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14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diffusion - precipitation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acid volatile sulfide (AVS) concentrations in freshwater sediments. This method uses silver nitrate as a sulfide trap solu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trapped sulfide is determined gravimetric
        4,000원
        14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토의 보수성 증가를 위하여 혼합되는 acrylamide 계통 고흡수성 수지인 Stocksorb C(STSB)의 수분 흡수 특성, 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 STSB가 침지된 외부용액속의 무기염 농도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STSB의 수분 흡수량은 증류수에 침지한 경우 약 180 mL·g-1였다. 1가의 양이온을 포함한 염인 KH2PO4, KNO3 또는 (NH4)2SO4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수량이 저하되었으나 세 종류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Ca(NO3)2·4H2O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속에 STSB를 침지시킨 경우 수분흡수능 저하가 심하여 20 meq·L-1Ca(NO3)2·4H2O 용액에서 약 25 mL·g-1 수분을 흡수하였다. Mg(NO3)2·6H2O나 MgSO4·7H2O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분 흡수량이 심하게 저하하였고, 1가의 양이온이 포함된 염을 용해시킨 용액에서보다 그 정도가 심하였다. 그러나 요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용액에서의 수분 흡수량은 저하되지 않았다. 침지전 Hoagland용액의 농도가 높거나,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STSB를 침지시킨 용액에서의 K+및 NH4+-N의 농도가 점차 높아졌다. Hoagland 용액의 희석배수와 무관하게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부용액의 NO3--N, H2PO4- 및 SO4-2 농도가 약간 상승하였고, 24시간 경과 후 각각 5,300, 250 및 1,500 mg·L-1 농도로 분석되었다.
        4,000원
        145.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핵이식 배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였다. 핵이식 배를 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4,000원
        146.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수정란의 동결에 있어서 vitrification 동결 융해 후 내동제의 종류완 농도, PVP 및 sucrse와 trehalose의 첨가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1 Vitrification동결에 이용된 각 발생단계의 체외수정란은 1,063개 중 2세포기는 245개, 배반포는 , 초기 배반포는 , 확장 배반포는 221개 , hatching 배반포는 107개 이었다. 상실배, 초기 배반포 및 확장배반포를 EDS와 ET
        4,000원
        147.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vitrification 동결 시 내동제의 종류 및 농도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과 수정 후 체외발생율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1.0, 15, 30 및 40시간 성숙 배양시킨 난포란을 vitirfication 동결보존 후의 MII로의 발생율은 각각 였으며, diploid로의 발생율은 로서 대조군의 ME 단계의 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diploid 단계의 에 비해서는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 체외발생율은 초기의 미숙 난포란일
        4,000원
        153.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 그리고 혈청 중 FSH, LH, estradiol-17β 및 testosterone 농도에 미치는 품종과 계절의 영향을 조사하여 우수한 종모돈의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요크셔종이 듀록종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에서 정액량이 많았으며, 정액농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계절별 정액량은 듀록 및 요크셔종에서 봄철이 여름, 가을 및 겨울철에 비하여 많았고, 정자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듀록종과 요크셔종에서 각각 봄철에 생산한 정자가 여름, 가을 및 겨울철에 생산한 정자보다 동결-융해 후 정자운동성 및 정상첨체 비율이 높았다. 한편 듀록종과 요크셔종에서 동결-융해 후 정자운동성은 모든 계절에서 요크셔종이 높게 나타났으나, 정상첨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FSH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이 듀록종보다 모든 계절에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두 품종 모두에서 각각 계절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LH와 estradiol-17β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과 듀록종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두 품종 모두에서 계절 간에 차이가 없었다. 종모돈의 품종별, 계절별 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이 듀록종보다 모든 계절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품종 모두에서 각각 봄철이 여름, 가을 및 겨울철에 비하여 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FSH의 농도가 낮을수록 정액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가 높을수록 동결-융해 정자의 운동성 및 정상첨체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4.
