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2

        121.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rganic control method of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by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COY) through evaluating its acaricidal activity in laboratory and green house. In laborator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within the COY including soybean, canola (rape seed), sunflower and olive oil. The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increased from 17.6% to 94.1% as the COY became concentrated between 0.1% to 1%. The COY acricidal activity was effected by the quantity of treatment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s. The COY dealt with T. urticae eggs presented 95% of the ovicidal activity. In rose greenhouse damaged by T. urticae, the COY (0.3%) was sprayed three times and resulted in the high control value of mites between 69.0% to 89.6%.
        4,000원
        124.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different application of nematic ides (fosthiazate 5% G, ethoprophos 5% G, and diazinon 34% EC) for the control of Aphelenchoides fragariae in strawberry were evaluated in a greenhouse experiments. Mother strawberry (Fragaria grandiflora) cv. Yeohong were dipped in solution of nematicides (fosthiazate or ethoprophos at 2.5 g a.i./liter in 20℃ or 46℃) for 10 min. and planted in a greenhouse for dipping treatment. For the compare, mother strawberry were dipped in hot water for 10 min. without chemicals. For soil treatment, fosthiazate or ethoprophos at 3 ㎏ a.i./㏊ were mixed into soil. For foliar spray, diazinon at 3.4 g a.i./liter was sprayed at foliage until runoff. At 40, 80, and 100 days after planting, runners were harvested from each treatment and the rate of nematode infestation and the number of nematodes per plant were examined. After 100 days of planting, mother strawberry plants dipped in fosthiazate solution (2.5 g a.i./liter, 20℃) for 10 min. produced more number of healthy runners and reduced % of infected runner as much as 90% and also had fewer nematodes per runner. Fosthiazate was more effective than ethoprophos. Foliar application of diazinon was reduced A. fragariae populations only in early season. Hot water treatment and nematicide soil treatment were less effective.
        4,000원
        127.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morphous alloy strip was pulverized to get a flake-shaped powder after annealing at for 90 min and subsequently ground to obtain finer flake-shaped powder by using a ball mill. The powder was mixed with polyimide-based binder of , and then the mixture was cold compacted to make a toroidal powder core. After crystallization treatment for 1 hour at , the powder was transformed from amorphous to nanocrystalline with the grain size of . Soft magnetic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 core was optimized at with the insulating binder of 3wt%. As a result, the powder core showed the outstanding magnetic properties in terms of core loss and permeability, which were originated from the optimization of the grain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insulating binder.
        4,000원
        128.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lex pipiens complex larvae were found at the septic tanks in Susan and Ulsan cities located in South-ea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The larvae were collected in 25, 35 and 75 septic tanks out of 3,527, 622 and 1,111 septic tanks which the breeding rates were averages of 0.7%, 5.6% and 6.8% in Susan from January to May, 2003, Susan from February to March, 2004, and Ulsan from January to April, 2005,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s of the mosquitoes in the tanks were 38.8, 14.9 and 13.7 larvae/dip with a 355-㎖ dipper. The larval densities were from 25.4 larvae/dip in January to 43.7 larvae/dip in April. 2003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It was the first report to find mosquito breeding at septic tanks in Republic of Korea. Culex pipiens larvae were found in 6 out of 379 septic tanks at complex buildings (over 2,000㎡ in size) in Ulsan from June to September, 2005, having an average of 1.6% for mosquito breeding rate. The mosquito larvae were collected in 8 and 530 septic tanks out of 210 and 3,729 septic tanks at large (over 300 homes) and small apartments (below 300 homes) with 3.8% and 14.2% of the average breeding rates, respectively. At the septic tanks of private houses for below 50 persons, 708 out of 7,178 septic tanks had Cx. pipiens larvae and pupae with 9.9% of the average breeding rate. Total average of the mosquito breeding rate was 10.9% of the investigated septic tanks of residential buildings in Ulsan. The number of mosquito larvae in the septic tanks were 15 to 75 larvae/dip. The bent net sets of septic tanks prevented from mosquito breeding to the rate of 93.1 %.
