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ganda is blessed with favorable agricultural conditions; annual average temperatures 18-28°C, rainfall 1,300-1,800mm, cultivation area 99,018Km2, and bountiful labor. Agriculture is the most important sector in the country and it contributes 22.4% to GDP, accounts for 40% of exports, and employs 65.6% of the total population. The major crops for dometic use are plantain banana, maize, and cassava and coffee, tea, tobacco, and cotton are mainly exported. Despite of these favorable natural conditions,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Uganda is relatively low. Yielding reaches 1/2 in maize, 1/3 in rice and peanut, 1/4 in sweet potato, and 1/6 in potato per hectare compared to Korea. However, according to research conducte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es, crop yields can possibly increase 2 to 10 times in many crops. Constrains of productivity are mostly due to poor seeds, inadequate pest & disease management, loss of soil fertility, lack of irrigation, improper post-harvest handling, and underdeveloped cultivation technology. To improve its production and productivity, which is the primary goal of Uganda's agricultural policy, appropriate budget allocation as planned and investment in R&D and extension are considered essential.
본 연구는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단감의 탈립성과 과품질을 조사 비교하였다. 해발 100~300 m에 위치한 유기재배 단감 과수원과 해발 70~250 m에 위치한 관행재배 단감 과수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재배품종은 ‘부유(Fuyu)’이며, 단감나무의 평균 수령은 19.8년으로 유기재배가 관행재배보다 평균 5년 적었다. 토양 양분관리는 관행재배의 경우 대부분 화학비료를 선호하는 편이었고, 유기재배의 경우 가축분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헤어리벳치나 호밀을 녹비로 재배하고 부족한 미량원소의 공급을 위해 해조추출물이나 발효산약초추출물 사용하였다. 해충 방제를 위해 관행재배의 경우 화학농약을 년간 14~16회 살포하였고, 유기재배의 경우는 Matrine, Prethrin, Azadirachtin, Rotenone, black pepperextract 등의 식물유래 추출물과 유아등이나 페르몬트랩을 사용하였다. 단감 탄저병이나 둥근무늬낙엽병을 방제하기 위해 5% 난황유와 식물추출물 혼합제나, 1% 석회유황합제 또는 1% 황토유황합제를 주로 사용하였다. 단감나무 가지로부터 단감의 탈립력은 조사 지역간의 차이는 있지만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 단감의 탈립력이 평균 34.0~145.7 N 높았다. 과경 두께는 지역적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 단감의 과경이 평균 0.76~1.08 mm 더 두꺼웠다. 단감의 과실 경도도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가 평균 2.9~5.1 N 더 높았다. 단감의 과중은 유기재배 단감의 과실무게가 관행재배 단감의 과실무게보다 평균 16.0~54.4g 더 많았다. 단감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진주지역을 제외하고 산청과 창원지역의 유기재배가 관행재배 보다 평균 1.4 Brix 높았다.
전남 영암지역에서 배 개화기간 동안 냉해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미세살수 처리 또는 온풍기를 수체로부터 5, 10,25, 40 m로 거리를 달리해서 3 m 지상부에서 설치하여 개화기간 중 3oC 미만으로 떨어진 야간부터 다음날 오전까지 12시간 동안 작동하여 냉해피해 경감효과를 구명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풍기와 미세살수 처리 결과 과원의 온도변화는 미세살수 처리에서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 온풍기 가동 지점으로부터 25 m 거리까지는 대조구에 비해 온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40 m 지점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2. 화서별 냉해피해율과 평균 착과수는 미세살수 처리에서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온풍기 처리에 따른 온도 변화와 유사한 경향으로 거리가 가까울수록 피해율은 낮고, 평균 착과수는 높았다.
