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

        16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amorphous steel fiber and organic fiber. For this purpose, the 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taining amorphous steel fiber(ASF) and polyamide(PA) fiber were made according to their total volume fraction of 0.5% for water-binder ratio of 33%,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workability, compressive strength, and direct tension strength of those were evaluated. It was observed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SF and decreasing PA fiber. but the direct tension strength was on the whole increased with increasing ASF and decreasing PA fiber.
        16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showed evaluations of mechanical performances of High-Performance Fiber Composite Mortar which made by cement free binders with Alkali-activated slag and PVA fibers with the volume fraction of 1~1.5%. Specimens were subjected to compressive, tensile and shear strength test and the test results showed their high performance mechanical characteristics.
        16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nsile proper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according to addition of plastic bea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PS beads induced the decrease of crack width and increase of number of cracks while maintaining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strain capacity.
        165.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when we pour the concrete, doing bonding shear performance evaluation to search the influence about an adhesive interface by a generated cold joint with a retardation time. In conclusion,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 higher a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is, the higher a reduction ratio of the bonding shear strength is, and the instance of a none agitation and a compaction with 15 minutes of a retardation time are the lowest influence in a whole of the results; each of the reduction ratio of the bonding shear strength is approximately 4.5%.
        166.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rix strength on the direct tensile behavior of high performance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HPHFRCCs) at high strain rates. 3 different type matrixes were used (56 MPa, 81 MPa and 180 MPa). And macro fiber was long hooked fiber (H, =0.3 mm,=30 mm) and micro fiber was short smooth fiber (S, =0.2 mm,  =13 mm). The volume content of macro fibers was 1.0% and the volume content of micro fibers was 1.0%. The high matrix strength clearly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and peak toughness of HPHFRCCs even at high strain rates (74 ~ 161 /sec).
        167.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concerns the flexural behavior of hybrid steel fiber-reinforced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beams. It presents experimental research results of hybrid steel fiber-reinforced UHPC with steel fiber content of 1.5% by volume and steel reinforcement ratio of less than 0.02. The comparison of moment-curvature curves of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with the test results shows a resonable agreement.
        16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flexural characteristics of 180MPa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reinforcing steel. In this study, the bending test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flexur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lap-splice length. The stability of the lap-splice length proposed the structural design codes are evaluated on load-displacement.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uctility has increased when the lap-splice has increased.
        16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flexural characteristics of 180MPa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reinforcing steel. In this study, the bending test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flexur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cover depth. The stability of the cover depth proposed the structural design codes are evaluated on load-displacement.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uctility has increased when the cover depth has increased.
        170.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기유량측정의어려움을극복하고자물과비접촉식으로유속을측정하여유량을산정하는전자파표면유속계를개발하여실무에적용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 중인 전자파표면유속계는 홍수용으로 연중 활용도가 낮아 이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성능개선을 통하여 유속측정범위를확장하여평․갈수기에도하천유량측정이적용할수있게하였다. 즉기존홍수용전자파표면유속계의유속측정범위가0.5∼10.0 m/s이었던 반면, 금번 개발된 고성능 범용 전자파표면유속계는 0.03∼20.0m/s로 홍수기뿐만 아니라 평수기에 유속측정이 가능하도록 성능을 개선하였다.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한 저유속의 측정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를 조사한 결과, 송신신호의 수신단 유입을 차단하여 저유속의 미세한수신신호에대한검출능력을향상할수있도록송수신격리도의개선, 이와함께공진기의위상잡음특성개선이저유속의검출에필수사항 임을파악하였다. 따라서이를감안하여안테나의송신부와수신부가분리된안테나를개발함으로써송수신격리도를개선하였고, 기존공진기의 위상잡음특성을개선하기위하여위상고정주파수합성기를공진기로적용함으로써저유속검출성능을개선하였다. 또한고성능범용전자파표면 유속계의 사용편의성 증진을 위하여 안테나의 소형, 경량화 제작을 가능토록 하고자 사용주파수(10 GHz→24GHz)를 변경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존전자파표면유속계사용자들의개선요구사항-측정유속안정화, 자체점검기능, 저전력, 방수방습-을반영함으로써현장에서유량측정하기에 간편한 기기로 개발하였다.
