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4

        121.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자는 현대 청소년 사역이 현재 다양하게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는 청소년들이 교회를 계속해서 이탈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를 파악하였다. 이것은 그간의 기독교 교육학적이며 기독론 중심의 청소년 사역의 한계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교육학적이며 기독론적인 사역에서 벗어나 선교학적이며 성령론적인 청소년사역으로 청소년사역의 틀을 전환을 해야 하는 시기에 와있다. 이렇게 청소년 사역을 선교로 전환하며 성령론적으로 나아가기 위해 각각의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바로 남정우의 “미전도세대(Unreached Generation) 선교”1)와 바로 아모스 용(Amos Yong)의 성령론적 선교신학이다. 결국 이러한 용의 성령론적 선교신학을 통한 청소년 사역은 복음선포와 선한 사역 그리고 영적인 방법으로의 전도와 양육이 이루어져서 새로운 청소년 선교에 시대를 가져올 것이다.
        8,600원
        12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교적 공동체’는 세상에 널려있는 공동체의 일반적인 표지는 아니다. 이 공동체는 기독교라는 독특한 본질을 포함하면서 세상에 하나님 나라를 드러내는 고유의 존재감을 가진다. 이곳에 있는 성도들은 자신들이 속한 교회 안 밖의 다양한 조직에서 나름대로 선교적 그리스도인으로 변화하려는 노력을 한다. 그들은 교회가 구원의 공동체임을 알리는 역할, 진정한 이웃이 되는 실천, 그리고 관찰자의 위치에서 선교적 조언자 역할을 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위에서 주장한 선교적 공동체 구성원의 세 가지 역할에 요더의 선교 이론 중 부합하는 일부분을 반영했다. 첫 번째로 산상수훈을 실천하는 공동체의 제자도 실천을 중요시했다. 두 번째로 완전한 제자 공동체의 지속적인 확산을 강조했 다. 세 번째 주장은 공동체의 현실적 대응은 알곡 공동체의 성장점이라는 것이다. 즉, 선교적 그리스도인으로 인해 변화와 성장을 체험한 알곡 공동체는 새로운 증인 공동체를 위한 씨앗으로 세상에 존재한다.
        6,300원
        123.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화와 산업화가 이 세상을 축소시킴에 따라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의 지형도 역시 변하고 있다. 이 변화는 현대인들이 이제 일상생활 속에서 타종교인들을 이전보다 훨씬 더 빈번하게 만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래서 이제 종교에 관한 연구는 단순히 목회자나 선교사와 같은 기독교 전문가만의 영역이 아닌, 교회에 출석하는 일반 교인들에게도 중요한 영역이 되었다. 종교에 대한 연구의 기초 연구로서 복음주의 종교 신학은 지금까지 주로 구원론적 혹은 기독론적 관점에서 논의 되어 왔다. 그러나 일단의 현대 기독교 종교 신학자들은 이렇게 종교 신학의 과제를 구원론과 기독론에만 국한시키는 것은 종교 신학을 너무 편협한 학문 영역으로 환원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그들은 종교 신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기 위한 시도를 하게 되었는데, 특별히 성령론적 접근법이 새로운 방법론으로 등장 하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았을 때, 성령론적 종교 신학은 창의적이 고 연구의 가치가 있음은 확실하다. 하지만, 이 방법론은 여전히 더 깊은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미래의 복음주의 종교 신학의 과제다.
        7,800원
        124.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선교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교회 안에서 현재 주도적인 패러다임은 선포중심의 독백적 패러다임이다. 이 패러다임에서 한국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화자중심의 일방적 소통을 해왔다. 따라서 교회가 이웃과의 소통을 더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적인 패러다임을 필요로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본질적으로 대화적이시기에, 하나님의 선교도 대화적이며 따라서 교회의 선교도 대화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일방적으로 말하는 방식으로 선교해 왔기에, 새로운 패러다임에서는 교회가 먼저 말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웃의 소리를 경청하는 데서부터 이웃과의 대화가 시작되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경청중심의 대화적 선교패러다임이다.