3. 정형과 비율과 평균 착과 간격은 온풍기 가동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낮았으며 40m 지점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고추 유기재배지 토양 피복에 따른 곤충상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수행 되었다. 충남 홍성과 충북 단양의 6농가 14개 고추밭에서 총 4회 조사되었으며 시 험 처리구는 비닐피복, 종이피복, 볏짚피복, 초생재배이며, 각 처리는 고추 고랑에 3반복으로 처리되었다. 처리구 내에서 반복 당 3지점을 임의로 선정하여 동력 흡 충기(12V)를 이용하여 지상부에 존재하는 곤충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곤충은 현 미경하에서 동정되었으며, Primer 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종 다양도지수를 분석 하였다. 조사 결과 4회에 걸쳐 총 3064개체의 곤충 및 거미가 채집되었으며, 진딧 물이 포함되어 있는 매미목과 천적인 거미, 벌류가 주로 채집되었다. 조사 기간 동 안 처리구별 종풍부도지수(Magalef index)는 비닐피복처리구(1.69, 1.49, 2.86, 3.64)에 비교하여 초생재배(2.78, 2.58, 4.40), 볏짚피복(3.90, 4.63, 3.13, 3.23), 종 이피복처리구(3.36, 3.23, 3.23, 3.46)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성 지수(Shannon index)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채집된 곤충 중 천적군에 대한 해충군의 비율을 계산한 결과, 초생재배처리와 볏짚피복처리구와 같이 생물자원 을 피복한 경우 비닐 및 종이로 잡초를 완전히 제거한 농가에 비교하여 천적 대비 해충의 비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시험은 유기농 사과과원에서 생육초기인 5월과 6월에 ‘후지’ 사과나무 주위를 청결상태로 유지했을 때 잎과 토양의 무기성분 및 수체생장과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기예초구 (5월과 6월에 예초)는 관행예초구(6월말 한번 예초)보다 높은 예초량 발생으로 수체에 높은 무기성분을 공급하였지만 토양과 잎의 칼륨함량을 증가시킨 것 이외에는 다른 무기성분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하지만 엽내 칼륨은 관행재배에서 보고한 기준치보다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두 처리 모두 재배 중기까지 토양에 약 200 g 전후의 전질소를 공급하여서 8년생 사과나무가 요구로 하는 질소량을 충족시켰다. 조기예초구는 수체의 수관증가와 원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과실의 수량을 관행예초구 보다 증가시켰다.
Cultural characteristics Lecanicillium lecani Btab01 and its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were investigated. On potato dextrose agar, tryptic soy agar and SDA+Y media, mycelial growth of L. lecani Btab01 was best at 20~25℃ and suppressed above 28℃. Both solid culture and liquid culture of L. lecani Btab01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93.9 and 98.3% respectively, against nymph of tobacco whitefly,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ulture of L. lecani Btab01 was treated at the concentration of 10⁵, 10⁶, 10⁷ and 10⁸ cfu/ml, their insecticidal activity were 5.8%, 33.8%, 77.3% and 98.5% respectively, and LT<SUB>50</SUB> values were 16.1 days, 7.3 days, 5.1 days and 3.5 days respectively. When nymphs were treated by the cultures of L. lecani Btab01 and maintained under saturated condition for zero hour, 24 hours and 168 hours, their control activities were 0%, 20.3% and 100% respectively. Spore germination of L. lecani Btab01 was increased about two times by adding edible oil. When L. lecani Btab01 was treated to control nymph with 0.1% edible oil, it showed high control activity (98.6%) compared to single treatment of L. lecani Btab01 (79.9%).
유기농 토마토 시설재배에서는 다양한 해충이 대량 발생하지만 친환경적인 방 제 방법이 부족한 상황이다. 친환경농가에서는 병해충을 방제를 위해 다양한 자재 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불분명한 것이 많다. 토마토농가에서는 여러종류의 포살용 트랩과 해충의 유입을 막는 방충망도 널리 이용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실험에서는 40mesh /1inch 방충망와 유아등-흑설탕트랩을 이용한 거세미나방 방제효과와 한냉사와 방제용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가루이 방 제시험을 화천과 아산에 위치한 유기재배농가에서 수행하였다. 나방에 대한 트랩 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흑설탕에 비해 유아등이 나방 유인력이 훨씬 높았으며 트 랩과 방충망을 설치한 토마토온실에서 단 1개의 피해과만 나타나 68개의 피해과 가 난 동일규모의 근접 온실에 비교해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냉사와 방 제용트랩을 설치한 온실에서 재배 초기 가루이의 성충밀도는 16마리(/트랩)였고 무설치구에서는 약 45마리로 가루이의 초기 방제에 끈끈이 트랩의 방제효과 가능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냉사의 사용상 어려움으로 지적되는 온실 온도상 승을 억제하기위해 무동력환풍기를 하우스내에 설치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Bacillus thuringiensis(B.t.)