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2

        141.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서울시 초등, 중학생 100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온라인게임 사용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온라인 게임을 통한 성취는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학교적응의 관계, 그리고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게임에 대한 과몰입의 부정적 영향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그들의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14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과학캠프 참가 만족도 및 효과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생명환경과학캠프’에 참가한 초·중등생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0일부터 8월 11일의 기간 동안 총 385부의설문을 실시, 분석하였다. 캠프참가 이전 과학 흥미도는 초등학교 4~6학년(50.7%), 중학교 1학년(44.3%), 중학교 2학년(39.5%)순이었으며 캠프 이 후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증가한 학년별 차이는 초등학교 4~6학년(68%), 중학교 1학년(63.3%), 중학교 2학년(54.4%)순으로 연구되었다. 캠프의 수업이 학교 과학 수업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관한 긍정적인 응답은 초등학교 4~6학년(71.7%), 중학교 2학년(60.5%), 중학교 1학년(53.2%)순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캠프 재참여 의사는 초등학교4~6학년(56.4%), 중학교1학년(50.6%), 중학교2학년(35.8%)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캠프 참가로 장래희망에 영향을 받은 정도는 중학교1학년(43.1%), 초등학교4~6학년(40%), 중학교2학년(29.6%)순으로 나타났다.
        14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노인과 아동 대상자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 및 아동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 및 노인이미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노인대상자는 전남 무안군 현경면 마산리와 청계면 월선리 노인들이 참여하였고, 아동대상자는 무안읍 성남 어리이집과 청계면 푸른솔 어린이집의 7세 아동들이 참여하였다.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2월 12일 부터 5월 28일까지 주 1회 2시간씩 총 16회 실시하였다.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는 프로그램 전보다 프로그램 후에 점수가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우울 점수는 프로그램 전에서 비해 프로그램 후에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노인들의 아동의 이미지 점수는 프로그램 전보다 프로그램 후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들의 사회․심리적 행동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정서적 행동특성은 프로그램 전 21.47점에서 프로그램 후 19.26점으로 2.21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있었다. 아동들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점수는 프로그램 전 23.57점에서 프로그램 후 31.65점으로 8.08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과 아동 대상자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아동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세대통합 원예활동은 아동들의 정서적 행동특성을 향상시키고,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153.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경증치매노인의 성취감과 만족감이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향후 좀 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대상자들의 특성에 맞는 원예치료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매우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진다.
        154.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평생을 달리 살아온 고국의 문화와 정서를 익히고 외로움을 달래는데 초점을 둔 원예치료 활동이 분석결과 표와 같이 대상자들의 고국생활 적응과 만족에 상당한 영향력을 주었음을 보여준 연구라 할 수 있겠다. 결과에서와 같이 각각의 대상자들이 원예치료활동을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에 만족하기 보다는 사할린어르신들의 살아왔던 생활과 환경에 관한 연구와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로 원예치료가 더 많은 사할린어르신들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겠다.
        156.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아동과 연계한 원예치료 프로그햄이 노인의 욕구충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 하였다. 또한 욕구충족을 통해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D노인주간보호소 에셔 보호를 받고 있는 노인 7명을 대상으로 2005년 2월 14일부터 12월 26일까지 주 1회씩 총 41회를 실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햄은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셜계하였다. 안정욕과 인정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전반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한 작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식물심기와 감자 속 파기 둥과 같은 과거 익숙한 작업을 션택하여 노인들이 쉽게 배워서 아동에게 가르쳐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 감자, 당근, 보리, 창포 둥 과거 친숙한 소재를 제공함 으로써 과거 일을 회상하여 아동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건강을 자랑하고 싶은 생존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당한 힘이 요구되는 작업을 선택하여 아동 스스로 할 수 없을 때 노인들이 도와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노인의 욕구 충족에 의한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원예치료 실시 전은 42.86검에서 실시 후 49 점으로 유의하게(p=.038)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생활만족도의 하위항목별 변화는 과거 차원에서는 원예치료 실시 전 14.57점에서 실시 후 16.86.으로, 현재 차원에서는 18.14점에서 21.43점으로, 미래 차원에서는 10.14점에서 10.71점으로 조금씩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유의생은 없었다. 아동과 연계하여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햄은 우선적으로 유대관계형성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아동들이 대상자에게 많은 것을 묻고 대답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서 대상자들은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 었다. 뿐만 아니라 늘 몸이 불편하여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나약한 존재로만 여겨왔던 것이 이번 활동을 통해 비록 어린 아동이었지만 그들에게 자신들의 능력과 정력을 폰중받을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되었다. 노인들은 본능적으로 자식이나 젊은이에게 사랑을 베풀고 싶어 한다. 이러한 내리사랑을 배풀 수 없을 때에 노인들은 외로움을 느낀다. 이번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노인틀에게 잠시나마 그러한 내리사랑을 베풀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 것이 상당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