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3

        141.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mbarks from a targeted literature review to operationalize classic models of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territory of official Greek tourism websites. The paper explores how cultural awareness is manifested in these spaces through their structure, content and design features vis-à-vis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their users. Key trends are identified and their significance is examined. Through an exploratory qualitative research, the paper identifies the factors that affect user interfaces and argues that web possibilities are not adequately exploited to promote the Greek tourism product. Websites often do not sufficiently embed emerging technologies of the digital era to address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technology-oriented publics. With this as the backdrop, a novel conceptualization of website evaluation is offered which can be tested empirically and evolved to support functions of cultural adjustment. A concrete structure exemplifies the model and helps illustrate the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parameters involved in browsing websites that support the tourism industry. The paper concludes with diagnostic findings and improvement recommendations for destination and professional web spaces to be strategically adaptive to the increasing needs of their diverse audiences.
        5,200원
        144.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s been debate in popular media on brands that used other cultures’ elements in their advertising (Green & Kaiser, 2017). For example, the Dutch brand “Rituals Cosmetics” attempted to promote their Asian-inspired product lines called “Samurai” and “Namasté” by hiring a Caucasian model dressed in a supposedly traditional Asian costume, while posing in a Chinese temple-like setting (Peters, 2018). Because the company’s European origin and the ethnicity of the model did not align with the Asian setting, props and apparel, this marketing activity can be considered an act of cultural appropriation. The advert has since sparked controversy on social media as cultural exploitation or unethical cultural appropriation (Bryanboy, 2018). To avoid such controversy, marketers need to achieve cultural sensitivity while effectively managing culturally overlapping situations (Usunier & Lee, 2005; De Mooij, 1998). A mismanagement of cultural appropriation is potentially eliciting a negative customer response. Hence, it is integral to understand how do customers respond to culturally appropriated elements in advertisement?
        4,000원
        147.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en considering donation, donors may evaluate causes of need and deservedness of recipients (Bekers & Wiepking, 2011). The plight of recipients may be attributed to their misbehaviors (e.g., laziness) or social problems (e.g., poor welfare), which in turn influences donation decisions. To maximize persuasiveness of donation appeals, therefore, marketers of charity events should decide how to describe donation recipients. How potential donors perceive recipient responsibility also interacts with donor characteristics (Lee, Winterich, & Ross, 2014). We investigate how causes of need interact with donors’ cultural background to determine reactions to donation appeals. Drawing upon research on the cultural differences in thinking styles and causal attributions (Fiske, Kitayama, Markus, & Nisbett, 1998), we propose that donation appeals are better accepted when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donors’ cultural background and causes of need than when such correspondence lacks. We find that Westerners and Easterners show distinctive reactions to charity appeals that present different causes of need. Specifically, we demonstrate that Westerners are more attracted to appeals with external causes, whereas Easterners are relatively unconcerned about causes of need. We also offer insight into the process via empathy and outcome efficacy through which cause of need and culture collaboratively affect persuasiveness of charity appeals. Empathy drives the effect for both Westerners and Easters; outcome efficacy drives the effect for Westerners only.
        148.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mploying national consumer panels in the US and Korea (N = 767), this research examined how consumer evaluations of graphic sexual ads on social media differ from those of non-sexual ads, and to what extent such evaluations are influenced b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dividualism vs. Confucianism) and sexual self-schema (SSS) levels.
        149.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A survey was conducted on 589 consumers in Korea (297 people) and China (292 people). The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lower in Korean consumers than in Chinese consum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lower in Korean consumers than in Chinese consumers (p<0.01).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1).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showed the same trend (p<0.001).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The overall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5). The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by Korean consumers’ was higher in their 40s and 50s than in their 20s and 30s.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also high in their 40s and 50s (p<0.01).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by Chinese consumers’ was higher in their 20s and 30s than in their 40s and 50s (p<0.01).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showed the same trend (p<0.01).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p<0.001).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p<0.001). Overall, food technology neophobia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p<0.05).
        4,000원
        151.
        2020.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년 2019년 11월, 세계몽골학회(IAMS)와 사단법인 중앙아시아학회(KACAS)는 우리 나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세계몽골학회 제3차 아시아학술회의>를 열었다. 학술회의 주제는 ‘몽골의 문화유산-고고학과 문헌자료’였고, 세계 10개 나라의 몽골학 연구자 62인이 주 제발표를 하였다. 그 가운데 몽골정부의 문화정책 담당자 3인이 몽골의 문화유산정책과 몽골학 정책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몽골정부의 문화정책과 몽골학 정책에 대해 언급하고, 세계 각국이 개최한 전시사례를 중심으로 흉노, 튀르크, 위구르, 거란, 몽골제국 등 몽골의 문화자산을 바탕으로 중앙유라시아의 문화정체성을 어떻게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5,200원
        15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oldwork embroidery is the art of embroidery using metal threads. As well as being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religious clothing, flags, performing costumes, uniforms, and badges, goldwork embroidery is also used in many current designer collec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echniques and materials of goldwork embroidery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values of goldwork embroidery from its beginning to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is study, various embroidery works, costumes, museum portraits,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nsition of goldwork embroidery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 The beginning of goldwork embroidery; the golden age of goldwork embroidery; the maturity of goldwork embroidery; and various goldwork embroidery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d, usage, and design features). The earliest extant example is the “Maaseik fragments” in Belgium dating from the late 8th to early 9th centuries. Until the 15th century, the Church was the most important patron of goldwork embroidery; however, after the 15th century, goldwork embroidery was produced on costumes. Second, the social-cultural values of goldwork embroidery (based on transition and formative features) were classified as expression of divinity, instrument of governance, desire to be approved, and tools of self-expres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vident that there have been many advances in both technique and technology over time. Furthermore, patterns of usage and social-cultural values of goldwork embroidery have changed significantly.
