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

        121.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혹파리 방제는 포스팜 50% 액제를 수간 주입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나 약제처리가 농작업이 많은 시기임으로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한 실제 방제에 문제점이 있어 항고기를 이용한 약제방제가 필요하여 저독성 약제인 곤충발육저해제 중 Buprofezin 40% 액상 수화제가 선발되었고 10배, 30배, 50배로 희석하여 ULV로 살포한 결과 각각 72.4%, 57.6%, 8.4%의 방제효과를 얻어 항공방제용 약제 선발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122.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좀나방의 독성시험방법 비교와 지역별 계통의 약제저항성 수준을 조사한 결과, 약제저항성 수준결정을 위한 다섯가지 독성시험 방법비교에서 leaf disc법의 CV가 11.4%로 정밀도가 높았으며 간편하고 처리가 용이한 방법이었다. Topical application법의 CV는 8.0%로 가장 정밀하고 반복성이 높았으나 시간을 요하고 시험조작이 불편한 점이 결점이었으며, insect-direct dipping법(CV=14.9%), leaf disc+insect spray법(CV=17.4%) 및 pot spray법(CV=21.4%)은 비교적 변이계수가 큰 편이었다. 배추좀나방의 지역별 계통에 대하여 topical application법에 의한 약제저항성수준은 치로 감수성계통과 비교한 결과 공주, 김해, 제주 및 인제계통에 대하여 prothifos는 각각 61.1, 5.6, 5.4, 및 3.3배이고, cartap은 33.3, 12.8, 12.3 및 10.5배이며, cypermethrin은 141.7, 37.2, 32.5, 및 7.5배이며, Bacillus thringiensis에 대해 leaf disc법으로 조사한 저항성 수준은 광주, 김해, 제주 및 인제계통에 대하여 8.1, 2.7, 2.3 및 1.9배의 저항성으로 지역이나 약제에 따라 다른 수준의 살충제저항성을 나타냈다
        4,000원
        123.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용약제를 공시하여 1983년부터 4년에 걸쳐 포장에서의 약효와 실내에서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마라치온을 포함한 7종의 살충제의 방제가가 현저히 낮았다. 또한 포장에서 계절별로 발생한 개체군에 대한 각 약제의 감수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약제에 따라 1~167배의 약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3,000원
        124.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규 살충성화합물의 개발을 위한 생물검정법 확립의 일환으로 수종의 곤충을 이용하여 침지시간, 약제처리 방법, 공시충의 종간 및 발육태에 따른 살충제의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침지시간, 처리방법, 공시충의 종간 및 발육태에 따라 살충력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는데, 침지시간은 엽침지법에서 약 30~60초 침지처리에서 효과가 좋았으며 60초 이상 침지처리에서는 식물체의 내용물이 용출되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처리방법은 콩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 무시암컷,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3령유충은 엽침지법, 벼멸구 3령약충 또는 성충과 벼유묘 동시분무법, 점박이응애는 엽침지법 또는 분무법이 효과적인 처리방법이었다. 키틴합성저해제의 검정은 벼멸구의 경우 3령약충,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3령유충, 진딧물류 3령약충 및 점박이응애 유충을 약제가 분무처리된 유묘에 접종하여 검정하는 방법이 적합하였다.
        4,000원
        125.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신규 설충성물질 개발의 전제조건이 되는 용매의 선택을 위하여, 아세톤의 9종의 유기용매를 수종의 곤충에 대한 독성과 식이식물 및 화합물의 용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엽침지법과 분무법으로 평가하였다. 각종 용매의 공시충에 대한 치사독성과 용매의 이화학적인 성질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보이지는 않았으나, 분무법 처리시 벼멸구의 경우 밀도가 높을수록, 배추좀나방의 경우에는 증기압이 낮을수록 공시충에 대한 치사독성이 높았으나, 비등점, 쌍극자모멘트, 유전율, 표면장력, 점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분무처리가 엽침지법보다 더 높은 치사독성을 나타내었다. 약해와 용매의 이화학적 성상 역시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침지법의 경우 수도에 있어서 유전율이 낮을수록 약해가 심하였으며, 분무법 처리시에는 쌍극자 모멘트가 높을수록 약해가 심하였으나 기타의 이화학적 성상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엽침지처리가 분무처리에 비하여 강한 약해를 유발하였다. 합성 화합물과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은 아세톤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여 생물검정시 5% 아세톤수용액이 다량의 화합물을 검정하는데 적합하였다.