        200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04 in the metropolitan and surrounding areas of Seoul, Korea, was performed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 and outdoor levels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14 residential houses. In addition, indoor/outdoor ratios of PM10, PM2.5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M10, PM2.5 concentrations and respiratory symptoms by self recording questionnaire of 14 houses was investigated. In conclusion,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ail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M10, PM2.5 concentrations and respiratory symptoms among residents, the levels of indoor PM2.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utdoor levels. The indoor PM10, PM2.5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the amount of time spent of residents. Further research should be direct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M10, PM2.5 concentration and respiratory symptoms.
        4,000원
        155.
        200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rk of hairdressers includes washing, coloring, bleaching, permanent waving, conditioning, and cutting scalp hair. Hairdressers are subjected to a number of physical and toxicological hazards. The toxicological hazards are those resulting from exposure to a wide range of chemicals and from chemicals are usually classified active processes. In this study, twenty beauty shops were selected to assess the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VOCs and particulate matter (PM10) during one month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03. Indoor air quality of beauty shops might be worse by vehicle emissions because the beauty shops were generally located near roadway. Personal exposures to VOCs and PM10 were related to indoor concentrations of beauty shops, respectively. According to questionnaire, hairdressers responded sore throat, eye irritation, and nervousness as health effect symptoms. Conclusively, users as well as workers in beauty shop might be highly exposed to air pollutants from indoor sources and outdoor sources. Therefore, proper method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in beauty shop.
        4,000원
        15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태계는 수은의 화학적 형상 및 산업화에 따른 방출로 지속적이면서 다양하게 오염된다. 또한 수은은 화학적 여러 형태로 분류되며 쉽게 기화되는 성질로 인해 수은을 공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근로자들이 쉽게 급성 혹은 만성 중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은의 유독성이 알려져 있기는 하나 생체가 환경에서 노출 가능한 저농도의 수은 영향에 대해서는 정확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이온화 방사선과 염화수은(II)의 영향을 비교해보고자 수행하
        4,000원
        159.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돼지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배양액과 산소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NCSU(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23, PZM(Porcine Zygotes Medium)-3, PZM-4 및 TCM(Tissue Culture Medium)-199 배양액과 5% 산소조건(39, 5% O₂, 5% CO₂, 90% N₂ 및 포화습도) 및 20% 산소조건(39, 5% CO₂ 및 포화습도)에서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 난포란을 5 및 20% 산소조건하에서 NCSU-23, PZM-3, PZM-4 및 TCM-199 배양액에 44시간 동안 성숙을 유도한 결과 난핵포붕괴율과 핵성숙률에 있어서 산소조건 및 배양액간 유의적(p>0.05)차이는 없었다. 2)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정자 침투율, 자ㆍ웅전핵형성률, 다정자 침입률 및 평균정자수에 있어서 산소조건 및 배양액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5 및 20% 산소조건의 NCSU-23, PZM-3, PZM-4 및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난할률에 있어서는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으며. 배발달 7일째 배반포기 발달률에 있어서 5% 산소조건에서는 PZM-3 배양액이, 20% 산소조건에서는 NCSU-23 배양액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4) 배발달 7일째 배반포기 배의 세포수를 조사한 결과, 내부세포괴세포수와 총세포수는 산소조건과 배양액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5% 산소조건에서 PZM-3 배양액(36.8±6.5개)이 다소 높은 총세포수를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돼지체외수정란의 생산에는 5% 산소조건에서 PZM-3 배양액에서 배발달을 유도하는 것이 배반포기 발달률과 세포수에 있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60.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배아의 유리화 동결 시 CB 처리군과 CB 비처리군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CB의 농도별, 처리 시간별로 처리한 뒤 유리화 동결 융해 후 정상적인 형태 회수율과 생존률을 각각 조사하였다. 1. CB를 전 처리한 군과 비처리군의 정상적인 형태율이 각각 84.2%, 81.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융해 후 72시간 째 생존률의 결과에서는 각각 60.5%, 32.8%로 유의성(p<0.1)이 검증되었다. 2. CB 농도별 생존률에 미치는 영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