        7,800원
        125.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나님의 선교는 교회 중심의 선교를 비판한다. 그것은 더 넓은 범위의 선교와 선교적 과제를 보여주며, 기독교인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와 역사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하나님의 나라를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교회가 영적 구원과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섬김의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다. 오늘날 기독교의 사회복지실천의 이념이나 신학에 대한 검토는 여전히 진행중이다. 그러나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가지고 사랑을 실천하는 기독교의 관점을 고려한다면, 아동학대의 문제에 관해서는 여전히 의미가 있다. 실제로 아동학대에 대해 어떻게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관련 아동복지서비스로 이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는 교회의 안팎으로 복지선교의 관점에서 아동복지의 전문성의 제고와 함께 지속가능한 성장과 통합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7,700원
        126.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선교는 현실적으로 다양한 제약점이 있다. 북한의 폐쇄성으로 선교의 문을 여는 것 자체가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북한선교는 급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순차적 단계를 밟아나갈 필요가 있다. 그 첫 발걸음이 접촉점을 확산시켜 나가는 것이다. NGO는 접촉점 확산에 있어서 중요한 문이자 선교전략이 될 수가 있는데, 지금까지 대북 NGO 활동은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과 개발지원사업에 집중되어왔다. 본 연구는 직접적 선교 활동을 할 수 없는 한계적 상황 속에서 NGO를 통한 새로운 북한선교 전략으로 음악적 NGO 활동을 제안한다. 음악과 친숙한 북한 주민들, 특히 자라나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악기를 보급하고, 찬송가, 복음성가와 같은 기독교음악의 선율적 특성을 접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향후 직접적인 복음 전파가 가능할 시점에 친숙함을 느끼고 마음 문을 열게 하는 선교적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8,300원
        127.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 한국교회의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선교사역을 유지하고 선교의 동력을 추진하기 위해서도 성경적 선교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20세기 중반에 급진적인 선교사상에 대응하기 위해 성경중심적인 복음주의 지도자들에 의해 결성된 로잔선교운동은 복잡한 세상속에서 성경적 신학에 근거한 현대선교운동을 활성화 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로잔운동은 성경중심적인 선교가 종교혼합주의적인 상황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알고 존 스토트와 빌리 그레이엄을 중심으로 선교운동을 전개하였다. 제1차 로잔운동에서 발표된 로잔언약에서 현대선교의 중심은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고 영감된 성경이 신앙과 삶의 유일한 척도임을 강조하였다(2항). 제2차 로잔대회에서 발표된 마닐라선언에서 성경의 복음이 하나님께서 주시는 메시지임을 확언하고 이 복음을 변호하고 선포한다(3항)고 명시하고 있다. 제3차 로잔대회 케이프타운서약에서도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사랑한다”고 강조하였다. 모세오경과 선지서, 그리고 시편에 나타난 선교메시지는 예수님과 사도들, 초대교회 지도자들이 활용한 선교사역의 교과서였다. 오늘도 효율적인 선교사역을 위해 구약성경에 나타난 선교주제들을 심도있게 연구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바란다.
        7,700원
        12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i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was recently established in Yeongyang, Gyeongsangbuk-do on October 2018. As a new research center, we are actively developing research projects even though we have lots of hurdles. Among 26 endangered insect species, five species have been focused as restoring insect. Recently, the focus of restoration strategy was changed from species to habitat. To protect the insects from extinction, we will conserve the original habitat and cooperate with the local community. As a starting research center, we are open to all of your opinion to restore endangered insects in Korea.