        4,000원
        126.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규화합물의 in Vitro AChE 저해력을 평가하기 위한 저해시험법의 확립을 목적으로 실험을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EXI50/TEX 산출이 가능한 고정시간 저해시험(fixed time inhibition test)의 경우, DFP, DDVP 및 paraoxon과 같은 대표적 AChE 저해제의 저해력 평가에 적당한 저해시간은 10분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10분간의 저해조건하에서 ester group을 보유한 신규화합물의 저해여부 및 정도의 평가에 효과적인 시험농도는 10M 수준으로 판정되었으나 다른 화합물의 경우에는 보다 높은 농도로부터 단계적 저해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TEXKd/TEX, TEXk3/TEX 및 TEXki/TEX와 같은 저해상수의 산출을 위한 경시적 저해시험(Progressive inhibition test)에 있어서, 본 실험의 장시간 저해(0.8~13.3분)와 낮은 저해제농도(1TEX10-9/TEX~2TEX10-6/TEXM)의 조건하에서는 극히 낮은 TEXKd/TEX(1.3TEX10-8/TEX~5.6TEX10-7/TEXM) 및 TEXK3/TEX(0.21~TEX0.27min-1/TEX)가 관찰되었으나 저해제간의 저해독성 조사에는 충분한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DFP, paraoxon 및 신규화합물인 KH501간의 현격한 저해력 차이는 TEXKd/TEX의 차이 즉, 저해제와 AChE간의 친화력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AntiChE 스크리닝에 있어서 1차단계에서는 고정시간 저해법을 통하여 산출된 TEXI50/TEX를 바탕으로 하여 저해력 유무 및 정도를 파악하고, 1차단계에서 고도의 AChE 저해력이 인정된 신규 화합물을 대상으로 2차단계인 경시적 저해법을 이용하여 저해양상 및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합리적인 체계일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4,200원
        127.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white carbon 제제, molasses 제제 및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등 3종의 바이러스살충제로 만들어 제제의 살포방법, 살포효과 및 잔류효과를 폿트 및 콩포장에서 살충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채 살포는 콩잎 표면 살포시 약 5일, 이변 살포시 약 12일까지 60% 이상의 살충효과가 지속되었다. 폿트식재 콩잎을 이용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molasses 제제와 with carbon 제제에서 모두 97%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으나 molasses성분을 포함한 제제는 햇빛에 의해 일부 콩잎에 약해를 보였다. 바이러스살충제 살포 1 시간 후 빗물 처리에 의한 영향은 빗물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이 9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다. 야외 콩 포장에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3종의 제제 모두 90%이상의 살충율이었 며, 유기합성농약보다 7일 늦게 효과가 나타난 반면 2주 이상 효과가 지속되었다.
        4,000원
        128.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에 섭식촉진물질, 다각체 침전방지제 및 전착물질과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여 만든 3종의 바이러스 살충제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먹여 제제별로 살충 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제에 설탕농도 1-5% 첨가로 섭식촉진이 증대되어 살충효과가 높았으며, 바이러스의 불활화 차단효과도 있었다. 살충제 제형에 따른 바이러스 침전방지는 polyvinylalcohoI 0.5%, 식물체 전착성은 Triton X -100 0.1 %에서 효과가 좋았다. 자외선차단제의 양은 white carbon은 100 L 당 800 g, molasses는 30%첨가에서 바이러스의 불활화가 감소되었으며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는 white carbon 500 g, molasses 10%의 비율에서는 살충효과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세 제제 모두 살포 3일후 95%이상의 살충율을 보였다. White carbon 체제는 molasses 제제보다 다각체 포매가 뚜렷하여 잔류효과가 증대되었으나 유충의 섭식은 molasses제제에서 촉진되었다.
