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lowing the first Public Release of the AKARI Point Source catalogues, we have worked on the production of a new far-infrared All-Sky Diffuse mapping product. In this paper we report first results from the All Sky diffuse maps that will shortly be released to the community, based on analysis of data from the Far Infrared Surveyor ( 65 μm − 160 μm ) instrument. These data are likely to have a strong impact on studies of extended structures, and the diffuse IS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ating habit,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behavior by BMI in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ata on the 16, 574 subjects was obtained from the six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0). Only 52.2% of the subjects had regular breakfast.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than in the obese group, but the rate of skipping dinner was on the contrary to this. Underweight students had a higher intake frequency of fruits, fast food, instant noodle, and snacks than the obese groups. 3.5% of underweight student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overweight or obese. 53.4% of obese student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overweight. The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increased according to BMI, but underweight students considered weight control as an effort to be slimmer. Meal restriction was used more frequently to control weight. The perceived stress level was higher in obese student, especially due to appearance. Therefore, an appropriate, integrated and personalized high school nutrition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for proper body image perception and to develop the self-esteem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기능성 교육용게임에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재미도 있고 교육 효과도 좋은 경우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성인에 비해서 집중력이 낮은 초등학생의 회화식 영어 교육을 위해서 웹 기반의 MMORPG 게임을 설계 개발 하였다. 유선 및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타인과 협동, 경쟁심을 키워주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능력을 높여 주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하여 게임 산업의 다양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에는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UI 및 게임콘텐츠 업데이트를 하고자 한다
This study proposes a collaboration system framework on the web service in a supply chain to implement an efficient virtual supply chain and improve an ability to fulfill received orders over a supply chain. The system based on the framework proposed in this paper plays an important role for automatic order negotiation and placing/receiving an order noticed in web service by the main system. Furthermore, it can evaluate the fulfillment of received orders over a supply chain by using the transaction results from hierarchically related vendors and establish efficient manufacturing plans. In a word, this system is the automated system for creating manufacturing plans, placing and receiving orders. A little more important main function of this system is that it has a dynamic evaluation capability about fulfillment with received orders over a supply chain, and improves the evaluation method of fulfillment ability with received orders with related to direct dealing vendors, which is a main problem in existing system. As a result, this system is able to reduce the work load of the sales and purchasing materials, production control division, to manage accurate inventory promptly, to maintain the optimal inventory level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f fulfillment ability with received orders, and to enhance the level of service for customers.
본 연구는 고령자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게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 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항목은 제품 검색 단계에서의 메뉴디자인, 제품 고르기 단계에서의 이미지 배열 방식과 사용설명서의 제공방식, 제품 구매단계에서의 결제방식이다. 먼저 현황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개설되어 있는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의 각 항목에 대한 디자인 유형을 파악한 후 실험 평가도구를 디자인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를 61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혈압계를 찾아 구입하는 과제를 부과하여 사용하게 한 뒤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디자인에 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가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를 통해 제품을 구입할 때, 고령자의 관점에서 가장 사용하기 편하면서 보기 편한 디자인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rapid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salesperson's business efficiency and faster information sharing within the enterprise that need to improve competitivenes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In general, many companies has been