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2

        16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crostructure and hardness of (W,Ti)C cemented carbides with a different metallic binder composition of Ni and Co fabricated by powder technology were investigated. The densifications of the prepared materials were accomplished by using vacuum sintering at . Nearly full dense (W,Ti)C cemented carbides were obtained with a relative density of up to 99.7% with 30 wt.% Co and 99.9% with 30 wt.% Ni as a metallic binder.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W,Ti)C-Co and the (W,Ti)C-Ni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metallic binder content. The hardness of the dense (W,Ti)C-15 wt%Co and (W,Ti)C-15 wt%Ni,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related cemented carbides; in addition, the cobalt-based cemented carbides had greater hardness values than the nickel-based cemented carbides.
        4,000원
        164.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6년 1급 정교사 자격 연수를 받고 있는 지구과학 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야외 지질 학습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경험, 야외 지질 학습의 어려운 점과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의 방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구과학에서 야외 지질 학습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양성과정에서 야외 지질 답사를 경험하였지만,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하는 방법을 배운 교사는 많지 않았다. 교직에 들어와서 야외 지질 답사를 다녀본 경험이나 학생들을 인솔하여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한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하기 어렵다고 인식하였으며, 가장 어려운 이유로 교사 자신의 경험 부족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직 교사 연수를 통한 야외 지질 학습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야외 지질 학습의 사전 활동으로 야외 지질 학습 장소의 지질학적인 소개나 설명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활동 중에는 교사의 안내와 학생들의 협동학습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사후 활동으로는 야외 지질 학습 결과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4,000원
        165.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초임 과학 교사들의 실험수업을 관찰하여 실험 수업에 참여한 교사들의 탐구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신규 임용된 교사를 대상으로 전화 면접을 통해서 8명을 선발한 후, 구두 면담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4명이 선정되었다. 실험 주제는 학생들의 조작적 활동이 많은 내용으로 교과서에 있는 실험으로 연구자가 제시하였으며, 수업 기술 발달 분석을 목적으로 1년 후에 같은 주제로 수업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알아낸 참여 교사들의 탐구 수준은 확인 탐구 수준 또는 구조화된 탐구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1년 후에 조사한 참여 교사들의 탐구 점수가 범주별로 약간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확인 탐구 수준과 구조화된 탐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초임 과학 교사들의 수업 발달에 대한 기초 연구와 실험 수업을 개선하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4,000원
        16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중등 과학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대해서 어떠한 지향을 하고 있으며, 그것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과학 교사 6명이다. 자료 수집은 수업 관찰 및 녹화, 구조화된 심층 면담과 우선순위 면담, 수업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면담 자료를 전사한 후, 분석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과학 교사들은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해 '관리 중심 과학 수업'에서부터 '전통적 과학 수업'까지 지향하고 있었으며,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은 지향하지 못하였다. 지향하는 바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한명의 교사는 전문 단계의 실행 수준을 보여주었지만, 나머지 교사들은 초보 단계의 실행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교사들에게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한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6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생의 정의적 태도는 지적 성취에 의미있는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성취 그 자체도 학교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에 대한 국내 외의 선행 연구 자료 분석과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1)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2) 과학에서 도구적 동기유발, (3) 과학(학습)에서의 긴장감, (4) 과학에서 자아 개념 등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교과목에 대한 태도 측면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내적 동기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도구적 동기 유발 및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에 대한 자신감 등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결국 이공계 기피 현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또는 작년보다는 올해 수업이 더 재미없는 이유로 내용이 어려우며, 실험이나 활동을 하지 않고, 교사가 설명위주로 진도를 나가기 위한 지루한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상 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개선, 최소한의 과학 수업 시수 확보 등의 측면에서 정의적 영역 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4,000원
        170.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700원
        171.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olic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France and to analyze its effect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cluding the changes that have recent1y taken place. Under the assumption that languages ref1ect their culture, the administrative of France has tried to co、rer a variety of languages in Europ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se efforts, however, appear to be unsuccessful due to the financial problems and the heavy emphasis on particular languages based on the social and economical reasons. Nevertheless, these efforts are valued highly, and provide some insights to the cωurre Korea.