        4,000원
        129.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살충제의 체계적 처리에 의한 벼멸구 개체군밀도억제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실내와 폿트에서 buprofezin과 isoprothiolane의 벼멸구 밀도억제에 관한 몇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두 약제 모두 처리농도에서 약충의 발육기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uprofezin을 약충에 처리했을 경우 그로부터 우화한 성충의 수명이 짧아졌으며, 그 효과는 유영약충에 처리했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폿트에서 buprofezin 2G의 약효지속기간은 약 30일 정도였으며 그의 밀도억제효과는 유영약충의 대다수인 개체군에 처리했을 때 개체군밀도변동상황에 있어서 낮은 밀도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Isoprothiolane 12G의 개체군밀도억제효과는 약처리당시의 유영약충 비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바, buprofezin의 7월중 처리는 개체군년영분포가 유영약충으로 편중되도록 유도하여 목벼열병방제시 처리하는 isoprothiolane의 벼멸구방제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30.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종류(種類)의 살충제(殺蟲劑)(monocrotophos, diazinon(유기인계(有機燐系)), carbofuran, BPMC(carbamates계(系)) 중 두 약제(藥劑)를 택하여 1대 1 비율로 섞은 6가지 혼합제(混合劑) 조합(組合)들에 대한 협력작용(協力作用)을 보이는 조합(組合)을 발견하기 위하여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끝동매미충(Nephotettix virescens)을 공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벼멸구에 대하여는 carbofuran과 diazinon 조합(組合) 및 BPMC와 carbofuran 조합(組合)이 협력작용계수(協力作用係數) 200정도로 효과적이었다. 2. 끝동매미충(N. virescens)에 대하여는 diazinon과 monocrotophos 조합(組合)이 협력작용(協力作用) 계수(係數) 234로 효과적이었다. 3. 여타의 조합(組合)들은 독립용작(獨立用作)내지 부가작용을 보였다.
        4,000원
        131.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종(種) 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콩진딧물)에 대(對)한 acephate가 9종(種)의 살충제(殺蟲劑)를 공시(供試)하여 살충제(殺蟲劑)의 종류(種類)와 처리방법(處理方法) 그리고 종간(種間)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3종(種) 진딧물은 살충제(殺蟲劑) 종류(種類)와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2) 처리방법간(處理方法間) 비교(比較)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은 대체로 엽침지법(葉浸漬法)보다 분무법(噴霧法)에서 감수성(感受性)이 높았으나 목화진딧물과 콩진딧물은 살충제(殺蟲劑)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특(特)히 목화진딧물은 phenthoate+dimethoate에서, 콩진딧물은 penvalerate에서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보였다. 3) 진딧물 종간(種間)에서도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는데, 콩진딧물이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에 비(比)하여 감수성(感受性)이 높았다. 특(特)히 pirimicarb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 콩진딧물보다 목화진딧물에서 감수성(感受性)이 크게 저하(抵下)되었다. 4) 3종(種) 진딧물 중(中) 살충제(殺蟲劑) 스크리닝에서는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콩진딧물의 선택(選擇)이 바람직스러우며 진딧물 감정방법(檢定方法)에서는 엽침지법(葉浸漬法)과 분무법(噴霧法) 중(中) 처리(處理)가 용이(容易)하고, 변이(變異)가 적은 결과(結果)를 얻을 수 있는 엽침지법(葉浸漬法)의 선택(選擇)을 추천(推薦)한다.