        5,200원
        153.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제 전략적 제휴에서 파트너 간 문화적 거리가 점진적 혁신 성과와 급진적 혁신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동일 산업 간 제휴 및 이종 산업 간 제휴의 차이로 대표되는 파트너 간 산업 지식 기반의 차이가 독립변수의 효과를 조절하는지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 차이에서 비롯된 파트너 간 인지적 거리(recognition distance)가 혁신에 필요한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논의와 이러한 영향력이 산업 환경의 지식 기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는 관점 하에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의 기간 동안 139개의 국내 코스닥 상장 기업이 체결한 364건의 국제 전략적 제휴를 표본으로 특허 창출 건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음이항 회귀분석(negative binomi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휴 파트너와의 문화적 거리가 멀수록 점진적 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급진적 혁신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900원
        154.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일본은 역사, 정치, 외교적 측면에 더해 경제적으로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일본인이 멤버 로 속해 있는 케이팝 아이돌 그룹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일본에서는 한국 드라마와 케이팝이 다시 유행하고 있다. 이는 한일 정부 간의 관계 는 악화되어도 민간 차원에서의 교류는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이 바로 한류를 통한 교류이다. 2004년에 일본에서는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가 크게 흥행하며 한류붐이 일어났다. 이를 통해 한국에 대한 일본인들의 인식 개선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렇다면 겨울연가의 흥 행으로 인해 시작된 일본내의 한류붐은 한국과 일본 간에 어떠한 문화적 상호작용을 촉진시켰고, 또 그것이 어떻게 일본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일어난 현재의 케이팝 열풍으로 이어졌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 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한류를 통해 양국 간에는 어떠한 문화적 특징이 생겼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우선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고찰과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그 다음에 겨울연가로 시작된 일본의 초기 한류붐을 재조명한 후, 현재 일본의 케이팝 열풍에 대해 연구한다. 그리고 일련의 연구 과정을 통해 알 수 있었던 한일 양국 의 문화적 특징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6,600원
        155.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rigin of the ‘rainbow’ in oracle bone inscriptions has been debated in the academic circles, but no final conclusion has yet been found. According to what the ‘rainbow’ in the oracle bone inscriptions looks like, scholars roughly divide it into two categories: the ‘snake’ and ‘dragon’. Reviewing previous argumentations on this issue and resting on comprehensive analysis of various views, this paper traces the academic origin of the ‘rainbow’ in the oracle bone inscriptions, and, at the same time, takes the ‘rainbow’ as the ‘dragon with two heads’, one of the description views on it. Furthermore, it, by means of combining with some arguments over the present archaeological results and discussing again relevant points of them, puts forward an argument that the ‘rainbow’ in the oracle bone inscriptions was taken from the image of the ‘dragon’. On the basis of this argument and relevant theories of philology, archaeology and cultural anthropology, it reinterprets the cultural connotation of ‘auspicious and ominous symbols’ and ‘gender metaphor’, both of which are unique to the special natural phenomenon of the ‘rainbow’ in Chinese culture. Analyzing the cultural meanings such as pouring rain, giving birth to an emperor or a sage, fornication and reproduction, etc. also helps to explain the cultural interconnectedness between the ‘rainbow’ and ‘dragon’ or, more specifically, dragon worship-related cultural prototypes of China.
        5,100원
        156.