        6,000원
        172.
        200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000원
        175.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he focus is on the analysis of carbothermal reduction of oxide powder prepared from waste WC/Co hardmetal by solid carbon under a stream of argon for the recycling of the WC/Co hard-metal. The oxide powder was prepared by the combination of the oxidation and crushing processes using the waste hardmetal as the raw material. This oxide powder was mixed with carbon black, and then this mixture was carbothermally reduced under a flowing argon atmosphere. The changes in the phase structure and gases discharge of the mixture during carbothermal reduction was analysed using XRD and gas analyzer. The oxide powder prepared from waste hardmetal has a mixture of . This oxide powder reduced at about , formed tungsten carbides at about , and then fully transformed to a mixed state of tungsten carbide (WC) and cobalt at about by solid carbon under a stream of argon. The WC/Co composite powder synthesized at for 6 hours from oxide powder of waste hardmetal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of .
        4,000원
        17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나라 문자를 접하면서 진대(秦代) 예서와 비슷한 자형을 발견하고 예서의 시작은 진대(秦代)에서부터가 아니라 그 이전 전국시대 동방문자에서도 나타났던 현상임을 알게 되었고, 그 예를 초국문자 중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 결과 초간(楚簡)이나, 초박서(楚帛書), 초금문(楚金文)의 자형에서 적지 않은 예변 현상들이 일어났고, 그 현상들은 예변현상(隸變現象)의 초기적 형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예변현상은 계속 일어나서 진대(秦代)와서는 예변의 형태가 완정(完整)적인 형태가 되었다. 그래서 이전 학자들은 예서가 진대에서 발생했다고 하지만, 그 발생시기는 진대가 아님이 확연해졌다. 예변현상은 전국시대 당시 동방 각국의 보편적인 현상이었으며, 이것을 “고예(古隸)”라고도 부른다.
        5,800원
        17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북한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TIMSS의 분석틀에 따라 비교하고 그 연계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 내용은 TIMSS 지구과학 영영 내용 분석틀의 학습요소들을 상당히 많이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그 내용의 수준과 범위는 한국의 교과서가 북한의 교과서보다 탐구적이고 정량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IMSS의 지구과학 영역 내용 분석틀의 내용요소 총 70개 중에서 한국은 74.4%에 해당하는 52개의 내용요소가, 북한은 67.1%에 해당하는 47개의 내용요소가 초 · 중등학교에 각각 반영되어 있고, 학교급간 관련 정도는 한국의 경우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간의 관련성이 높은 반면에 북한은 고등학교 내에서의 관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 내용요소의 연계성 유형은 한국의 경우 13.4%가 중복, 77.0%가 연계, 9.6 %가 격차를 보였다. 그리고 북한은 14.9%가 중복, 63.8%가 연계, 21.3%가 격차를 보였다. 이로써 한국의 과학 교과서의 내용이 북한에 비해 보다 탐구적이고 정량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TIMSS의 지구과학 내용요소가 보다 많이 반영되어 있고, 내용(개념)의 연계가 보다 잘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4,000원
        17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recognition on the mushrooms by elementary school pupils,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dietitians were-carried out. The ways of cooking mushrooms by school dietitians were also investigated. Most students and dietitians highly recognized mushrooms as good food. The most favorite mushroom was Flammulina velutipes, the cooking of mushrooms with meat and the hot mushroom soup with meat(Jungol) being the most preferred cooking methods. School ditetitians like to use mushrooms in school lunch and generally use medium or high duality mushrooms. Students, however, do not tend to prefer mushrooms compared to other vegetables. Mushroom dishes that can promote the consumption by students are mushroom bulgogi, mushroom pizza, sweet and sour mushroom in the orde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