性)이 강(强)하여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약(弱)한 경향(傾向)(40%)이었으나, 고추(AG 1), 고추(AG 2-1), 수도(AG 1)에서 분리(分離)된 균주(菌株)에 대해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각각(各各) 70% 정도의 발병(發病)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레만개미(Formica lemani), 및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 등 8종(種)만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한국홍가슴개미(Camponotus trox)의 수직적분포범위(垂直的分布範圍)는 였다.다. 그 이후에는 더 이상의 후지운동기능의 회복은 볼 수 없었다. Dextrorphan 투여는 이러한 후지운동회복기능 뿐 아니라 조직손상의 크기에도 전혀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NMDA 수용체는 외상성 척추손상 후 일어나는 2차 손상과정에 관여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이었다.혈압(原血壓)으로 회복(回復)되었고, 이때 내압(內壓)을 상승(上昇)시키면 대조군(對照郡)에서와 같은 내압상승(內壓上昇)에 따른 혈압상승(血壓上昇)이 나타났다. 6) 본실험(本實驗) 성적(成績)은 가토(家兎)에서 antagonist가 뇌(腦)에 존재(存在)할 때는 두개뇌압상승(頭蓋腦壓上昇)에 따른 혈압상승(血壓上昇)이 촉진(促進)되고 또한 에 의한 두개뇌압상승(頭蓋腦壓上昇)에 따른 혈압상승(血壓上昇)의 억제(抑制)가 나타나지 않음을 가리키고 있다.해 운동후(運動後) 계속(繼續) 유의(有意)하게 높았고, Rv
        4,000원
        132.
        198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의 초기(初期) 발생해충군(發生害蟲群)의 방제(防除)를 위(爲)하여 쓰이고 있는 몇가지 침투성(浸透性) 살충제(殺蟲劑)의 초기(初期) 비래(飛來) 벼멸구에 대(對)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carbofuran(3G)과 disyston(3G)를 이앙직전(移秧直前)(5월(月) 27일(日)) 토중혼입(土中混入)과 수면시용(水面施用)하였고, omethoate 50% EC는 이앙(移秧) 6일후(日後)에 엽면산포(葉面散布)한 다음 6월(月) 11일(日), 21일(日), 7월(月) 2일(日), 11일(日), 25일(6月 11日, 21日, 7月 2日, 11日, 25에 pot당(當) 벼멸구를를 10쌍식(雙式) 접종(接種)하고 10일후(日後)부터 벼멸구의 밀도(密度)를 조사(調査)하였다. 최종밀도(最終密度)를 기준(基準)으로 생각할 때 산포후(散布後) 약(約) 10일경(日頃)까지는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엽효(葉效)가 인정(認定)되었으나 그 이후(以後)에는 carbofuran 처리구(處理區) 이외(以外)에서는 효과(效果)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carbofuran처리구(處理區)에서는 수면시용(水面施用)에 비(比)하여 토중혼입구(土中混入區)에서 약효지속기간(藥效持續期間)이 약(約) 일간(日間) 지속(持續)되어 6월중순(月中旬)하순(下旬)까지 비래(飛來)하는 벼멸구에 대(對)한 밀도억제효과(密度抑制效果)를 기대(期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3,000원
        133.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에 대(對)한 살충제(殺蟲劑)의 감수성(感受性)의 지역적(地域的) 차이(差異) 및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정도(程度)를 검토(檢討)키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살충제(殺蟲劑)에 대(對)한 복숭아혹진딧물의 감수성(感受性)은 채집지역(採集地域)파 살충제(殺蟲劑)의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pyrethroid계(系) 살충제(殺蟲劑)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는 지역(地域)에 따라 약간의 차이(差異)는 있었으나 거의 모든 지역(地域)에서 비교적(比較的) 높은 저항성비(抵抗性比)를 나타내었고 formothion, monocrotophos, phosphamidon 등은 지역(地域)에 따라 저항성비(抵抗性比)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그 밖의 살충제(殺蟲劑)들의 저항비(抵抗比)는 낮았다. 3. 저항성비(抵抗性比) 범위(範圍)는 cypermethrin에서 배(倍), decamethrin에서 배(倍), fenvalerate에서 배(倍), formothion에서 배(倍) phosphamidon에서 배(倍), monocrotophos에서 배(倍) phenthoate+dimethoate에서 배(倍)이었고 그밖에 살충제(殺蟲劑)들에서는 저항성비(抵抗性比)가 훨씬 낮았다. 4. 