        4,000원
        12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균 연령 10.8세인 비만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영양교육을 중심으로 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비만도와 BMI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지방 조직 분비 호르몬-resistin, adiponectin, leptin의 수준은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esistin과 leptin의 변화량은 BMI 변화량과 양의 관계를, adiponect의 변화량은 음의 관계를 나타내 체위와의 상관성을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만으로 이들 호르몬들과 체위변화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기에는 부족했다. 또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후 열량 외에 무기질과 비타민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감소하여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열량섭취는 줄이면서 미량 영양소의 섭취는 유지할 수 있게 올바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교적 단기간의 체중조절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것으로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영양교육의 내용을 수정하고, 체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며 좀 더 장기적인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수행한다면 아동 비만 치료에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비만과 체지방분비호르몬의 상관성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본다.
        4,000원
        13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지피복현황과 수림의 층위구조 등이 다양한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미기상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녹지내의 기온 및 습도를 관측하였다.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녹지내의 토지피복 현황과 그 비율, 녹적량과 기온 및 습도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고온역은 포장면과 나지 주변에서, 저온역은 수림지 및 수면 주변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수림(교목+소교목)으로 둘러싸인 수면, 소하천 주변에도 저온을
        4,000원
        13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tatistical process control applications, variable sample size (VSS) chart is often used to detect the assignable cause quickly. However, it is usually assumed that only one assignable cause results in the out-of-control in the process. In this paper,
        4,000원
        134.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시 일년생 잡초 제거를 위한 최적의 제초제조합을 선발하기 위하여 대조구(알라유제+씨마네수화제(T1)), 메토라크롤유제(T2), 치오벤카브+리누론유제(T3), 펜디유제(T4), 펜디+리누론유제(T5), 프로피소크로르유제(T6), 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T7), 프로피소크로르유제+니코설푸론액상수화제(T8), 무처리(T9)의 총 9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표고 800m)에서 2년간(2001∼2002) 수행
        4,000원
        135.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SS X 관리도는 이상원인에 의한 공정의 변동이 작은 경우에 통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효과적인 관리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상원인이 공정의 평균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경우 VSS X 관리도의 최적 샘플 크기 결정을 위한 경제적 모형을 제시한다.
        3,000원
        137.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양봉사 내부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환기팬 작동방식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진 환기팬 작동방식에 대한 연 구결과를 양봉사에 직접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양봉사 내부의 온도 및 습도변화에 대한 시율레이션과 실험결과를 비교 · 분석하여 양봉사 설계시 양봉사 열환경 해석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환기팬 작동방식별 양봉사 내부환경의 조절 성능을 분석하였다. 기 개발된 양봉사 열환경 해석 프로그램은 앞으로 양봉사 설계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외부기온이 비슷한 조건에서는 환기팬 작동방식 B의 경우가 A의 경우보다 양봉사의 내부온도가 대체로 더 낮았으며, 평균적으로 벌통 내부는 2.8℃, 양봉사 내부는 2.1℃ 더 낮았다. 이것은 Lee 등(1998b)이 제시한 환기팬 작동방식에 따라 양봉사 내부의 승온억제를 최고 2.8℃까지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뒷받침하는 실험결과이다. 환기팬 작동방식 A와 B 모두 꿀벌이 월동하기에 적합한 상대습도 범위 (50~75%) 였으나, 방식 B가 A 보다 양봉사 내부 습도의 최고 및 최저편차가 약 2%, 평균습도가 약 5% 적게 나타나 습도환경조절에 있어 좀 더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환기팬 작동방식 B는 A 에 비하여 양봉사 내부환경조절 성능이 더욱 우수하고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3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4종류의 탄소계 관형 세라믹막으포 제지공장의 방류수를 물로 주기적 역세척하면서 한외여과하였을 때, 물 역세척 주기와 막간압력차 (TMP), 유량의 영향과 최적운전조건을 규명하였다. 역세척 시간(BT)은 3초로 고정하였고, 역세척 주기(FT)는 여과시간을 15~60초로, TMP는 1.00~2.50kgf/cm2로, 유량은 0.25~1.75 L/min로 변화시켜 가면서 각각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적조건은 무차원 투과선속 (J/JO) 및 총 여과부피 (VT), 막오염에 의한 저항 (Rf)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최적 역세척 주기는 BT/FT=0.20로, 빈번한 역세척은 막오염을 감소시켰다. 한편, VT측면에서 최적 TMP는 1.00~1.55kgf/cm2로 TMP 증가는 막오염을 심화시켜 투과선속을 감소시켰으나, 유량 증가는 막오염을 감소시켜 투과선속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탄소계 세라믹 분리막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율은 탁도의 경우 88~98%로 높았으나, CODcr의 경우 48~72%, 총용존고형물 (TDS)의 경우 37~76%였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