는 해충방제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미생물제이며, 배추재배 농가현장에서 B. thuringiensis를 제형화한 미생물 살충제와 함께 배추 병 방제를 위하여 화학살균제를 사용하고 있다. B. thuringiensis의 미생물 살충제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들 농약과 B. thuringiensis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혼용 및 교호살포하기에 적절한 농약을 선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B. thuringiensis 살충제 7종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화학살균제는 배추에서 노균병과 무름병에 등록되어 있는 코퍼하이드록 사이드 수화제 등 12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추천농도의 화학농약을 첨가한 TSA배지에 대상미생물살충제를 도말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비교하였으며, 대상 미생물살충제 7종과 화학살균제를 각각 추천농도로 혼합하여 30분 shaking 한 후 배추 잎침지하여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력을 petri-dish에서 조사하였다. 7종의 B. thuringiensis 살충제는 화학농약을 함유한 배지에서의 B. thuringiensi의 콜로니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발리다마이신에이 수화제, 옥솔린산 수화제를 함유한 TSA배지에서 콜로니가 형성되지 않았다. 미생물 살충제와 화학살균제의 혼합액을 배추좀나방에 처리한 결과 5종의 B. thuringiensis 살충제(TB-WP, SC, SB, BG)는 12종의 화학살균제의 혼합에 따른 살충력에 차이가 없었으나, TB-SO와 플루오피콜라이드 ․ 프로파모카브하이드로 클로라이드 액상수화제, TH와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의 혼합액처리에서 배추좀나방의 살충력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유기농 토마토 시설재배에서 온실가루이가 대량 발생하지만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이 부족한 상황이다. 온실가루이 방제를 위하여 곰팡이(뷰베리아바시아나)를 원료로한 미생물 살충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효과적인 활용 기술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미생물 살충제의 현장 활용이 미미한 상태이다. 미생물 살충제로 사용되는 뷰베리아바시아나의 생육과 곤충에 대한 감염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는다. 상용화된 두 가지의 미생물제에서 원균주를 순수분리하여 PDA 배지에 15℃, 20℃, 25℃, 30℃, 35℃에서 배양하여 균사의 생장을 확인한 결과 25℃까지 생육속도가 증가했으나 이후 30℃부터 감소하여 35℃에서는 거의 성장을 하지 못했다. 온실가루이에 대한 미생물제(뷰베리아바시아나) 의 효과를 습도조건을 달리하여 검사한 결과 포화습도에서 100% 65.5%의 감염살충률을 보여주었던 두 제제가 60%의 상대습도에서는 10%미만의 감염 살충률을 보여주었다. 온도와 습도가 다른 온실가루이가 발생한 토마토 두 하우스에서 곰팡이성 미생물제의 효과를 비교하였을때 높은 습도와 30도 미만의 최고온도를 보인 온실에서는 미생물제가 온실가루이에 대해 81.4%의 감염률을 보였으나 낮은 습도와 높은 최고온도를 보인 온실에서는 감염된 온실가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국내에서 시판중인 친환경농자재(EFAM: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중 해충관리용으로 언급이 되어있는 제품 41종(IEFAM: Insect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을 선정하여 주 원료별로 나누어 페트리디쉬 및 포트 실험을 실시하였다. 친환경농자재에 대한 효과 검정을 하기 위해 주요 농업해충인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벼멸구(Nilaparvata lugens)를 대상으로 살포법, 침지법, 포트 살포법 등으로 그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엽충체 살포법에서 점박이응애에 대해 여러 농자재가 100%의 방제가를 보이는 등 많은 농자재가 비교적 높은 살비효과를 나타냈으나 유묘검정에서는 낮은 살비효과를 보였는데 대부분의 농자재가 알에 대한 살란효과가 낮기 때문으로 추측되며 야외에서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배추좀나방 또한 살충력이 높은 자재는 있었으나 알에 대한 살충력은 대부분 없었다. 벼멸구와 복숭아혹진딧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방제효과를 보이는 자재가 적었다. 모든 해충에서 살충율이 60%미만인 친환경농자재가 절반을 넘었다. 재료별로는 고삼, 님, 유채 등을 주 재료로 하는 제품에서 높은 방제효과가 나타났다. 무작위로 수집한 70가지 친환경농자재 중 일부가 살충효과를 보이나 해충에 대한 방제가는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rganic control method of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by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COY) through evaluating its acaricidal activity in laboratory and green house. In laborator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within the COY including soybean, canola (rape seed), sunflower and olive oil. The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increased from 17.6% to 94.1% as the COY became concentrated between 0.1% to 1%. The COY acricidal activity was effected by the quantity of treatment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s. The COY dealt with T. urticae eggs presented 95% of the ovicidal activity. In rose greenhouse damaged by T. urticae, the COY (0.3%) was sprayed three times and resulted in the high control value of mites between 69.0% to 89.6%.