지역(地域)에 관계없이 저항성비(抵抗性比)가 낮아 별(別) 문제(問題)가 없다고 본 살충제(殺蟲劑)는 acephate, permathion, oxydemeton-methyl, phenthoate+dimethoate, pirimicarb, thiometon, heptanophos 등이었다. 5.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 분류(分類)에 따라 저항성발달(抵抗性發達)로 지역별(地域別) 문제(問題)가 되고 있는 살충제(殺蟲劑)는 서울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ormothion, phosphamidon, 수원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ormothion, phosphamidon, 포천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phosphamidon, 가평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phosphamidon, 평택계통에서는 cypermethrin, monocrotophos, 이천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formothion, heptanophos, 청주계통에서는 decamethrin, formothion, 미원계통에서는 cypermethrin, fenvalerate, 대전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전주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1ie, formothion, phenthoate+dimethoate, phosphamidon, 무안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heptanophos, phosphamidon, 경산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formothion, heptanophos, phosphamidon, 진주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phenthoate+dimethoate 등이 있다.
        4,000원
        134.
        198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몇가지 수도용 살충제를 공시하여 아치사약량 수집(과 )을 처리하였을 때 차세대 벼멸구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1. 농약원제의 과 수집의 약량을 처리하였을 때 공시약제 모두 무처리밀도보다 낮았고 보다 수집에서 밀도증식이 높았으며 Diazinon 처리에서 밀도증식이 비교적 높았다. 2. 제품농약의 유천약량을 벼멸구 자성충과 약충에 처리한 다음 1세대후 벼멸구의 약충기간은 약간 지연되는 경향이었으나 우화율은 약제처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이나 자성충의 수명은 약제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산란수는 무처리에 비하여 Diazinon 처리에서 오히려 높았다. 3. 제품농약의 유천약량을 처리한 후 밀도변동을 조사한 결과 처리 약 38일까지는 무처리에 비하여 낮은 밀도를 보였으나 54일후 Diazinon 처리에서는 오히려 벼멸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35.
        198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 해충과 거미에 대한 반치사약량및 상대독성 조사 (1) BPMC와 MIPC는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치가 각각 으로 비교적 높은 선택독성을 보였다. (2) 이화명충과 황산적거미에서는 thiocyclam, chlorpyrifos-methyl이 각각 727, 14의 상대독성치를 보였으며 벼밤나방에서는 thiocyclam이 189.3으로 선택독성이 높았다. (3) 끝동매미충과 황산적거미에 대해서도 BPMC의 상대독성치가 8.2로 양호하였다. 나. 약제형성 및 처리회구가 해충 및 천적밀도에 미치는 영향(폿트시험) (1) 이화명충 방제약제중 cartap이 이화명충 방제효과도 높고, 거미밀도도 높았으며, 제형간에서는 유제가 분제보다 거미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2) MIPC 처리구에서 끝동매미충 방제효과가 높고 거미 밀도에 미치는 영향도 적었다. (3) pyridaphenthion 1회 처리구가 2회 처리구에 비하여 거미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나 혹명나방 방제효과는 비슷하였다.