        171.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SIFCON 형태의 고성능 강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섬유혼입률에 따른 휨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슬러리를 충전하는 형태로 일반 섬유보강시멘트와 달리 높은 섬유혼입률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주요 실험변수는 섬유혼입률 8.0%, 7.5%, 7.0%, 6.5% 및 6.0% 이며, 각 변수에 대한 휨강도 및 휨인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높은 섬유혼입률로 인하여 초기균열 발생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하중이 증가하였으며, 최대강도 이후 충분한 잔류강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최대 50MPa 수준의 높은 휨강도를 발현하였으며, 섬유혼입률에 따른 휨강도 및 휨인성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172.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높은 강도와 유동성을 갖는 우수한 재료 특성을 나타내는 콘크리트이다. 그러나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에 비하여 낮은 연성을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마이크로섬유의 조합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섬유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현무암섬유 조합에 따라 4가지 초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였고, 인장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직접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제조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기포를 생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밀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인장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현무암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균열강도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의도하지 않은 기포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173.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UHPC)와 보통 콘크리트 (NSC)간 계면부착강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UHPC를 보수⋅보강재 로 활용하기 위한 기존의 부착강도에 관한 연구와 달리, UHPC를 프리캐스트 합성부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여기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UHPC-NSC 계면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계면의 형상, 합성 전 UHPC의 경화 진행상태, 합성 전 UHPC의 수분 흡수상태, 그리고 합성 후 양생장소와 같이 크게 4가지 로 구분되었다. 계면의 형상을 변수로 한 실험에서는 형상에 따라 각기 다른 파괴모드가 나타났으며, 기존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거칠 게 처리한 UHPC 계면 일부가 파괴되는 새로운 파괴모드가 발견되었다. 합성 전 UHPC의 경화진행 상태가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은 부착 파괴모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합성 전 UHPC의 수분상태가 부착강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UHPC의 양생방법에 따라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합성한 시편의 양생조건 역시 계면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을 확인하였다.
        174.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mprove the quality of polyurea paints, the conventional polyurea heat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performance was confirmed with the test method of KS F 4922 and KS M 6080.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nhanced polyurea paints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concrete and asphalt concrete.
        17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초고성능 콘크리트가 RPC의 개념을 상용화하면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RPC에 강섬유를 혼입하여 100 MPa 이상의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게 됨에 따라, 급작스러운 취성파괴를 방지할 수 있었으며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를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높은 강도 수준은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 시 신뢰성의 확보가 어렵게 됨에 따라 재료의 성능에 기반한 상세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설계에 적용할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지표의 추정이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80MPa~200MPa 수준의 압축강도를 보유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재료 시험을 수행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기계적 성능을 검토하였다. 시험 결과 초고성능 콘크리트 또한 보통강도 또는 고강도 콘크리트 영역에서 나타나는 압축강도와 기계적특성 사이의 관계가 불안전측의 추정을 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기존 연구로부터 수집된, 쪼갬인장강도 원주형 공시체 시험 결과와 프리즘 공시체의 시험결과를 활용하여 기존의 추정식들을 평가하였다. 통계적 평가 결과 시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상승과 함께 낮은 수준의 정확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행된 시험 결과와 수집된 시험 결과들을 사용하여 넓은 압축강도 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기계적 성질의 추정식을 도출하였다.
        176.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모노파일지지구조의 고성능 그라우트연결부의 부착거동을 다루고 있다. 강관파일 연결부의 일체화를 위하여 섬유보강 고성능 그라우트를 개발하였으며, 재령 7일 압축강도 125MPa와 직인장강도 7.5MPa를 나타내었다. 축하중을 받는 상태에서의 그라우트의부착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관파일에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부착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존의 설계기준과 분석하였다. 실험변수는 섬유혼입율 (0%, 0.5% and 0.9%), 섬유의 형상비 (60 and 80)와 전단키의 높이와 간격의 비 (0.013 and 0.056)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최대부착강도는 30.8MPa로 관찰되었으며, 섬유 혼입율보다는 전단키의 높이와 간격의 비가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77.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rolling fatigue tes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atigue performance of the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UHPC) ribbed deck for cable-stayed bridge.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is developed deck system has sufficient fatigue performance and serviceability as a bridge deck.
        178.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evaluation of compressive strengths and coefficients of chloride ion diffusion in concrete specimens using plain, chemical admixture PNH deveoped for anti-chloride corrosion,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B company and blast furnace of granuate slag(BSF). It is found throughout experiments that most cases of compressive strengths are almost similar except using BSF, but the PNH has the highest resistance against chloride attack.s
        17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bond performance of grouted joint with high performance cement grout was verified. The grout which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rout was over 120MPa. was applied for wind turbine tower connections. From the results, the connection joint using high performance grout has sufficient bond strength.
        18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합소재는 가벼운 중량과 높은 비강성 및 비강도의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방재를 위하여 층간 분리 손상을 갖는 복합소재 구조에 대한 유한 요소 모델링을 엄밀한 고차항 판 이론에 근간하여 수행하였다. 3차원의 층간분리 현상을 절점당 7개의 자유도를 갖는 2차원 유한요소로 정식화하여 층간분리영역 경계에서의 변위를 일치시키기 위한 변환기법을 적용하였다. 유한요소 정식화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의 세가지 타입의 요소를 적용하였다. (1) 층간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영역 (2) 층간분리가 일어난 영역에서의 요소 (3) 층간분리가 시작되는 경계 영역에서의 요소. 층간분리 영역은 동일한 위치에서 층간분리의 윗부분 요소와 아랫 부분 요소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