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3

        14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regional economic feasibility of greenhouse gases (GHGs) reduction technology in paddy rice. Firstly, the impact of GHGs reduction technol-ogy on productivity, emission reduction, and costs is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Secondly, the water irrigation system contributes to productivity, GHGs reduction, and water reduction, but the profit of paddy rice will decrease because of increase in fixed costs and variable costs. Thirdly, the economic feasibility shows that water-savings plot has a 1.41 in a benefit-cost ratio.
        142.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frastructure deterioration is becoming a major problem in Korea.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quantitative grounds to distribute government annual budget effectively in the area of infra structure maintenance. This study has performed a senior-engineer-oriented question investigation. This results can be used as a base data for the project that developing performance-based evaluation techniques for SOC structures.
        143.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집약적인 상·공업의 발달로 도시화는 기존 생활권을 벗어나 산지 인근으로까지 심화되었다. 산지 인근의 개발사업에 따른 공사 진동의 영향으로 흙입자의 결속이 느슨해지고 지지력이 약해진 산지는 최근 발생이 잦은 국지성 집중호우 등에 의해 쉽게 붕괴되어 산사태 및 토석류 등과 같은 토사재해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도심지 내 토사재해 발생 저감을 위한 토사 제어-관리기술을 선정하고, 도심지 토지이용용도별 토사 제어-관리기술별 적용성 평가 및 제어-관리기술별 토사유출 제어능력을 평가하여 도심지 토사제어기술의 적용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물은 토사재해 뿐만 아니라 기타 호우재해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심지 주거환경에 대한 재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4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집약적인 상·공업의 발달로 도시화는 기존 생활권을 벗어나 산지 인근으로까지 심화되었다. 산지 인근의 개발사업에 따른 공사 진동의 영향으로 흙입자의 결속이 느슨해지고 지지력이 약해진 산지는 최근 발생이 잦은 국지성 집중호우 등에 의해 쉽게 붕괴되어 산사태 및 토석류 등과 같은 토사재해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도심지 내 토사재해 발생 저감을 위한 토사 제어-관리기술을 선정하고, 도심지 토지이용용도별 토사 제어-관리기술별 적용성 평가 및 제어-관리기술별 토사유출제어 능력을 평가하여 도심지 토사제어기술의 적용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물은 토사재해 뿐만 아니라 기타 호우재해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심지 주거환경에 대한 재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4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동안 백두산 화산재 피해에 대한 인식과 대비책 마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정보통신분야에 관한 관리기준과 매뉴얼의 연구는 부족하였다. 특히, 해외 사례와 비교해보면 화산분화재난에 대한 위험성이 낮다고 판단되어 세부적인 관리기준이 미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산분화로 발생한 화산재의 피해영향과 그에 따른 다각도의 대응방안의 연계가 미흡하고, 부처별 역할 및 업무도 개략적인 수준에서의 제시에 머물러 있다. 특히, 통신시설 분야는 미세먼지(황사/분진) 및 대설/폭우 등의 재난 시에도 통신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대비책이 강구되어 있으나, 화산재 재해에 대한 운용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리하여, 부처별 역할 및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들을 제시하여 화산재의 낙하 및 확산 시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 및 공조방안에 관한 관리기준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화산재의 퇴적량과 수분함유량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시설부분의 관리기준을 수립하였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국내에 실재로 발생하지 않은 사례이며, 대응 기준의 퇴적량이 비나 바람에 의해 정보통신 시설에 균등하게 쌓이지 않기 때문에 최대치의 퇴적량과 습윤 등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즉, 정보통신 시설 중에서 전송, 선로, 전원시설을 주요시설로 보고 관리기준을 화산재 피해정도(VAD, Volcanic Ash -Degree)에 따라 Ⅰ~Ⅳ단계로 구분하였으며, VADⅠ단계는 미미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Ⅱ단계는 약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Ⅲ단계는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Ⅳ단계는 극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가 제시한 관리기준은 실험값이 아니고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퇴적량의 정량적 기준치 설정은 향후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겨두었다.
        147.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adays,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have been used in several important areas, such as healthcare, construction, critical infrastructur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manufacturing.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WSNs in terms of memory, energy, computation, and scalability,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arge number of WSNs data in these areas is an important issue to deal with. There is a need for a high-performance computing and massive storage infrastructure for real-time processing and storing of the data as well as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sensor cloud computing based on IoT and service to manage monitoring sensor data for the f construction design-build projects. With this IoT sensor cloud platform, the entire project participants can efficiently share information to identify and solve issues in the design build phase.