        4,000원
        136.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pid increase in cases of insect resistance to insecticides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present chemical control practices inevitably leads to exhaustion of available insecticide resources against key insect species. Now the problem of insecticide resistance exists worldwide among insects and mites affecting field crops and animals including human beings, ranging from minimal or absent in some developing countries, where use of insecticides has been low, to extremely severe in many developed countries. Since the occurrence of insect resistance to insecticides was firstly recognized in 1908, the increase in recent decades has been almost linear and now the number of species of insects and acarines in which resistant strains have evolved have been increased to a total of 432. Of these, are agricultural importance and of medical/veterinary importance. The phenomenon of insecticide resistance is asserting itself as the greatest challenge to effective chemical control of many important insect pests. Resistance of insects to insecticides has a history of nearly 80 years, but its greatest increase and its strongest impact have occurred during the last 40 years following the discovery and extensive use of synthetic organic insecticides and acaricides. The impact of resistance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in terms of greater cost of pest control due to increased dosages and number of applications but also in terms of the ecological disruption of pest-beneficial species density relationships, the loss of investm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insecticides concerned, and socio-economic disruption in agricultural communities. Despite its grave economic consequences, the phenomenon of insecticide resistance has received surprisingly little attention in Korea. Since the study of insecticides started firstly in 1963, many entomologists have been concerned with this study. According to their results, some of the rice pests and some of the mites on orchard trees, for example, have developed worrisome level of resistance in several areas of this peninsula. With many arthropods, considerable advanc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made in the study of the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of resistance. Progress involves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ecific defense mechanisms, their genetics, interactions, and thei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ribution to resistance. But their studies arc still inadequately known and relatively little have been contributed in terms of unique schemes of population management in achieving satisfactory pest control. It is apparent that there is no easy solution to resistance as a general phenomenon. For future challenging to effective control of insect pests which are resistant to the insecticides concerned, new insecticide groups with distinctly novel mode of action are urgently needed. It is clear, however, that a great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which govern the intensity of selection of field population for resistance could lead to far more permanently successive use of chemicals within the framework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than heretofore practiced.
        4,000원
        137.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Omethoate (Folimat) 외 6종의 침투성 살충제를 공시하여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는 한편 관행 Drilltlr 수간주입방법을 보다 성력적인 방향으로 개량코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osalone을 제외한 Omethoate , Vamidothion (Kilval 40 EC), Methamidophos , Phosphamidon , Monocrotophos 및 Dimethoate 의 수간주입은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다. 2. 관행 Drill 식 수간주입과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간에는 그 효과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3. 관행 Drill식 수간주입에서 주입공의 상처회복율은 인데 비하여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에서는 완전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량 Mauget식을 도입하므로서 보다 성력적인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다고 본다.
        3,000원
        138.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 Carbofuran, Disulfoton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인데 비하여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이었고 처리에서는 각각 이었으며 처리에서는 각각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과 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000원
        139.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V기에 의한 살충제의 농도(50배희석)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 시험은 1980년도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의왕읍 일대, 10년생미만 적송림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살충제 Salithion(25 EC), Decamethrin, Phenthoate, Diazinon(34 EC), Chlorfevinphos, Phosalone 및 Methamidophes를 50배로 희석, 1구 10주당 500ml씩 6월 6일에 건전시용 ULV기(12v, Union Carbide 제)로 일동 엽면처리하였다. 충영엽율은 무처리 에 비하여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에서 각각 로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순으로 방제효과가 낮았다.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의 방제 70 이상을 보였으나 그 밖에 살충제들은 비교적이다. 고농도 엽면살포에 의한 솔잎혹파리방제용 살충제 Salithion을 대체할 저독성살충제는 Decamthrin Phenothoate라고 사료된다.
        3,000원
        140.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maticidal effects of the insecticides, Mocap(O-Ethyl-S, S-dipropyl phosphorodithioate), Carbofuran(2,3-Dihydro-2,2-dimethyl benzofuranyl ethyl carbamate), Terbufos (S-tert-buthylthio methyl O,O-diethyl phosphordithioate) and their mixtures (Mocap+carbofuran, Mocap+Terbufos, Carbofuran+Terbufos) on growth of 2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the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There was no evidence of plant injury from insecticide treatment of ginseng, although the rate of emergence of the treated ginseng was slightly inhibited. The insecticide treatments showed no of-flavor of ginseng plant. Terbufos and Mocap provided heifer confrol of the root-knot nematodes than carbofuran alone and their mixtures. Mixtures of the insecticides showed antagonisitic effect to the root-knot nematodes.
        4,0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