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3

        16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미기록속인 낫어리염주벌속(Psilomma Förster) (신칭)과 미기록종인 낫어리염주벌(Psilomma dubium Kieffer) (신칭)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그에 따라 본 속을 동구북구 지역에 최초로 보고한다. 재기재문 및 주요 형질에 대한 사진을 함께 제시한다.
        3,000원
        16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원집게벌속(Anteon)의 국내 미기록 3종, 짧은원집게벌(Anteon brachycerum (Dalman)) (신칭), 한줄원집게벌(Anteon confusum Olmi) (신칭), 광교원집게벌(Anteon infectum (Haliday)) (신칭)을 기록한다. 검색표, 식별형질, 주요 형질에 대한 그림 및 사진을 함께 제시한다.
        4,000원
        16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d monthly meal composition and type of foods prepared for Dalye (ancestor rituals) over a period of 1 year based on the records in Sakmangdalye-deungnok and reviewed the ingredients for Dalye foods. From the results of our survey, 19 to 20 dishes were served in Sakmangdalye. 24 to 25 different foods were served in Sakdalye. Foods for Sakdalye consisted of Silkwa, Jogwa-Gwapyun, Jeongkwa or Suksilkwa, Hwachae-Sujeonggwa, Tteok, Cho, Jeonyueo, Sugyuk, Jjim, Hwe, Po, Sikhye, Tang, main dish-Guksu or Mandu, and Jang. Ingredients used in Sakmangdalye were recorded in a very integrated and simple manner in Sakmangdalye-deungnok. All ingred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Kwasil (Fruits), Byeongmisikseung (Rice cakes etc.), and Muyeok (purchases). Sakmangdalye-deungnok was helpful in consulting dishes and ordering ingredients when a table for Dalye was set. Moreover, it was written simply enough so those who were in charge of preparing food could easily understand. This paper establishes Sakmangdalye-deungnok as one of the key materials for Royal Cuisine.
        6,300원
        16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nocallis Matsumura 속은 전세계 19종이 포함되는 비교적 큰 속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라오스에서 바나바 (부채꽃과: 배롱나무속)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알락진딧물 일종, Tinocallis himalayensis Ghosh, Ghosh & Raychaudhuri, 1971를 처음으로 발견하여 보고한다. 유시형 처 녀생식세대의 암컷 형태, 생태 및 피해 사진을 함께 제시하였다.
        4,000원
        16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금좀벌아과의 4종 Diglochis sylvicola (Walker), Lariophagus obtusus Kamijo, Mokrzeckia lazoensis Tselikh, Paracarotomus cephalotes Ashmead과 가시금좀벌아과 아과의 4종 Lamprotatus duplicatus (Kamijo), L. hikosanus (Kamijo), Stictomischus momoii Kamijo, S. scaposus Thomson을 처음 보고한다. 이 중 3속 Diglochis Förster, Paracarotomus Ashmead, Stictomischus Thomson 은 한국에 처음 보고되는 속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산 금좀벌아과와 가시금좀벌아과의 속 검색표와 진단 형질의 사진을 제공하였다.