Insecticidal activity of 20 plant species against adults of Myzus persicae, female adults of Tetranychus urticae, and 2<SUP>nd</SUP> or 3<SUP>rd</SUP> instar larvae of Plutella xylostella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irteen plant extracts showed over 80% acaricidal activity to T. urticae at the concentration of 1%, while Capsicum annuum (hot-pepper seed), Inula helenium, and Acorus calamus revealed 82.8-86.2% acaricidal activities at 0.5%. Insecticidal activities of the plant extracts to M. persicae and P. xylostella were relatively low compare to the mite. Among the plant extracts, C. anuum and Brassica juncea revealed 48.6% and 42.9% respectively insecticidal activities to the aphid at the concentration of 0.5%. Extracts of C. anuum and Jeffersonia dubia provided 55% and 50%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P. xylostella at 1%. And, the highest antifeeding activity of the insect was observed in the J. dubia extract as 79.4%. Results indicated that some plant extracts including hot pepper seed could be used as potential botanical pesticides for organic farming.
Among various food base baiting materials, beer and macerated cucumber were the most effective to induce slug that is a troublesome pest on leafy vegetables, especially on lettuce. However, the baits attracted only but did not kill the pest. When the baits were combined with various insecticidal organic materials, a few combinations such as beer and cigarette mixture successfully induced and killed the slug in the field test.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of beer 50 ㎖ and a cigarette contained in a small plastic box killed 25 slugs per night. While macerated cucumber 50 ㎖ and a cigarette mixture killed only 4.3 slugs. The bait of beer and cigarette mixture revealed 68.4% control value against slug damage when treated for 3 consecutive days in a lettuce cultivation greenhouse. The bait also effectively reduced the slug damage in a lettuce nursery showing 58.3% control value. The method seemed highly useful for the control of slug in the organic farming system in which application of pesticides are strictly prohib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s and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The soybean sprout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ngth (more than 43.0%), the thickness (more than 0.5~0.7 mm), fresh weight (more than 2.9~3.7 g)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in vitro. In organic soybean sprouts farm, the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applied to mass culture of soybean sprout and the fresh weight of soybean sprouts increased by more than 25% and the yield was very high as 598.33%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of sensory test, there is no fishy odor and better crunchy texture and nutty flavor for the treatment soybean sprouts compared to untreated soybean sprouts. Particularly,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of the soybean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26.1% and 40.4%, respectively by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nsequently, the treatment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to grow soybean sprouts is also promoting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promoting the growth of sprouts. Therefore, chlorella is considered to be worth as functional materials for high-quality sprouts grow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of organic rye to provide dairy farmers with safe organic feeds. Also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optimal applying level of cattle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amount of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verage 760~786 kg/ha) than in the single-sowing of rye (average 353 kg/ha) (p<0.05).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s and the single-sowing of rye tended to improve by increasing the level of nitrous fertilization rather than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e amount of crude protein on the rye according to the mixed-sowing of legu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ture (average 8.29~9.90%) than in the single (average 4.93%) (p<0.05). The comparison by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for the rye in 50 kg N/ha than in fertilization treatments (p<0.05).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mount in the single-sowing of rye was average 46.86% and has lower than average 49.96~50.12% of the mixed-sowing of legume, and especially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 was the highest with 54.55% in 150 kg N/ha for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p<0.05). The breeding ability of annual organic livestocks per unit area according to the feed value of rye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ability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3.72~4.12 heads) than the single-sowing of rye (average 2.26 heads) (p<0.05). By summarizing above results, the mixed-sowing of legume is requir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the feed value of rye for increasing organic livestock breeding ability in southern area of Gyeongbuk regions, and the study for identifying the appropriate fertiliza-tion level using livestock excretions is further necessary.