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121.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sociability and eating habit for children seven years old in kindergarten. The two groups of preschool children 7 years, in 'M' kindergarten and in 'N' kindergarten, were objects of this research. The number of children were 22 and 7, respectively.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ere applied for 12 sessions in one time a week to 'M' kindergarten and for 15 sessions in one time a week to 'N' kindergarten. The results showed horticultural activities significantly improved sociability and eating habit. Especially the inclination for violence, injuring or beating, was reduced remarkably. Horticultural activities seem to b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on natural phenomenon, involve the characteristics of a plant and an animal, and also for recognizing signification of nature life while children did horticultural activities. It was seem those positive effects lead improve sociability in their group.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an effect on eating habit for children. Especially, It was seem that this effect, improving an unbalanced diet habit, arise from getting familar with vegetables while children cultured and cared themselves.
        122.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창의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여 유아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와 C도 교육청 소속의 유치원 1급 자격 연수 과정에 있는 교사 72명이다. 연구 도구인 설문지는 창의성의 개념, 창의성 태도, 창의적인 유아, 유아 창의성 교육의 4개 항목으로 개방적인 질문과 폐쇄적인 질문을 통하여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교사들은 창의성의 개념, 창의적인 유아의 특성,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 전략 및 교육활동에 대해 창의성 이론에 토대로 다양하게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반면에 창의성의 발휘 경로, 창의적인 유아의 비율, 창의성 교육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었다.
        123.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가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 780명이었으며, 연구도구인 질문지는 4범주 2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유아역사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인식, 내용에 대한 교육실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활용실태, 지원 및 문제점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았다. 자료의 처리는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아역사교육에 관한 지원과 연구, 교사교육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124.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활동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치원 연계 교육활동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3명의 교수-학습활동 경험을 문화 기술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대상은 공립 초등학교 교사 3명으로 유치원 5세반 1개 학급에서 각 각 사물놀이, 씨름, 건강교육을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수-학습활동 연계교육을 위하여 연구자와 초등학교 교사 3명은 5개월에 걸쳐서 상호 협의 과정, 교수-학습계획 수립, 교수-학습활동 실행의 과정을 거쳤다. 분석 자료는 교사 면접자료, 교사 이야기 쓰기, 교육활동 녹화기록, 연구자의 기록 등이었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경험의 특성은 「유아의 특성에 대한 이해」, 「유치원 교육에 대한 이해 」,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해 」, 「연계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로 나타났다.
        125.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터넷과 다양한 전자 매체들은 교실 수업에서 유아들에게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전통적인 학습 활동들이 공간과 자료들의 한계로 인하여 유아 개개인의 요구와 수준을 맞추는 것이 어려웠다면 인터넷과 전자 매체와 같은 공학기술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갖는 것이 바로 e-learning이고, 유치원에서는 e-learning을 통해 학습의 극대화를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e-learning은 학습 환경의 경계를 확대시키고 최신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해 주며,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들과 상호작용 하고, 공통 관심사에 대해 학습공동체를 형성시켜 주는 등의 특징들로 인하여 많은 교육효과를 줄 수 있다. 이는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자료, 웹기반 협력 테크놀러지, 개방적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등이 갖는 장점들이 연합하여 학습을 촉진한다(강숙희, 2001; Hannafin, Hannafin, Land, & Oliver, 1997; Haugland, 2000; Papert, 1980). 또한, 새로운 공학기술 자체가 교육의 효과를 줄 수도 있지만 이와 더불어 전통적인 학습활동과의 통합 운영, 효과적인 교수 학습 접근들을 함께 고려한다면 유아의 학습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e-learning의 특성들은 구성주의 관점과 여러 측면에서 유사한 점을 갖고(강숙희, 2001), 컴퓨터는 다른 매체에서 이루기 어려운 구성주의 전략을 실행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Driscoll,, 2002), e-learning 활동에서 구성주의 접근을 함께 고려하는 것은 유아의 학습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환경이 갖는 특성을 이해하고 유치원에서 행해질 수 있는 e-learning 활동을 제시한다. 또한, 구성주의 접근을 위한 학습 원리와 구체적인 교수-전략도 함께 제시한다.
        126.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가 학력,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인식을 전체적으로 알아본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 정도와 관련 지식은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관한 현장의 실태를 알아본 결과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은 그다지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정도와 실시 방법 면에서는 ‘필요시마다 실시한다’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반편견 교육에 대한 교수 방법을 알아본 결과 이야기 나누기 시간과 대․소집단 활동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편견 교육 활동 시 참고 자료는 교육부 지도 자료집을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다고 나타났고, 교수 매체는 ‘시각매체(도서자료 등)’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편견 교육의 교사 연수에 관한 참여 정도는 전체적으로 2년에 1회 정도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학력이 높고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반편견 교육의 연수 참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방법으로는 가정 통신문을 활용하고 있다는 것에 가장 높은 반응이 나타났고, 반편견 교육의 문제점으로 워크숍 또는 연수 기회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 된다고 분석되었고,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반편견 교육자료 개발과 반편견 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계발이 시급히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127.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임교사 모임을 통해 유치원 초임교사들이 이야기 하는 교직생활 내용은 무엇이며, 이러한 초임교사 모임이 그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기위한 것이었다. 초임교사 모임을 통해 유치원 교사들은 교수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막막함, 유치원에서 만나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불만, 교사로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힘이 되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 자신이 원하던 교육환경 및 교육방법과 이에 못 미치는 현재 유치원의 상황 등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한편 초임교사 모임을 통해 교사들은 이야기를 통한 동료지지, 정보공유를 통한 교수전략 교환, 동기와 자극을 통한 자신감 획득 등에 대해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모임을 진행해 가면서 느끼는 모임의 한계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128.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하며,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하위영역별로 고도의 지적 능력,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봉사 기능, 사회 경제적 지위의 순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 내용의 하위영역은 유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유아교육의 기초, 교사 교육, 정보화 교육, 교육 행정 및 운영, 건강, 대인관계 기술, 예술 및 문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연수 방법의 하위영역은 문화 활동 참여, 매체 활용, 교육기관 참여, 단체 활동 참여, 사설기관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개인연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는 전체적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가 중집단인 교사가 하집단 교사에 비해 높고, 상집단 교사가 중집단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129.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의 특성이 교사의 직업흥미와 어떤 상호관계성을 보여주고 있는가를 밝혀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공·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여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검사(김정택, 심혜숙, 1990)와 스트롱 직업흥미검사(김정택, 김명준, 심혜숙, 2001)를 실시하여 상호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스트롱 직업흥미검사의 척도별로 성격유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GOT 척도에서 MBTI의 외향형(E)은 사회형과 진취형과 관련이 있으며, 직관형(N)은 예술형과 관련이 있고, 사고형(T)은 진취형과 관련이 있었다. BIS 척도에서는 외향형(E)은 군사활동, 운동경기, 기계관련, 의학, 가정/가사, 교육, 의료봉사, 대중연설, 법/정치, 상품유통, 판매, 조직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직관형(N)은 과학, 음악/드라마, 글쓰기와 관련이 있으며, 사고형(T)은 기계관련, 수학, 종교활동, 대중연설, 법/정치, 상품유통, 판매, 조직관리, 자료처리와 관련이 있었다. PSS 척도에서는 외향형(E)은 업무 유형, 리더십 유형과 관련이 있으며, 직관형(N)은 학습 유형과 리더십 유형과 관련이 있으며, 사고형(T)은 리더십 유형과 관련이 있었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