        129.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기본적으로 이슬람권 지역에 대해 어떻게 하나님의 선교를 할 것인가를 분석하는 학적 시도이다. 체첸이 속한 연방국가인 러시아와 체첸 간의 관계를 잘 이해하는 올바른 지역학적 연구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본 논고는 강조하였다. 연방 내에서 약소민족이 전쟁을 경험한 정치적 사건도 선교 대상적 학적 체계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는 입장으로 기술된 내용이다. 즉 본고는 지역학적 관점에서 선교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술되었다. 지역연구로서의 대상지역을 체첸으로 설정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러시아와 체첸 관계가 그 중심적인 내용이 될 것이다. 특히 매우 강력한 연방 국가에 속한 체첸공화국에서 발생한 체첸 전쟁을 둘러싼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요소를 통해 선교를 어떤 방식으로 도출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반응으로 본고의 내용이 서술되었다
        6,900원
        130.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 필자는 동반자 선교의 신학 정립과 실천적 방향을 연구한다. 왜냐하면, 동반자 선교가 선교의 중요한 문제로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음에도 여전히 선교현장에서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는 것이 어디에 기인하는지를 신학에서 찾고, 바른 신학정립을 통해 실천적인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싶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동반자 선교의 개념 규정을 간략히 하며, 동반자 선교의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그 신학적 토대에서 동반자 선교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순서로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의 모든 교회가 진정한 하나님의 선교의 동반자임을 인식하고, 동반자 선교를 구현하도록 돕는 데 있다. 이런 연구를 통해 동반자 선교에 걸림돌을 걷어내고, 분리와 경쟁과 시행착오와 중복투자와 낭비를 극복하고 진정성 있는 선교를 구현하며, 선교의 신뢰도를 고양할 수 있을 것이다.
        6,700원
        131.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땅은 성경에서 중심적이며 주요한 주제이다. 크로보 부족은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며 땅은 그들에게 생명의 근원이다. 본 논문은 크로보 부족과 이스라엘의 땅의 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비교 연구를 하였다. 이를 통해 크로보 부족의 땅에 관한 세계관이 성경에 기록된 땅에 관한 이스라엘의 세계관과 많은 유사점들뿐만 아니라 차이점들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땅의 농업적 관점을 살펴봄으로써 크로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땅의 선교신학적 요소들을 발견한다. 크로보 사람들은 청지기처럼 그들의 땅을 존중하며 잘 관리하고 경작한다. 저자는 이러한 태도를 “땅의 청지기론”이라고 부른다. 땅의 선교신학은 농업선교를 위해 크로보 지역뿐만 아니라 그밖에 다른 농경사회 시스템 내에 살고 있는 불신자들에게 성경의 진리를 소통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내러티브 요소이며 이론을 제시한다.
        8,400원
        132.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다문화 사회 선교와 관련하여 도움이 될 만한 두 군데의 구약성서의 본문을 살핀 것이다. 첫 번째는 창세기 21장 8-21절의 ‘이스마엘과 하갈 이야기’인데 아브라함의 약속 기사에서 불필요한 부분으로 여겨져 외면을 받아 온 구절이다. 그러나 이 ‘이스마엘과 하갈 이야기’를 반복이라는 문학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창세기 22장 1-19절의 ‘이삭 번제 사건’과 비교해 보면 이 두 구절에는 거의 완전한 병행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창세기 22장의 이삭 번제 사건 기사가 축복과 약속에 관계된 것이라면 창세기 21장의 하갈과 이스마엘 이야기도 역시 쫓겨나는 저주의 기사가 아닌 또 다른 축복과 약속의 기사로 보아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살핀 곳은 요나서이다. 요나서는 저자가 구사한 아이러니라는 기법을 사용하여 전 인류를 동정하는 하나님을 입으로는 고백하면서도 자신들의 집단 밖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동정을 부인하는 무리들에 대해 항변함으로써 보편적인 하나님의 사랑을 심화시킨다. 한편 요나서는 구조와 언어를 통하여 사랑이 율법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주제를 강화시킨다.
        6,600원
        133.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3세기에 이슬람이 유입된 아쩨는 힌두교와 불교, 그리고 애니미즘과 수피즘 등이 혼합된 민속 이슬람의 성향이 강하다. 중재자 역할을 하는 왈리와 숭배사상을 갖는 수피즘은 아쩨의 이슬람화에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아쩨전쟁,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다룰이슬람, 그리고 자유아쩨운동은 과거 아쩨 술탄국의 번영을 갈망함과 동시에 고난을 이겨내기 위한 투쟁이었다. 남자의 독립성을 키우는 므란따우(Merantau)와 딸에게만 재산을 상속하는 관습은 아쩨의 가정을 여성 중심으로 만들었다. 하나님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는 것은 만남과 관계 형성에서 시작되고 그 접촉점의 역할로 의료선교는 매우 유용하다. 아쩨의 역사는 고난과 비통으로 함축된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몸과 마음을 함께 돌보는 전인적 치료이다. 동양의학은 아쩨 무슬림의 비애를 돌볼 수 있고 만성적인 질병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경제적이고 치료 효과가 좋은 침술은 아쩨 무슬림의 건강관리에 적합하다. 동양의학의 궁극적 목적인 양생(養生)과 복음전파를 통한 전인치유는 전인적으로 병든 아쩨 무슬림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키고 하나님의 나라를 체험하는 사건이다.