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생하는 콩 불마름병은 콩을 재배하는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저항성품종, 파종시기, 작부체계에 대한 효과를 포장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0여 품종을 자연 감염된 포장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푸른콩 등 14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30여 품종이 병반면적률 3% 이하의 중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태광콩을 5월 25일, 6월 5일, 6월 15일, 6월 25일 등 10일 간격으로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병반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23.3%-25.7%, 14.7%-18.0%, 10.7%-12.8%, 1.0%-2.7%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불마름병 발생이 가장 낮은 처리구는 6월 25일 파종구였으며, 발생이 가장 심한 처리구는 5월 25일 처리구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불마름병 발생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5개의 콩-동계작물 작부체계의 토양을 채집하여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존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작부체계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콩-보리 작부체계와 콩-마늘 작부체계의 병원균 밀도가 다른 작부체계보다 생존밀도가 낮았다. 더욱이 두 개의 작부체계는 콩 불마름병 발생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기농업에서 생물자원으로서 담수 클로렐라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유기농 생태계로부터 담수 녹조류를 분리, 동정하고, 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의 수온은 12.4~28.2℃, pH는 6.1~8.5이었다. 담수 녹조류를 분리할 때 고체배양법이 액체배양법보다 오염도가 낮고 분리 빈도가 높았다. 전국 9개 지역, 6개 담수 녹조류 서식처로부터 총 115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담수 녹조류의 분리 및 배양을 위해 질소원으로는 NaNO3과 KNO3, 탄소원으로 Na2CO3를 사용하였고, macro media의 구성 성분 중 MgSO4 · 7H2O과 CaCl2 · 2H2O를 분리하여 제조한 BGMM(BG11 Modified Medium)배지를 고안하였다. 담수녹조류는 배양 후 4일째부터 급격히 흡광도가 증가하였고 8일째부터 흡광도가 감소하였다. 공시한 7개의 균주 중 CHK008 균주가 배양 7일째에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담수 녹조류 배양에 적합한 BGMM 배지의 pH는 6~7이었고 조사되는 빛이 강할수록 생육이 증가하였으며 5종류 당류 중에서 Glucose와 Galactose를 첨가하였을 때 클로랄라의 생육이 좋았다. 순수 분리한 16개 녹조류 균주의 균총색은 녹색, 진녹색, 연녹색을 나타내었고, 11개의 균주가 형광현미경하에서 강한 형광 빛을 나타내었다. 녹조류 16개 균주의 형태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C. vulgalis, C. sorokiniana, C. pyrenoidosa, C. kessleri, C. emersonii, and Chlamydomonas sp.의 2개 속 6개종으로 동정되었다. 담수 녹조류의 세포 크기는 종마다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담수 녹조류의 세포형태는 구형이었다. Chlamydomonas sp.는 타원형이었고 Chlorella sorokiniana는 구형과 타원형이 섞여 있었다. 6개 녹조류 종류 중 Chlamydomonas sp.를 제외한 모든 균주는 편모가 없었다. Chlamydomonas sp. 1개 균주와 C. sorokiniana 5개 균주는 세포에서 점질물을 분비하였다.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COY) was applied to control the powdery mildew of sweet persimmon at the research field of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rom 2010 to 2011. COY was sprayed three times with 10 days interval on foliar parts of sweet persimmon and the disease development was monitored after 5 days of final spray. Diseased leaf area rate was 13.4% and the control efficacy of COY against powdery mildew was 80.5%. Disease rate was 68.6% on negative control.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powdery mildew fungus on the leaf surface were observed. On COY-treated leaves, fungal mycellia were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a loss in cell volume, shriveling, plasma membrane rupture, and subsequent loss of intracellular contents. It may due to the destruction of fungal cell wall or membrane structu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oleic acid for the management of greenhouse whiteflies and tobacco whiteflies. Tobacco whiteflies, especially, are the vectors of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on tomato plants. Whiteflies are not only the vectors of various viruses but also the major insect pests that cause direct damages through sucking and induce sooty mold with their sweet dew on tomato plants. There are many eco-friendly management measures including the use of yellow sticky trap and natural enemies such as Eretmocerus eremicus and Amblyseius swirskii. However, these management measures have difficulties to implement in the greenhouse. Therefore, in this research, oleic acid was tested for its effect on the management of whiteflies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1,000ppm, 2,000ppm, or 4,000ppm. As a result, treatments of 1,000ppm, 2,000ppm and 4,000ppm oleic acid showed the control value of 70%, 76% and 84%, respectively. In another test, treatments of 2,000ppm oleic acid, and control treatment of 1,5000ppm neem oil and 50ppm dinotefuran showed the control value of 82%, 75%, and 75%, respectively. Cost for one application of oleic acid and neem oil for 10a area would be 3,180 Won and 20,150 Won,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assumed that the use of oleic acid would be a appropriate management mea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