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8

        103.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 식용 색소원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자색 고구마로부터의 색소 추출에 대한고전압펄스전기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색 고구마 색소는 일정한 주파수와 처리시간 하에서 전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 추출하였을 경우 전기장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색소의 추출량도 점차 많아지고 있음을 나타내었으며 최적 전압은 35kV/cm임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전기장의 세기와 처리시간을 주고 주파수만을 변화시키면서 추출을 했을 경우 낮은 주파수에서 500Hz까지는
        104.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수(TW), 0.85% 식염수(0.85% NaCl) 및 0.5% Sodium metabisulfite(0.5% SMS)를 대조구로 하고 강산성 전기분해수(SAEW ;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pH 2.53, ORP 1,088 mV, HClO 91.25 ppm)와 약알칼리 전기분해수 (LAEW ; Law Altaline Electrolyzed Water, pH 8.756, ORP 534 mV, HClO 105
        10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 고품질 분말 제조 방법을 확립키 위하여 건조방법에 따라 건조시간과 제분을, 분말의 색택 등 조사하고, 제조과정 중 색깔의 변화를 방지 할 수 있는 갈변방지제 선정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시간은 50℃ 는 3.7~4.1 시간으로 70℃ 에 비하여 1.7~2.2 배, 90℃ 에 비하여 2.7~2.8 배가 길었다. 2. 비타민의 함량은, 생 고구마에 비하여 열풍건조 분말이 2~22% 정도이었고, 동결건조는 62~67% 로 높았다. 열풍 건조의 경우 건조 온도별로는 70℃ 가 원료고구마에 비하여 12~22% 로 손실량이 가장 적었다. 3. 당도는 생 고구마에 비하여 약 40~50% 정도이었고, 건조온도 중에서는 70℃ 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4. 건조온도별 제분율은 70℃ 가 높았고, 품종 중에서는 진홍미가 높았다. 5. 건물을, 건조시간, 성분변화, 제분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볼 때 적정 건조 온도는 열풍건조 70℃ 가 좋았다. 6. 분말조제시 적정절단 두께는 비타민 C함량과 기호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슬라이스 2.0 mm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7. 고구마 분말 제조시 갈변방지를 위하여 비타민 C 1% 용액에 침지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106.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와 고구마의 박피 방법별 초기 품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박피 방법별 감모율은 회전식 마찰형 박피기로 박피한 감자가 평균 7.9%, 고구마가 7.3%로 가장 우수하였다. 박피후 수분함량은 박피방법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박피후 3시간까지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pH는 박피후 감자는 5.8-6.8, 고구마는 6.23-6.63이었으며 박피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다. 경도는 일반과도를 이용한 수작업 박피가 우수하였다. 감자의 갈변도는
        107.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율미, 자미, 주황미 등 작물과학원 목포시험장에서 2004년에 재배된 32품종 및 계통을 시료로 색과 물성 등 외관특성과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등 항산화 활성에 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구마 과피의 색은 일반 고구마와 유색 고구마간 큰 차이가 없었고 일반 고구마의 명도와 황색도가 유색고구마에 비해 다소 높았다. 생고구마와 찐고구마로 처리를 달리하여 과육을 색을 측정 하였을때 찌기 전에 비해 적색도는 모두 낯아 졌고, 특히 자색고구마는 22.0에서 5.24로 크게 낮아졌으나, 황색도는 시료의 품종에 관계없이 변화가 없었다. 2. 생고구마의 경도는 황색고구마의 경도 값이 낮았으며, 일반고구마 중 연미 등 4품종은 2500kg/~varphi 2mm 이상의 단단한 경도를 지니고 있었다. 찐고구마의 물성 측정 결과, 탄성, 검성 및 경도는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모두 자색고구마>일반고구마>황색고구마의 순이었다. 3. 고구마의 총페놀성분은 자색고구마>황색고구마>일반고구마의 순으로 평균 각 13.1, 6.22 및 3.02mg/g씩 함유되어 있었고, DPPH에 의한 전자소거능 또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자색고구마에서 황색 및 일반고구마보다 2.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 고구마 품종 중 신건미, 생미와 신천미는 각각 88.5, 80.9, 78.9~% 의 큰 전자소거능을 지니고 있어 항산화력이 있는 고구마 품종으로의 선발 가능성이 있었다. 4. 색과 총페놀성분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생고구마와 찐고구마 모두 과육의 적색도와 고도의 정 상관을 지니며, 색과 DPPH 전자소거능과의 관계에서는 생고구마의 황색도가 5~% 유의수준에서 부의 상관이 있었다.xygenase 결여 콩나물로서의 육종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다.질미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경우 복비의 무처리시 거의 잔디의 초장이 신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잔디의 피해지역에 복비를 처리할 경우 잔디의 빠른 생장이 이루어졌다. 신초 건물중은 복비 처리전 8월 6일에 비하여 11월 6일에 이스트밸리 LD지역의 무처리구가 1.2~% 감소하였지만 처리구는 50~% 정도가 증가하였다. 지산의 시험 결과도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신초와 뿌리의 비율(S/R)은 처리구의 경우 뿌리보다 신초의 건물중이 더 증가하였지만, 무처리구의 경우 뿌리와 신초의 생장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포복경과 지하경의 건물중을 합한 R&S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이스트밸리의 경우 복비를 처리하기 전 8월6일에 무처리구인 LD지역이 처리구인 LD지역에 비하여 5.5~% 정도가 적었지만 복비를 처리한 후엔 오히려 처리구의 LD지역이 48~% 로 증가하였다. 지산의 결과 역시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4. 이상의 결과들로 알 수 있는 것은 수목 근부에 생장하고 있는 잔디의 피해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골프장내 수목의 밀생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광에 의한 피해보다는 오히려 양분과 수분의 경쟁에 의한 피해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이들 잔디의 피해 지역에 복비를 처리함으로서 무처리 지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수목 근부에서 생장하는 잔디의 집중관리 체계로 보다 효율적인 코스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
