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

        121.
        1994.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원료 석탄 핏치와 흑연화성이 우수한 THF 가용성분만을 추출한 핏치 결합재에 8H/Satin woven fabric 프리프레그 및 고탄성 및 고강도계 연속 탄소섬유 등을 보강하여 가압열성형법으로 green body 를 제조한 다음 탄화, 함침, 재탄화 및 흑연화 공정을 거쳐 열적 미 기계적물성이 우수한 CFRC를 제조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 편광현미경, X선회절분석,열중량분석,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충간전단강도 등을 시험하였다. THFSP결합재를 2300˚C까지 열처리 한 다음 X선회절분석을 한 결과, 결정성이 가장 우수하여 (002) 면에서 C0/2인 값이 3.380Å였으며, 2θ값도 26.276˚로 천연흑연의 Bragg angle에 거의 접근하였으며 공기산화 반응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등온 열중량분석을 한 결과 2300˚C까지 흑연화 한 THFSP결합재가 산화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섬유용적률이 증가됨에 따라 65~70%까지는 기계적 물성이 중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이상 섬유가 보강된 CFRC는 결합재의 부족으로 인하여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굴곡강도 시험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파괴 단면을 관찰한 결과 THFSP결합재가 흑연화성이 우수하여 파괴시 결합재가 외력에 대한 흡수가 양호하여 보강재의 파괴를 억제했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4,300원
        122.
        1993.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탄소/탄소 복합재의 산화 저항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aluminum iso propoxide및 aluminum tri sec butoxide졸을 2D-탄소/탄소 복합재에 도포하여 산호 억제층으로서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촉매/알콕사이드의 몰비가 0.07, 물/알콕사이드의 몰비가 100일때의 산화 억제효과가 양호했으며, 승온속도를 20˚C/min로 하여 승온분석시험한 결과는 도포시편이 80˚C 정도의 산화 개시온도가 20%감소되는 시간을 측정한 TGA분석에서는 도포시편이 20% 정도의 산화 저항성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도포막의 두께는 1회 도포막이 3μm, 2회 및 3회 도포막이 4-5μm 정도였고, 열충격 시험은 횟수에 따라 산화량이 증자하였다. 5% 전환률에서의 도포하지 않은 시편의 활성화 에너지는 33.2Kcal/mole이었으며 도포시편의 활성화 에너지는 37.1Kcal/mole이었다.
        4,000원
        123.
        1992.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D-woven fabric에 결합재로 페놀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한 CFRP의 탄화거동을 관찰하였다. TMA분석 결과 적층 두께방향에서는 365-370˚C 법선방향에서는 118-128˚C 에서 치수변화가 일어났다. 각 온도 구간별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FRP제조시 형성된 크랙이나 기공은 열처리온도에 따라 성장하였으며, 400-500˚C 부근에서 새로운 많은 크랙이 형성되었다. 기공률과 밀도가 400-500˚C 에서 급격히 변화한 것을 볼 때 이 구간에서 복합재 내부에서 크랙이 형성 및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CFRP를 탄화할 때 승온속도를 구간별로 조절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24.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gregate size on the tensile behavior of highly ductil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Partial applying 5.6mm coarse aggregate instead of micro silica sand was considered. It was revealed that the fiber-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s with 5.6 mm coarse aggregate as well as micro silica sand still showed enough tensile strain capacity more than 5% and limited crack width less than 150 ㎛.
        125.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known that all of structures be old enough not to use as time elapses,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depends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intenance activity. Specific repair for deteriorated structures should be applied and the performances are greatly affected by materials used and location of members allocated.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steel pipe pile in terms of performance when they are reinforced by carbon-fiber composite for underwater.
        12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gregate size on the tensile behavior of highly ductil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Partial applying 5.6mm coarse aggregate instead of micro silica sand was considered. It was revealed that the fiber-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s with 5.6 mm coarse aggregate as well as micro silica sand still showed enough tensile strain capacity more than 5% and limited crack width less than 150 ㎛.
        127.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gregate size on the tensile behavior of highly ductil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Partial applying 5.6mm coarse aggregate instead of micro silica sand was considered. It was revealed that the fiber-reinforced cementitous composites with 5.6 mm coarse aggregate as well as micro silica sand still showed enough tensile strain capacity more than 5% and limited crack width less than 150 ㎛.
        128.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known that all of structures be old enough not to use as time elapses,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depends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intenance activity. Specific repair for deteriorated structures should be applied and the performances are greatly affected by materials used and location of members allocated.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steel pipe pile in terms of performance when they are reinforced by carbon-fiber composite for underwater.
        12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FRP known to be new material for repair and rehabilitation has several deficiencies even lots of advantages itself, especially underwater construction. By evaluating the material properties of FRP for underwater, thus, this study provides construction technology with basic data related to repair and rehabilitation of structures submerged in the water.
        13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steel pile in terms of performance when reinforced by primer and impregnated epoxy developed for underwater. Through compressive strength test, the adhesion between original material and new one was to be investigated as well as reinforcing effects.