managed the sales through the ERP system. However, the ERP informations as a result of operating activities can not perform customer maintenance activities from strategic planning. Therefore, a series of sales activities information as corporate intellectual assets is needed strategic business solutions for managing it. In this study, the web-based SFA systems were designed for salesperson. Salespersons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usiness through management and improvement activities of sales information. The systematic customer information managemen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pany's revenue through improved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이 연구에서는 동적 애니메이션 지도 제작을 위해 HTML5 Canvas와 OGC의 WMS 시간 차원 정보를 활용하였다. 동적 애니메이션 지도는 플러그인 없이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플랫폼에 독립적인 특징을 가진다. WMS 시간 차원 정보는 사용자가 연속적인 지도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HTML5 Canvas로는 애니메이션 지도를 표출하고, 지속시간, 시점, 순서와 같은 동적 변수를 조정할 수 있는 컨트롤 구현이 가능하였다. HTML5 Canvas와 WMS는 모바일 웹 기반의 동적 애니메이션 지도 제작을 위한 기능적 요구 사항을 충분히 지원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FOSS(free and open source software)는 라이선스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소스코드를 재사용하거나 수정 및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정보시스템 구축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최근 GIS의 컴퓨팅 환경이 웹으로 확장되면서 FOSS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시각화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볼 때, 웹GIS에서 FOSS 애플리케이션들은 환경 및 생태 정보 제공을 위한 지도서비스가 주를 이루며 분석지향적인 사례는 매우 드물다. 또한 공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GIS툴, 통계패키지 등의 FOSS가 개별적으로 웹GIS에 활용되어 왔으나, 개방성과 재사용성이 우수한 이들 FOSS를 커플링(coupling)하면 공간자료의 공유, 시각화에서 더 나아가 공간데이터의 통계분석을 지원하는 웹GIS가 구축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환경에서 DBMS, GIS툴 및 통계패키지를 커플링하는 브로커리지(brokerage)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간자료의 저장, 질의, 처리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시각화하는 FOSS 기반의 웹GIS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공간 DBMS로는 래스터와 벡터가 모두 지원되는 PostGIS을 이용하였고, 공간데이터 프로세싱에는 GRASS, 통계분석에는 R, 시각화를 위한 지오브라우저로는 Google Maps와 Google Earth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FOSS들의 커플링을 위한 브로커리지 모듈은 운영체제 독립적인 Java 언어로 구현되었으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JSP(Java Server Pages)에서 참조하여 웹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에서는, 남한지역의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환경요소 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는 프로토타입을 통해 공간데이터의 공유, 프로세싱, 시각화, 분석에 있어서의 가용성이 검토되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system that collects all data generated in the research conducted to set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for agricultural product safety control. These data, including concentrations of pesticide residues,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tation, recoveries, weather charts, and growth rates, are incorporated into a database,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is perform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the PHRL for an agricultural product is automatically computed.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this system increased the efficiency and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 this area by standardizing the data and maintaining its accuracy without temporal or spatial limitations. The system permits automatic computation of the PHRL and a quick review of the goodness of fit of the regression model. By building and analyzing a database, it also allows data accumulated over the last 10 years to be utilized.
Many animals are capable of detecting sensory information emitted by predators. When predation risk is high, orb-web building spiders should change its foraging strategy of the web construction. We examined web building behaviors of an orb-web spider, Argiope bruennichi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of its predator, a yellow hornet, Vespa simillima. We observed web characteristics after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of the yellow hornet (experimental group; N=29) a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information provided; N=34). We hypothesized that the spi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decrease investments in its web construction and stabilimentum decoration to avoid being located by the predator. The results rejected our hypothesis. Web and stabilimentum constructions decreas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in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But the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 The individuals did not reduce its stabilimentum length and did not decrease its web area in spite of sensory information of the predator.