        14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ilroad concrete track is continuously supporting structure for repeated impact loads. Fine cracks which occurred in the early stage of the train operation, gradually expanded depending on the tonnage increases, and the function of the slab track is reduced. And, occurrence of track irregularity, worsening of ride comfort and interfere with the safe operation of trains would be follows. Therefor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initial crack is very important, railroad maintenance overhaul organizations detected twice a year or more the cracks and paint it, displays the location and severity, the type of cracks, width and length by creating a developed view. Each year much maintenance works is required for checking the crack of concrete trackbed and sleepers.
        150.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orean electric power industry autonomously developed the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KEPIC”) with politic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ith a view to creating domestic codes and standards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Since KEPIC was initially issued in November 1995, the Korea Electric Association (“KEA”) has consistently updated it, developing new codes and standards like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and so on.
        15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G.A.P는 FV 기준 총 234개의 체크리스트를 가진 표준 체계이다. 많은 항목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단체 또는 농가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체크리스트가 재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GLOBALG.A.P의 기준을 Fig. 4처럼 5개의 상위 수준 그룹과 각각에 대한 하위 그룹으로 재조정하였다. 이는 체크리스트를 궁극적으로 사용하는 기관의 관점으로 재조정한 모델인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된다 : 기관관리(6개 하위 그룹), 농가관리(5개 하위 그룹), 분석평가(4개 하위 그룹), 생산관리(6개 하위 그룹), 유통관리(5개 하위 그룹). 또한 3종의 외부 연계 시스템과 연계되어 운영될 수 있게 하였으며, 농가나 단체가 본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기준으로 등록을 한다면 GLOBAL G.A.P의 체크리스트를 전부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각 항목 내용에 대한 진실성은 본 시스템에서 관여하지 않는다. 개발하는 시스템으로 아직 본 시스템을 통하여 실제적으로 인증 받은 기관은 현재 없지만 시스템의 안정성과 활용성, 그리고 미비사항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주하귀농업협동조합(감귤, 고문남 농가와 조매선 농가)과 경남 가야농업협동조합(파프리카, 전명권 농가, 영남영농조합법인 농가) 등 2개 단체에 대하여 테스트베드를 운영하였다. 현재 FV 기준으로 마련된 본 시스템은 타 작물로 확대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 모든 농가와 단체에서 사용하여 농가나 단체가 별도의 문서 관리 없이 본 시스템으로 대처하여 쉽게 인증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153.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fety management means that protect the life and property from natural disaster such as earthquake and abnormal climate etc. And also it is very important as the building structures are higher and more large scale structures. In this paper, various kind of technologies including fiber optic sensor application, image processing for detect the crack width are simply proposed. And also, the schematic system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safety management of building and large scale structure are suggested. Related research project have performed by KICT since 2011, and this year is 2nd project period. As time goes on, the developing state of the arts will be presented in the future.
        15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basic requirements for adopting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technology to CO2 monitoring system of building maintenance. This study is progressed to emphasis to utilize BIM building information to estimate amass of CO2 on the maintenance stage. The main purpose of this monitoring technology suggest the effective use of information which enable to efficient evaluation technology.
        155.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웹과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으로 수십 제타바이트를 다루는 빅데이터의 시대가 도래되었다. 이는 기존의 데이터 마이닝의 주 대상이었던 구조화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가 필수적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시공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오데이터는 빅데이터의 주요한 특징이라 일컬어지는 3V(다양성, 속도, 규모)를 잘 나타낸다. 위성 영상을 포함하는 대용량 지도서비스가 스마트폰에서도 가능하게 되었으며, 센서웹을 통해 스트리밍 기술로 실시간으로 공간정보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서 GPS를 통한 위치정보 확보뿐만 아니라, 위치와 연관된 키워드분석을 통해 비정형의 지오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웹상에서 지오데이터를 공개/공유하는 Geo-Linked Data 서비스는 빅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이 증대시키리라 예상된다. 본 논문은 앞서 언급한 지오 빅데이터의 기술특징을 살펴보고, EU, 미국, 호주 등의 사례와 함께 EU FP7 프로젝트로 제안중인 Stream City 프로젝트를 통해 홍수, 화재, 가스폭발 등 도시재해에 지오 빅데이터 기술의 적용방안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156.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상홍수나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댐이나 대용량저수지에 비상대처계획을 법령으로 지정하여 필수적으로 수립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정보의 특성상 일반 시민이나 수방시설물 운영자에게 접근성이 떨어지며,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하여도 가시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소방방재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 과제의 일환으로 3차원 BIM 기술을 활용한 수방시설의 능동형 재난관리체계를 구축 사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의정부시의 pilot test 지역을 대상으로 수리·수문학적 홍수량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강우 사상의 발생과 저수지 붕괴 시의 피해예상범위를 예측하였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BIM 기술과 연계하기 위하여, 수방시설에 적용되는 정보항목들을 분류하고 표준화 기술 연구를 수행중이다. 또한 BIM 기반으로 지형을 모델링 하여 가시성을 높이고 있으며, 재난상황 발생 시 대피 시뮬레이션을 적용함으로서 본 과제를 수행중이다.