        7,700원
        134.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덴쇼소년사절단(天正遣欧少年使節)은 예수회 동인도 지역 순찰사로 파견된 알렉산드로 발리냐노가 1582년 2월 20일(덴쇼 10년)부터 1590년 7월 21일(덴쇼 18년)까지 기획한 최초의 유럽 방문 일본인 소년단이다. 보편교회와 유럽인들에게는 늘어나는 일본인 신자 공동체를 알려줌으로써 선교의식을 고취시키고, 일본인 신자들에게는 유럽의 그리스도교 국가들의 발달한 문화를 보여줌으로써 신자로서 자부심을 갖게 하여 향후 선교의 동력으로 삼고자 하였다. 소년들은 발리냐노가 아리마에 세운 최초의 현지 신학교 제1기 신학생들이었고, 큐슈지방의 유력한 기리시탄 다이묘들의 친인척들이었다. 소년단의 유럽 방문은 이후 교체된 일본의 정권하에서 크게 빛을 보지는 못했지만, 일본이 세계정세에 민감하게 움직이고 서구를 향해 문호를 개방하는데 주저하지 않게 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동시에 교회로 하여금 선교지에 대한 인식과 선교사 교육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한 계기가 되었다.
        8,700원
        135.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교회는 타문화권 선교 초기부터 아시아 선교에 자원을 집중해 왔다. 아시아 선교를 위한 지역 연구도 비교적 일찍부터 있었다. 한편, 전 세계 인구의 약 60퍼센트가 집중된 아시아는 인종적 다양성도 매우 클 뿐 아니라, 정치, 외교, 경제, 문화, 종교도 매우 다양하다. 아시아에 한국 교회의 선교 자원이 집중되는 추세는 한국 선교 인력의 증가가 멈추더라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 대륙에서 가장 큰 선교 자원을 제공하는 교회는 미국 교회나 영국 교회가 아니라 한국 교회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 교회는 아시아 선교를 더욱 책임 있는 자세로 수행해야 한다. 한국 교회의 아시아 선교의 이슈들은 다음과 같다. 아시아의 규모를 고려할 때, 아시아에 있는 한국 선교사의 수는 충분하지 않다. 한국 선교사들은 협력 선교를 추구하는 한편, 물량 선교는 지양해야 한다. 또한 선교사의 추방과 입국 거부의 위협을 적절히 대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국민 종교 활동을 제한하는 여러 아시아 국가들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국 선교사들은 아시아에서 선교의 마중물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8,900원
        136.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이 천착하는 것은 예수회의 무굴 제국 선교 역사 가운데 스페인 출신의 선교사 제롬 사비에르가 이끌었던 제3차 선교이다. 특히, 그리스도교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던 무굴 제국의 황제 악바르의 요청에 따라 사비에르가 집필한 Mirʾāt Al-Quds (The Mirror of Holiness)에 주목한다. 악바르는 사비에르에게 그리스도의 생애를 페르시아어로 집필할 것을 요청하였고, 사비에르는 1602년 Mirʾāt Al-Quds라는 제목의 저서를 황제에게 봉헌했다. 사비에르는 이 책을 통해 일차적으로 악바르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입증하고 악바르를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려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사비에르의 Mirʾāt Al-Quds는 무슬림의 예수 이해와 충돌을 일으켰고, 결국 악바르의 후계자인 자한기르 시대에 예수회 선교사와 무굴 제국의 무슬림 학자들 간의 궁정 토론을 촉발하였다.