현재 야외답사는 개발된 야외 학습장의 부족과 접근의 어려움, 학급 당 학생 수의 과밀화, 거리와 시간의 문제, 그리고 비용의 문제 등으로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야외답사의 이점을 장점으로 살리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하여 웹-기반의 가상야외지질답사를 개발하고 이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개발된 제주도 VFT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중 고등학생들에게 화산 지형과 지질에 관한 학습을 위한 가상의 공간을 제공한다; 웹-기반으로 개발되어 학습 내용에 비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시공간적 제약과 경제적인 부담이 없고, 같은 장소를 얼마든지 반복적으로 탐구 할 수 있다; 학교급에 따라 수준별로 학습할 수 있는 활동지가 제공된다; 지형 지물의 근접 촬영 이미지, 탐구활동과 관련된 질문과 설명, 해당지역의 실제 암석의 표본 사진 및 박편 이미지 등의 다양한 보충적인 웹 콘텐츠들을 제공한다. 개발된 제주도 VFT를 과학 수업 및 비교과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지도 모형을 각각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나날이 확산되어 가고 있는 3D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감성을 밝혀 향후 3D 인터페이스의 사용자연구에 반영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로, 2D와 3D 인터페이스의 시각 자극에 대한 사용자들의 감성을 알아보았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웹 브라우징에서의 사용자 감성어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77개의 감성어휘를 이용하여 2D와 3D 인터페이스 모형을 평가할 수 있는 웹 설문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2D 인터페이스와 3D 인터페이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도 있었지만 특징적으로 2D 모형과 3D모형에서 어느 하나에 편중되어 나타나는 어휘가 있었는데, 이를 통하여 2D 인터페이스와 3D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감성어휘의 차이를 규명할 수 있었다. 특히, 3D 모형에서 나타난 어휘들은 3D 인터페이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깊이감과 다양한 움직임 등에서 느낄 수 있는 감성어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추출된 감성어휘는 추후 3D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3D 인터페이스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감성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Novel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with PAN-based nanofiber, stabilized PAN nanofiber, and carbonized nanofiber webs have been fabricated, respectively, and the effects of the nanofiber web content on their electrical resistivity, the thermal stability, dynamic storage modulus, and fracture surfaces were studied.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introduction of just one single layer (which is corresponding to 2 wt.%) of the carbonized nanofiber web to unsaturated polyester resin (UPE) could contribute to reducing markedly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resin reflecting the percolation threshold, to improving the storage modulus, and to increasing the thermal stability above 350℃. The effect on decreasing the resistivity and increasing the modulus was the greatest at the carbonized PAN nanofiber web content of 8 wt.%, particularly showing that the storage modulus was increased about 257~283% in the measuring temperature range of -25℃ to 50℃. The result also exhibited that the carbonized PAN nanofibers were distributed uniformly and compactly in the unsaturated polyester, connecting the matrix three-dimensionally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each specimen. It seemed that such the fiber distribution played a role in reduc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as well as in improving the dynamic storage modulus.
Web 2.0 communities are providing new opportunitie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by supporting more flexible sharing, communicating, and collaborating among teachers at a distance. Meanwhile, literature concern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creasingly places value on communities of practice and web-based learning communities.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the design of teacher training supported by a Web 2.0 community. The training program discussed in the paper is characterized by employing peer-coaching to facilitate teachers’ learning in a Web 2.0 community, and is a part of a project funded by the Ford Foundation. The paper giv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training program, and reports some important findings and reflections on design and practice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It includes the theoretical framework design, a training model as well as activity design, and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and useful experiences. Initially, taking account school teachers’ needs at the K12 level for curriculum reform and quality education, theory, knowledge and practice competences for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ere examined by using peer-coaching methods supported by online communities. The suggested training program was delivered in two Chinese districts in August 2009: Tianhe district of Guangzhou, and Wuhou district of Chengdu. More than 120 participants, including subject teachers, school principals and local teaching researchers, took part in the f2f training, online activities and the further practice activities. Even still on-going, th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explains that the initial results and observations collected during the process of training are very positive. With cause for optimism as to the prospect of achieving the training program’s goals, the study has demonstrated that a task-driven approach and peer-coaching supported by a web 2.0 community are effective methods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that peer-coaching can be greatly extended by out-of-school activities.
Industrial business environments have rapidly changed and face severe competitive challenges. The effective inventory system enables to product and deliver the products quickly for meeting due date of customer's order in this environment. This study have developed a web-based inventory system using RFID for an injection molding industry. The system analysis inventory problem issues such as inventory planning, warehouse assignment and assist to develop production scheduling. In this study, web-based inventory system using Java language and RFID technology is proposed and implemented. As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we expected that it manages to inventory planning continually and systematically.
