trapping day is 267, which is similar with the average of Mts. Jiryong, Juwang, Palgong and Gumo. The five dominant species showed a distinctive seasonal prevalence of 92.6% of the total flies: Chrysomyia pinguis (34.2%), Calliphora lata (25.3%), Hydrotaea dentipes(23.1%), Fannia scalaris (5.1%), and Lucilia caesar (4.9%). The seasonal prevalence of the flies was from the beginning of March to the end of November, and the highest peak time of the whole flies, males and females were different respectively. In the similarity index of the flies collected in different altitude, that of between 1,000 meters and 1,500 meters was the highest among the indices of 500 meters and above 1,000 meters. The index at each altitude was above 80% because of the same area. The diversity index of fly species was between 0.00 and 0.88 through altitudinal traps monthly. The highest index in Trap 1 was 0.88 in October, in Trap 2, 0.82 in July and in Trap 3, 0.63 in July. The diversity above 1,000 meters was most various in July. The five dominant species of C. pinguis, C. lata, H. dentipes, F. scalaris, and L. caesar showed distinctive seasonal prevalence, relative abundance and altitudinal distribution respectively.
        113.
        200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otal number of flies collected was 4,864 with sex ratio of 32.8% from Suseungdae area, Geochang-gun, Gyeongnam, Korea. The fauna of fly was 35 species consisting of 13 Calliphoridae, 12 Muscidae, 8 Sarcophagidae, 1 Dryomyzidae and 1 Anthomyiidae. The number of genus and species of Calliphoridae and Muscidae of Suseungdae area were similarly found in the mountain and residential areas, however, those of Sarcophagidae was similar with that of residential area. Calliphoridae was the most dominant family at the survey sites with 60.4% of the total collected flies, and followed Muscidae 33.3% and Sarcophagidae 6.2%. The dominant species were constituted of 83.6% of the total flies and the order of collected flies was Chrysomyia pinguis (42.2%), Limnophora sp. (10.8%), Muscina angustifrons (8.6%), Calliphora lata (8.1%), Fannia scalaris (5.5%), Lucilia caesar (3.9%), and Boettcherisca peregrina (4.2%). The seasonal prevalence of flies was from the middle of March to the end of November, and the peak time of appearance was the middle of June, middle of September and middle of October. The highest peak of prevalence was the middle of October. The similarity index of the flies was above 80%, compared to Mt. Geonheung and landfill in Geochang-gun. The number of fly species was more affected by the mean air temperature. In the comparison of the seasonal prevalence and relative abundance of 7 predominant species among 35 species, each species was found to exhibit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showed the pattern of species.
        11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누적외상성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원 재교육기관에서 교육이수중인 56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최근 12개월동안 누적외상성질환 증상을 경험한 선원은 68.5%였으며, 근무시간이 길수록(p<0.01), 승선경력이 많을수록(p<0.01) 증상경험이 높았고, 직무만족도는 낮을수록 증상 경험이 높았다(p<0.05). 신체부위별 증상 경험은 허리 43.6%, 무릎 23.9%, 어깨 19.3%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해기사가 부원보다 목 부위만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p<0.01), 기관부가 갑판부 보다 팔꿈치의 증상경험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통증지속기간은 7일 이하가 55.4%로 가장 많았고, 8-29일이하 20.6%, 30일이상 24%로 조사되었다. 증상 유발원인은 과중한 노동이 34.5%로 가장 높고, 원인불명이 30.1%로 조사되었다.
        11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조선조 말엽 유행한 명현록에 나타나는 명현가의 전국적 현황과 도별 양상, 경상도 지역 명망 문중 및 그 현조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명현록은 처음 ‘道學’의 계보에 연결되는 인물을 수록하는 것에서 비롯되었으나, 점차 道學 뿐 만 아니라 忠節이나 여러 방면의 업적으로 현저한 국가적 공헌이 있는 인물로 수록 범위가 확대되고, 이후 각 성관별로 이를 정리, 수록하는 형태로 진전되었 다. 각 성관별 명현을 수록한 명현록은 뒷 시기로 가면서 명현 후손의 세거지와 사승 관계를 명시하는 것이 기록상 중요시 되고, 뒤이어 이를 경상도라는 일정 권역에 한정해서 명현가와 그 현조의 휘·호·본 정도를 간략히 명시 수록하는 경 우로 나타난다. 한편 이 단계에 이르면 명현록에 등재된 인물은 조선조의 수많 은 명현들 가운데 그들의 후손이 동족 마을을 형성하고 있는 인물만을 대상으 로 하게 된다. 전국의 각 성관별 명현의 후손 거주지를 볼 때 서울이 압도적 다수를 점하여 조선조 말엽에 있어서 서울은 여러 명현가의 소굴로 나타나며, 경상도가 타도 에 비해 많은 등재 인물수를 보임이 주목된다. 고을로는 청주, 진주, 양주, 안동, 성주 등의 순으로 등재 인물의 후손 세거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명현가가 지 방 행정의 중심지에 비교적 많이 집중되어 있는 점도 주목된다. 경상도 각읍 명현가를 등재 수록한 수종의 명현록을 통해서 특정 성씨 앞에 특정 촌명을 冠하여 ‘○○金氏’와 같이 불리워진 5백 수십여 문중의 존재가 조 선조 말엽 경상도 지역에서 확인되며, 이들 가운데는 200여 내외의 숫자에 달 하는 명망 문중의 존재도 추측된다. 경상도 각읍 가운데 진주는 도내에서 가장 명현가의 수가 많은 고을로 나타나며, 우도가 좌도에 비해 2배나 등재 인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들 지역에서 특정의 현조를 중심으로 동성의 씨 족이 결집되는 움직임이 활발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다. 명현록에 등재된 경상도 각읍 명현가의 현조는, 단성 지역을 중심으로 살필 때, 주로 남명학파가 형성되고 당쟁이 전개되던 선조-인조 년간의 시기에 즈음 하여 지역 사회에서 주목되는 활약을 보였던 유명 인사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들 유명 인사의 후손은 17-18세기에 걸쳐 향권을 지속적으로 장악하는 유력 씨족으로 자리를 잡았고, 이후 19세기 말엽에 이르러서도 문집을 남기는 인사 를 많이 배출하는 등으로 해서 여전히 명망을 유지하는 씨족으로 나타난다. 이 같은 제조건을 충족하는 유력 씨족이 조선조 말 명현가로 알려져 여러 명현록 에 기록되어 나타나는 바, 이는 비단 단성 지역만이 아니라 경상도내 다른 고을 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본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