        7,000원
        137.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차 산업혁명의 지능화된 기술들은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왔던 삶의 패턴을 바꾸고 새로운 신기술을 통해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스마트한 세상, 경제성장, 그리고 노동의 질을 완전히 바꿔 놓을 것이다. 반면,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들은 심각한 불평등, 부의 편중화, 빈익빈 부익부, 인간소외, 인간 노동력의 상실, 직업의 종말 등과 같은 심각한 갈등 요소들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며 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국 선교의 미래 전략과 방향을 몇 가지로 모색해 보았다. 첫째는 현장에 맞는 선교신학을 견고하게 세우는 것이며, 둘째는 선교 플랫폼을 만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함께 공유하고, 셋째는 유비쿼터스 선교 시스템을 구축해 전 세계를 하나의 선교지로 연결하는 것이며, 넷째는 소통과 책임 리더십 강화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선교 전략과 방향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일이다. 이런 변화 속에서 한국 선교는 과거 선교 방식을 탈피하고 새롭게 부상하는 기술들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선교가 이루어지도록 소통과 공유, 협업과 에큐메니칼적 연대를 통해 선교 생태계를 회복해 가야 할 것이다.
        8,100원
        138.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aircraft engine is supposed to be used for a specified lifespan, and it is reused through the depot maintenance for a major overhaul when its cumulative service life reaches the lifespan. However, the depot maintenance takes a long time due to the complexity of its process, and thus to continuously operate aircraft, spare engines are required to substitute engines under renovation. Considering the limited capacity of the depot, the uniformity of the quantity and cycle of engines entering the depot maintenance provides an opportunity to the decrease of the spare engines and the improvement of aircraft availability. It is the purpose of engine life management. Furthermore, in establishing flight plans, the time for essential maintenance activities, such as pre/post-flight inspection, servicing, the preparation for next flight, has to guarantee. Especially, fighters additionally require much time for installing weapons for their mission. That is, the rearming procedure can be left out if the adjoining missions are identical. Otherwise, the rearming time is varyingly sp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adjacent duti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mathematical model for an aircraft-mission assignment considering engine life management and maintenance schedule, and it is formulated based on the time-space network. Moreover, to verify and validate the model, an example was developed by applying realistic aircraft operating environment and simulation to perform air operations for several days was fulfilled. The experimental results presented flight plan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such as engine life management and the assurance of maintenance time.
        139.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세기에 들어서서 선교는 시대적 배경으로 사회참여와 봉사를 주로 할 수밖에 없는 조건들이 형성되었다. 이것이 선교의 본질적 과제로 본 복음전도보다도 선교현장의 우선적인 사회봉사사역에 집중 하게 되는 에큐메니컬 선교를 탄생하게 되는 근거가 되었다. 에큐메니 컬 선교진영은 1961년을 시작으로 조직화 되었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사회봉사로 전문화, 그리고 특화되었다. 복음주의 선교는 복음전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양 진영은 통전적 선교로 갈등이 봉합되고 관계발전을 이루었다. 복음주의의 통전적 선교는 복음전도를 선교의 본질적 과제로 선언해야 한다. 이것이 선교다. 양 진영의 갈등문제는 선교신학으로 방향을 잡고, 실무차원에서는 공동위원회를 구성하여 대안을 찾아야 한다. 위원회에서 문제가 될 때마다 선교현장의 과제를 함께 평가하며, 그 대안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본질적인 선교적 과제를 확보하는 것이다. 어린아이 목욕을 시키다 물을 버린다는 것이 아이까지 버리는 실수가 없어야 한다. 통전적 선교가 복음주의 선교가 되려면 로잔의 복음전도의 본질적 과제를 사회봉사와 구별하는 평가가 있어야 한다.
        8,700원
        140.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카자흐민족의 선교는 그들의 민간신앙의 세계관을 성경적 세계관으로 변혁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을 견지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카자흐인들의 민간신앙의 세계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들의 세계관을 성경적 세계관으로 변혁시킬 방안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카자흐민족의 민간신앙의 신념 체제는 거주 공간, 동물(가축), 불, 음식과 같은 일상생활의 물질문화와 천신 사상, 조상신 숭배, 샤머니즘 등의 정신문화에 고스란히 배여 있으며, 이슬람의 제의와 사상과 혼합주의를 형성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민간신앙의 신념체제는 카자흐민족의 세계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카자흐민족의 민간신앙을 향한 선교는 그들의 세계관을 성경적 세계관으로 변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연구자는 카자흐민족의 민간신앙의 세계관을 변혁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가를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한다.
        8,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