        157.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국화는 수명이 1-2주이며, 최대 3-4주까지 유지되고 수확 후 호흡증대와 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지 않는 non-climateric 식물로서 에틸렌에 대한 감수성이 낮은 작목이다. 절화는 주로 잎이 위조, 황화되고 수분의 이동이 방해되어 엽록소가 퇴화되고 잎의 노화가 촉진되어 개화되지 못하므로 품질이 떨어진다. 절화의 수명은 품종, 수확전 재배조건, 수확 후 온도, 습도, 광, 수질 등 외부요인 및 기질의 공급, 체관 및 물관의 흡수력 유지, 에틸렌과 같은 호르몬, 효소활성 변화 등의 내부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국화 품질지표는 꽃과 줄기가 구부러짐이 없고 절간간격 및 잎 크기의 상하가 일정하며 균형이 잘 잡힌 것이어야 하며, 화형, 화색이 품종 본래의 특성을 갖추고 모두 양호하여야 하며 병해충 피해가 확인되지 않으며, 절화 수확시기가 적기인 것이여야 한다. 스탠다드 국화는 꽃봉오리가 5-6cm일 때 수확하고, 스프레이 국화는 40% 개화상태인 2-4개의 봉오리가 균일하게 개화하면 수확한다. 이 때 토양 기부에서부터 10 cm 위로 잘라 목질화된 줄기를 제거하며 줄기 아래쪽의 잎을 1/3정도 제거하여 수분흡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확 후 절화를 등급별로 나누게 되는데 절화의 길이와 무게, 꽃의 개화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스탠다드 국화는 병해충이 없고, 줄기가 구부러짐이 없고, 잎 크기가 균형이 잘 잡히고 절화장이 80 cm, 절화줄기 1개의 무게가 70 g이면 가장 우수한 1등급이며, 스프레이 국화는 절화장과 절화무게가 각각 70 cm, 60 g이고, 개화는 2-4륜이 개화하고, 병해충이 없는 깨끗한 상태인 경우가 1등급이다. 절화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물올림과 동시에 전처리제를 사용하는데, STS, GA, BA, 1-MCP, Chrysal, 살균제, sucrose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절화의 호흡감소, 부패감소, 변색지연, 증산억제를 위해 예냉을 5~7℃에서 4시간 이상 하는 것이 좋다. 절화국화는 PE필름으로 포장해서 상자에 넣으면 2℃에서 2주간 저장이 가능하고, 습식에서는 3주간 저장이 가능하다. 포장이 끝난 국화는 저온차량를 이용하여 수송 상차 및 하역비 절감을 위해 2상자씩 묶어 출하한다. 소비자가 신선한 꽃을 오랫동안 감상하는 위해 HQS, 탄산수, sucrose 등을 이용하여 수확 후 후처리를 한다. 절화 국화의 소비 및 이용을 다변화하기 위해서는 유통 품목과 품종의 다양화, 유통체계의 정비, 산지 생산자-소매자-소비자의 정보교류 등이 필요할 것이다.
        158.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박과에 속하는 멜론은 다양한 형태, 과실 크기, 과피와 과육의 변이를 가진다. 또한, 멜론은 당도가 높고 향기와 과즙이 풍부하여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다. 멜론 종내에는 호흡과 에틸렌의 차이에 따라 호흡급등형(climacter)과 비호흡급등형(non-climacteric) 타입이 동시에 존재한다. 멜론은 에틸렌 발생량이 많은 과실이며 에틸렌은 성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호르몬들도 상호 작용하여 과실이 성숙 시에 영향을 끼친다. 멜론은
        160.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 the riding robot system named by "RideBot" which is a riding robot like as a horse. In order to simulate the riding motions, we develope the saddle mechanism which can generate 3 DOF motions including pitch, roll, and bounce movement, and also we controlled the riding motions and the intention of horseman. To generate the riding motions with the bodily sensation, we developed Novel Washout Filter and the algorithms for motion control. And also, we developed some health care service for the health care of horseman. A body state index was proposed that evaluates the personal health state from both the measured physiological variables and the surveyed questions. The physiological variables such as weight, blood pressure, heart rate variability (HRV), accelerated state photoplethysmograph(APG), body fat, and happiness index were measured by the specially designed bio-handle system and survey questions.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ride robot is evaluated in the experiments.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