        108.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weet potato infected with a viral disease (SPFMV) showed irregular chlorotic patterns, so called feathering associated with faint or distinct ring spots that have purple-pigmented borders. SPFMV was eliminated from sweet potato plants using meristem tip cultur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BAP (2mg/L) and NAA (0.05 mg/L) was used for shoot proliferation and 1/2 MS medium for rooting of the plants. Highest percentage of regenerated plants (60%) was obtained from the optimum size (0.3-0.5mm) meristem tips. Of these, 60% plants were found negative for SPFMV by RT-PCR. Virus detection by RT-PCR was found to be a reliable method. Meristem-tip culture to produce SPFMV-free quality sweet potato and virus detection by RT-PCR is an efficient, time saving and reliable method for production of SPFMV-free tissue culture raised plants.
        109.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eenhouse and laboratory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allelopathic potentials of extracts or residues from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The extracts applied on filter paper in a Petri dish bioassay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alfalfa. Aqueous leachates at 40g dry tissue ~textrmL-1 (g ~textrmL-1 ) from leaves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against alfalfa, and followed by stems and roots. Alfalfa root growt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methanol extracts of the same plants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effect of residue incorporation into soil on seedling growth of com, soybean, barnyard grass and eclipta was examined in the greenhouse, and results showed that the leaf residues at 200g ~textrmkg-1 by plant parts inhibited shoot dry and root dry weights of test plants by 60-80%. By means of HPLC, causative allelopathic substances present in plant parts of sweet potato "Sinyulmi" were identified as coumarin, trans-cinnamic acid, o-coumaric acid, p-coumaric acid, and chlorogenic acid. Total content of these compounds for leaves extracts were detected as the greatest amount in EtOAc fraction, especially trans-cinnamic acid was the greatest compon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weet potato plants have herbicidal potentials, and that their activities exhibit differently depending on plant parts.ant parts.
        110.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기재배 고구마에서 2모작 재배용 묘를 생산하기 위하여 조기재배의 수량감소를 최소화하고, 2모작용 묘를 최대 생산하기 위한 최적 지상부 경엽절제에 대한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무절제와 비교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15% 경엽절제 이하에서 수확기에 동일수준이었다. 2. 경엽절제 정도가 많아짐에 따라 지상부 경엽중의 감소는 주만장과 주만절수의 감소가 원인이었다. 3. 총저중이 20% 경엽절제까지 같은 수준이었던 것에 대하여 50g 이상의 상저중은 15% 경엽절제까지 무절제와 비교하여 동일 수준이었던 것은 경엽절제 정도가 많아짐에 따라 50g 이하의 설저의 증가로 상품화율이 감소했기 때문이었다.
        114.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urce와 sink의 상대적 크기가 다른 고구마 품종간 이면접목을 통하여 생육에 미치는 고구마의 source와 sink의 상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장, 괴근수는 접목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접목조합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2. 지상부의 생육은 접수, 지하부의 생육은 대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주만장과 괴근수에 대한 접목효과, 접수와 대목의 효과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4. 상저비율은 보통삽식>자가접목>이면접목 순으로 높았다.