        131.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기상자료를 대상으로 극한기상현상의 발생원인을 단일재해와 복합재해로 발생하는 시기로 구분하여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복합 재해에 대한 정의 및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30년 이상의 자료를 보유한 기상청 산하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전기간 자료를 구축하고 극한기상 현상의 발생원인을 강우-강풍, 강설-강풍 등 복합재해로 발생하는 시기의 자료와 단일재해로 발생하는 시기로 구분하여 지속시간별 연최대치계열을 추출하였다. 일반적으로 지표를 이용하여 지수를 계산하는 경우 반드시 표준화(normalization), 가중치부여(weighting), 집계(aggregation)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지표들의 평가 기준 및 형태 등이 상이하므로 이를 평가할 수 있도록 표준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Z점수 방법을 사용하여 적용하였다. 최근 2003년~2013년 11년간의 기상자료에 대한 Z 점수값의 상위 10%이내 해당되는 기상관측소의 지역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강우, 강풍, 적설이 각 지역별로 나타나는 표준화 점수를 통해 기후변화 영향을 받은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132.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기상자료를 대상으로 극한기상현상의 발생원인을 단일재해와 복합재해로 발생하는 시기로 구분하여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복합 재해에 대한 정의 및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30년 이상의 자료를 보유한 기상청 산하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전기간 자료를 구축하고 극한기상현상의 발생원인을 강우-강풍, 강설-강풍 등 복합재해로 발생하는 시기의 자료와 단일재해로 발생하는 시기로 구분하여 지속시간별 연최대치계열을 추출하였다. 복합재해(강우-강풍, 적설-강풍)에 따른 기본하중도 산정을 위해 복합재해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으로 다변량 분석기법인 Copula 분포를 적용하였다. Copula 분포 적용을 위해 과거 기상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기상변수에 대한 지속시간별 연최대치계열(강우, 적설)을 산정하고 연최대치계열이 발생할 경우의 평균풍속을 산정한다. 분석대상 복합재해 요소에 대한 최적 주변분포(Marginal Distribution)와 Copula 분포를 적합도 분석을 통하여 선정하고 조건부 Copula 개념을 적용하여 임계풍속(연최대치계열이 발생할 경우의 평균풍속과 표준편차의 합)이 발생할 경우의 지속시간별 재현기간별 하중도를 산정한다.
        133.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기상자료를 대상으로 극한기상현상의 발생원인을 단일재해와 복합재해로 발생하는 시기로 구분하여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복합 재해에 대한 정의 및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30년 이상의 자료를 보유한 기상청 산하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전기간 자료를 구축하고 극한기상현상의 발생원인을 강우-강풍, 강설-강풍 등 복합재해로 발생하는 시기의 자료와 단일재해로 발생하는 시기로 구분하여 지속시간별 연최대치계열을 추출하였다. 지속시간별 연최대치계열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표준편차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단일재해와 복합재해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복합재해로 발생하는 구간의 선정은 강우-강풍의 경우 태풍백서를 통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기간의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강설-강풍의 경우 폭풍주의보의 기준이 되는 최대풍속 14m/s 이상 또는 일평균풍속을 초과하는 강설 관측 기간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극한기상현상의 발생원인에 따른 특성분석 결과는 기후변량에 대한 연최대치계열을 이용한 단변량 기반 재현기간별 기본하중도 산정방법과 지속시간과 수문량을 고려한 다변량 기반 복합하중도 산정 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13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creep results of experimental testing of GFRP / Aluminum composite beam strengthened RC beams under the two different sustained loads. Specimens have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to reflect the most common RC beams used in school buildings.
        13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 복합소재 구조는 저중량, 고강도, 그리고 고강성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공학 분야에서의 적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고속 충돌 등의 극한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율이 높아 고성능 방재로 유용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층 구조 부재에 개구부 등이 존재하거나 개구부 주위에 층간분리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정적 또는 동적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경우에 따라 불안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좌굴과 같은 정적 불안정 해석은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으나, 주기 하중을 받는 적층 구조의 동적 불안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 및 제한을 개선한 동적 안정 또는 불안정 해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첫째,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복합신소재 구조를 해석하였다. 주기함수 형태의 면내 하중을 받는 정사각형판, 각도를 갖는 경사판, 개구부를 갖는 판, 그리고 곡률을 갖는 쉘 등으로 나누어 기하학적 형상 변화에 따른 동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였다. 두 번째로 층간분리 현상을 고려하였으며, 층간 분리의 정도에 따라 동적 안정성의 변화를 분석한다. 특히 섬유보강각도 변화에 따른 동적 안정 영역의 변화 경향을 추적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로 HSDT를 적용하여 해석의 정확성을 더욱 높이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매개변수를 동시에 적용하여 상호영향을 상세 분석하여 동적 거동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136.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nature, many small insects are using jumping as a survival strategy. Among them, fleas jump in a unique method. They use an elastomer, 'Resilin’, an extensor muscle and a trigger muscle. By contracting the extensor muscle, the elastic energy, that makes a flea to jump, is stored in the resilin. After storing energy, the trigger muscle begins contracting and pulling the extensor muscle. When the extensor muscle crosses the rotational joint, direction of torque generated from the extensor muscle reverses, ‘torque reversal mechanism’. Simultaneously,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resilin releases rapidly and is converted into the kinetic energy. It makes a flea to jump 150 times its body length. In this paper, miniaturized jumping robot using flea-inspired catapult mechanism is presented. This mechanism is based on the 4-bar linkage and the reversal joint and is actuated by Shape Memory Alloy (SMA) coiled springs describing the flea’s muscle. The robot prototype is fabricated by SCM process using glass fiber prepregs and a sheet of polyimide film. The prototype is 20mm link length, 34mm width and 2.0g weight and can jump 103cm.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