        2020.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9개의 문화예술향유 분야 중 영화분야의 이용실태를 비교분석하여 문화복지 관점 에서 예술영화관람 증진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19년 국민문화예술실 태조사’를 원자료로 하여 문화예술향유 분야의 이용실태를 분석하였고 그중 영화분야의 자료만을 뽑아서 인천지역과 비교하여보았다. 분석결과는 전체적으로 인천지역 포함 지역규모별,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영 화에 대한 관람경험이 높았으며, 영화관람 의향과 관람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기초로 영화를 매개로 하는 문화예술향유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삶의 질 향상, 자아성찰적 만족을 제공하는 예술영화관람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회의 문화수준을 높여 문화복 지사회를 만들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8,100원
        15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목적은 문화산업 창업자의 능력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작자의 의도는 문화산업 창업자의 능력 발 전과 함께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가치 있는 건의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강서성의 문화산업계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로 창업자의 특성을 평가하였고, 주로 사용된 요소는 성취경향, 혁신경향, 진취경향, 모험적경향이다. 자기 효능감 의 구성 요소는 자기 효능감, 자아조절 효능, 임무 난이도 구별 능력 과 사회적 효능감이다. 분석방법은 주파수분석, 서술성 통계 분석, 신뢰성분석, 관련성분석과 다원성 귀납분석이다. 모든 통계 분석은 현저성수준 p<0.05에서 검증하고 SPS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산업 창업자의 능력 이 자기효능감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문화산업 창업자의 능력이 창업의지에도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문화산업 창업 자의 능력은 창업의지에도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결과의 기초 하에, 작자는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업계와 정부에 건의를 다음 과 같이 제출한다. 첫째, 문화산업계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모든 창업자들은 훈련을 통하여 자신의 특성을 개선해야 한 다. 자신감, 자아조절효능, 임무 난이도 분별능력과 사회자기효능감으 로 구성된 창업자의 능력 제고교육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 련의 조치를 통하여 문화산업 창업자의 교육을 증가시켜 5가지 특성 의 경향을 높이여 자신의 창업의지를 높인다. 셋째, 각종 교육훈련과 문화산업정책을 통해 문화산업 창업자의 늘력을 제고시켜 높은 창업 의지의 유지를 보장한다.
        8,700원
        158.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와 도시의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을 목적으 로 하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국가와 도시 브랜드 이미지의 개념과 사례, 그리고 문화상품 대한 이론적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문화상품 제작과정을 한국과 부산의 도시브 랜드 이미지의 디자인 연구와 한국과 부산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 상품 개발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브랜드를 다른 상품과의 차별화를 위한 가 치부여라고 정의한다면, 국가와 도시브랜드 역시 차별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가 브랜드와 도시 브랜드는 특정 국가와 도시가 가지 는 다양한 환경, 기능, 시설, 서비스 등에 의해 다른 국가와 도시로부터 구별되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문화상품은 상품화의 가능성이 상대적으 로 낮았던 문화를 원천으로 하여 만들어진 상품으로 일반상품에 비해 상대적 고부가치성을 가진 상품이다. 국가와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입힌 디자인을 기 초로 하는 고부가치성의 문화상품은 국가와 도시를 새롭게 각인시키는 데 긍 정적인 기제로 사용이 가능한 상품이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상징과 과거와 현재를 담고 있는 부산의 브랜드 이미지 를 스토리텔링 방법을 적용하여 패턴화 하여 총 200여종의 문화상품을 제작하 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한국과 부산의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들 은 기존 한국과 부산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며,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방문지로서 한국과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라 자평할 수 있다.
        6,900원
        15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표고버섯의 맛과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동아시아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기후변화와 재배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표고버섯 품종개발의 요구도는 날로 높아지는 실정이다. ‘밤빛향’은 산백향과 산조707호을 모본으로 하여 일핵 균주간의 교잡을 통해 새로이 육성된 품종이다. 배양기간 은 100일이며, 발생온도가 11-20°C로 한여름과 한겨울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 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다. 버섯의 형태는 평반구형으로 대는 갓의 중심에 위치하며, 갓의 직 경은 69.6 mm이며, 갓의 두께는 15.2 mm이다. 버섯 갓의 색깔은 진한 갈색으로 일반적인 표고의 갓 색깔보다 짙다 . 버섯의 주름살 측면의 모양은 부정형으로 주름살의 밀도는 보통이지만, 폭이 좁다. 인편의 색깔은 옅은 미(米)색 이며 인편은 갓의 전체에 퍼져 있다. 대의 모양은 기둥형과 깔대기형이 섞인 모양이고, 색깔은 옅은 미(米)색으로 주름살의 색깔과 같다. 대의 표면에는 털이 있으며 털의 색, 대의 털 색, 갓의 인편 모두 옅은 미(米)색으로 존재한다. 버섯은 산발 발생하여 솎아주기가 거의 필요 없다. 모 균주인 산백향과 산조 707호와의 대치배양에서 확연하게 대치선을 형성하였다. 종합적으로 자실체의 형태는 정성적으로 양호한 평가를 얻었고 정량적으로 대조품종 산백 향의 대길이보다 약 9% 줄이는 효과와 갓두께는 16.9% 두꺼운 결과를 얻었다. 목표로 했던 모균주 산조707호의 짧은 대길이의 특성이 유전되었고 산백향의 생산성이 유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0.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문화재단 설립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문화재단 설립의 법적 근거를 파악하고, 지역문화재단 운영 시 예상되는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타 지역문화재단의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문화재단 설립의 필요성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재단의 설립을 검토하고 고민하는 관계자들과 연구자들에게 문화정책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지역문화재단의 설립 필요성은 크게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문화재단은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업무를 수행을 통해 공공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지역문화 예술진흥을 위해 민간영역의 참여는 매우 중요하며, 민간영역의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지역문화재단은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지역문화재단 설립은 공공재인 지역문화 예술을 활성화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돌려줌으로써 공공복리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과제로는 지역문화재단의 구조적 문제인 운영의 자율성과 안정적 재원확보를 위해 인사권의 독립, 안정적 재원확보, 감사권의 독립, 재단 설립의 폭넓은 공감대 형성, 사업 방향의 정립으로 도출되었다.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