조사지점인 구포에서 발생한 규조류인 Stephanodiscus 속에 의한 수화현상은 본 연구 시점인 1월부터 관찰되었으며 4월 18일을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아 군집은 규조류 대증식 현상이 소멸한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규조류 수화현상이 종결되면서 조류에 의한 분비물 및 세포 분해 산물(cell lysis)이 수중에 많이 공급되어 박테리아 증식이 용이해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박테리아의 주요 포식자로 알려진
전기방사한 나노섬유 웹은 가는 섬유직경과 수많은 미세공극 구조로 인해 우수한 투습성 및 차단 성능을 나타내며, 초박막 초경량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새로운 투습방수 소재로서 전기방사한 나노섬유 웹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나노섬유 웹 처리소재의 역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기존 투습방수 소재와 비교함으로써 기능적 성능과 더불어 감성적 성능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투습방수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실 제작(lab-scale) 나노섬유 웹과 대량생산(commercial) 나노섬유 웹을 이용하여 웹 밀도와 기반 직물, 적층 구조, 라미네이팅 여부 등에 차이를 두어 다양한 전기방사 나노섬유 웹 처리소재를 제작하였다. 이들 시료에 대해 KES-FB system을 이용하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존 투습방수 소재인 고밀도 직물, PTFE 라미네이팅 직물, PU 코팅 직물의 역학적 특성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실에서 제작한 나노섬유 웹 처리소재는 부피감이 있으면서 유연하였고, 대량생산된 나노섬유 웹을 라미네이팅한 소재는 신장 변형이 적은, 치밀한 구조의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밀도 직물과 실험실 제작 나노섬유 웹 처리소재는 낮은 인장선형성과 굽힘강성, 전단강성으로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어, 기존 PU 코팅이나 PTFE 라미네이팅 직물에 비해 뻣뻣함이 덜하면서 유연하고 부드러운 태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전기방사 나노섬유 웹 처리소재가 일정 수준의 방수성을 확보한다면 기능적 성능과 감성적 성능을 모두 충족시키는 새로운 투습방수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창의적 시각발상 프로세스에서 컨셉을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언어의 자극이 주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다. 피실험자들에게 게임 디자인 발상을 위한 컨셉과 함께 발상을 도와주는 연관검색어를 제공하였다. 컨셉에서 단어 들을 뽑아 구글에서 검색했는데, 특별히 원더힐을 이용하여 5단계까지의 연관 검색어들을 제공하여 아이디어를 전개 하도록 했다. 구글의 연관 검색어는 집단지성이라는 철학이 숨어 있다. 다수의 사람들의 기여와 공헌이 모여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지식과 정보는 계속해서 갱신되고 새로운 가치가 부여되기도 한다. 즉 변 화하지 않는 정보와 지식이 아닌 사람들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단어들을 시각 아이디어 발상에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결과 전체적으로 여러 단계의 연관검색어들을 사용했으며, 주어진 컨셉과 연관성이 높은 단어들이 연관성이 적은 단어들 보다 많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2) 연관검색어를 제공한 경우와 제공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해 보았을 때 연관 검색어를 제공하는 것이 특별히 아이디어의 완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완성도가 높은 결과물에서는 상위 단계의 검색어 즉 컨셉과 연관성이 높은 단어들을 하위 단계의 검색어보다 많이 사용하는 중요한 특징을 볼 수 있다. 4) 여러 개의 연관검색어들을 사용한 결과들을 분석해 보니 복수의 연관검색어의 사용은 의미 있는 결과들과 연관 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5)복수 검색어와 의미 있는 결과를 조사한 결과 같은 단계의 검색어들을 사용하기 보다는 상위와 하위 단계의 검색어들을 함께 사용하는 주요한 특징을 볼 수 있다. 결국 시각 아이디어 발상에 있어서 연관검색어의 제공이 아이디어 발상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복수 연관 검색어의 사용과 상위 단계의 연관 검색어가 발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Recently, industrial business environments have rapidly changed and face severe competitive challenges. The effective inventory system enables to product and deliver the products quickly for meeting due date of customer's order in this environment. This study have developed a web-based inventory system framework using RFID for a plastic injection molding industry. The system analysis inventory problem issues such as inventory planning, warehouse assignment. In this study, web-based inventory system using Java language is proposed and implemented. As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we expected that it manages to inventory planning continually and systema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