        115.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urce와 Sink의 차이가 있는 고구마 품종간 이면 접목을 통하여 수량에 미치는 source와 sink의 상대적 기여도를 구명함으로서,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율미, 신율미, 건미, 홍미 및 선미의 5품종을 공시하여 저장능력과 생산능력을 분석 하였다. 1.경엽중과 괴근중에 대한 일반접목효과(GGE), 특정접목효과(SGE) 및 정역접 목 효과(RCE)가 모두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총 건물중은 접목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접목조합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3. 생산능력은 접수 그리고 저장능력은 대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4.신율미는 잠재생산능력과 잠재저장능력이 높아, 총 건물중이 많았으며, 홍미와 율미는 잠재생산능력이 낮아 총 건물중이 적었다.
        116.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important to accelerate rooting and establishment of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for higher dry matter production and tuber yield in sweet potato cul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vine-cutting holding on rooting and plant growth after transplanting. Vines were cut 20-25cm long and stored for 1, 3, 5, 7 or 9 days in a shade room at 20~pm 0.5~circC , RH 68~pm,/TEX>1%. Peroxidase activity in the vine cuttings increased as the holding period increased and the highest catalase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5-day holding. Length of main vine, number of branches and nodes on main vine also increased in the 5-day holding.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main vine among the various holding periods. The data obtained indicate that transplanting of vine cuttings after 5-day holding could promote rooting and vine growth
        117.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1993-94 season to determine the pattern of nutrient uptake and productivity of maize/sweet potato intercropping system. Four levels of nitrogen (0, 50, 100 and 150kg N ha-1 ) and four levels of potassium (0, 40, 80 and 120kg K2 O ha-1 ) formed treatment variables. Plants were sampled periodically to determine dry matter and tissue concentrations of N and K in the individual plant components of intercropped maize and sweet potato.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 did not interact significantly to nutrient uptake by any plant parts of intercropped maize and sweet potato. But application of N fertilizer independently enhanced N uptake in all the plant parts of maize and sweet potato. The uptake of N in leaf, leaf sheath, stem, husk, and cob of maize increased upto 90 days after planting (DAP) but grain continued to accumulate N till its maturity. Sweet potato exhibited a wide variation in N uptake pattern. Sweet potato leaf shared the maximum uptake of N at 50 DAP which rapidly increased at 70 DAP and then declined. Declination of N uptake by petiole and stem were observed after 120 DAP whereas N uptake by tuber increased slowly upto 90 DAP and then rapidly till harvest. Rate of applied K had very little effect on the uptake patterns in different components of intercropped maize. Pattern of K uptake by leaf, petiole and stem of sweet potato showed almost similar trend to N uptake. But uptake of K by tuber increased almost linearly with the K application. Pattern of N and K uptake by grain and tuber paralleled the grain yield of maize and sweet potato respectively. Intercropped productivity of maize and sweet potato found to be better by the application of 100kg N and 120 kg K2 O ha-1
        118.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색고구마 색소 농축액의 유동특성을 원뿔형 회전점도계를 사용하여 가용성 고형분의 농도 25-65% 및 온도 20-6의 범위에서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 색소 농축액은 뉴톤성유체의 특성을 나타냈다. 자색고구마 색소 농축액의 점도의 온도에 대한 영향은 Arrhenius 식을 따랐으며, 활성화에너지는 14.23-43.00 kJ/mol로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자색고구마 색소 농축액의 점도와 온도 및 농도에 대한 관계를 조사한 바,
        119.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Source와 sink의 차이가 있는 율미, 신율미, 건미, 홍미 및 선미의 고구마 5품종을 공시하여 시비량을 달리하여 재배하고, 괴근중 증가 전기에 경엽을 절제하였을 때의 source와 sink의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품종들의 시비량과 경엽 절제비율에 의한 경엽중과 괴근중의 반응이 동일하지 않았다. 2. 경엽중은 다비할수록 많았으며, 품종별로는 신율미〉선미〉홍미 〉건미〉율미 순서였다. 괴근 수량은 질소-인산-가리=60-70-190kg/ha 시비량에서 가장 많았으며, 선미가 가장 많았고, 건미는 가장 적었다. 3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수록 경엽과 괴근수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질소-인산-가리=20-30-90kg/ha 시비량의 50%절제까지는 경엽중이 많을수록 괴근중이 증가되었으며, 경엽 절제비율이 많을 수록 경엽과 괴근 수량의 차이가 적었고, 총건물 수량은 증비 할수록 많았다.
        120.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섬유질이 풍부하고 enthocyanin색소가 풍부한 자색 고구마를 이용하기 위하여 탈지유와 설탕이 들어있는 기본배지에 증자, 박피한 고구마를 첨가한 후 5종(Lactebacillus bulgaricis, Lactobacillus delbruchii sub. sp. lactis, Streptococcus lactis, Bifidobacterium bifidum, Leuconostoc lactis) 의 젖산균주를 배양, 접종하여 호상 요쿠르트를 만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