        4,000원
        16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임상용어체계 표준화를 위한 후속 연구로 작업치료 기록의 분류 및 세부치료 행 위에 대해 용어를 확립한 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여 한국형 의 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들이 근무하는 의료 기관을 대상으로 지역별, 병원종별, 사례별 임상에서의 작업치료 행위 기록현황 결과를 기반으로 국제 기능, 장애 및 건강에 대한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와 작업치료 실행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를 근거로 5단계의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고 타당도 검증은 내용타당도 지수를 산 출하였다. 결과 :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9개의 대분류는 감각치료, 지각치료, 인지치료, 신경근ㆍ골격계 치료, 연하치료, 활동 및 참여–이동 및 움직임, 활동 및 참여–기본적 일상생활활동, 활동 및 참여–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활동 및 참여–그 밖의 작업치료로 구성되었다. 내용타당도 검증결과 임상 작업치료 용어 에 대한 전체 내용타당도 지수는 .89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향후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를 활용하여 활동 및 참여 중심의 작업치료 문서 화가 가능해지고,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의 사용빈도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작업치료 보험수가 개발 및 확대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4,500원
        169.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Gyu-nam. 2016. “Nation lead ideology and Social taboo emerged from Personal Records of a man in rural Korea”.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1). 37~65.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nation lead ideology and social taboo in the modernization era based on the language life history memoirs and diary of an old man in a rural area of Korea. Modern society in korea was built up through the colonial period, separated government of south-north Korea and the Korean war, Saemauel Undong. ≪Weolphayugo≫ and ≪Changphyeong diary≫ are a village dimension report on these periods. Even though the writer is an average person who adapted to the process of making a nation in each period successfully, he caused conflict with his family and neighbors constantly. His conflicts were caused by his attitude about the ideology of making a nation. It is modernity that influenced his conscience. It's affect on his conscience caused conflict with his family. He was the centre of power in the village in every period and is a typical self-made person. But his life was not happy and he became thought of as a troublesome person. In fact he was a victim of making a nation by each government in Korea. His success made him proud of by himself but it was a trap that made him a troublesome person in his family and village. Every society with conflict of a cross-cultural period and every nation should reflect upon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taboo seriously. This paper is beneficial for us because we can think back on ourselves in inter-cultural society.
        6,700원
        17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거저리과(Tenebrionidae)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큰 그룹으로 세계적으로 2,300속 20,000여종이 기록되어 있고(Zhang, 2011), 형태적으로 다양한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저장곡물 해충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골판지트랩(30×30cm)을 이용하여 전국의 미곡종합처리장(RPC)에 발생하는 저장곡물해충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거저리과의 미기록 해충인 Cynaeus angustus (LeConte)를 확인하여 보고하는 한편, 저장곡물에 발생하는 국외종 4종(Ulomina carinata Baudi; Gnatocerus maxillosus (Fabricius); Tribolium destructor Uyttenboogaart; T. madens (Charpentie)을 포함한 17종의 거저리과 해충에 대하여 일반인도 쉽게 동정할 수 있고, 식물검역과정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디지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 대화형 도해검색표를 작성하였다.
        17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 the records related to the reign style and the calendar day from the epigraphs of the Goryeo dynasty (918 - 1392) in Korea in order to verify and supplement the sexagenary cycle data of the first day in the lunar month of the dynasty. The database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e Heritage contains a rubbed-copy image, transcription statement, and translation statement for Korean epigraphs as well as 775 epigraphs corresponding to the Goryeo dynasty. The epigraph records are valuable in that, during this time, they were written differently from other historical literature such as the Goryeosa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which was compiled in the next dynasty. We find that the Goryeo dynasty, in general, had adopted the reign styles of Chinese dynasties at that time. We also find 159 calendar day records all showing good agreement with the work of Ahn et al. except for dozens of records. Through this study, we can verify the reign styles and the calendar days of the Goryeo dynasty.
        4,000원
        173.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psolopha속 (나비목:Ypsolophidae)의 2종, Ypsolopha vittella (Linnaeus, 1758)와 Ypsolopha nigrofasciata (Yang, 1977)를 우리나라에서 는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두 종의 진단형질, 기재, 분포, 기주식물, 성충사진 및 암컷 생식기 사진을 제시하였다.
        4,000원
        174.
        2016.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ggests a prediction model of ground motion spectral shap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records in Korea. Based on the Graizer and Kalkan’s prediction procedure, a spectral shape model is defined as a continuous function of period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x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odels. The approximate spectral shape function is then developed with parameters such as moment magnitude, fault distance, and average shear velocity of independent variables. This paper finally determines estimator coefficients of subfunctions which explain the corelation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using the nonlinear optimization. As a result of generating the prediction model of ground motion spectral shape, the ground motion spectral shape well estimates the response spectrum of earthquake recordings in Korea.
        4,000원
        17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미기록종 Pyemotes moseri Yu et Liang (Acarina: Pyemotidae)는 곤충기생성 응애로 매실 씨앗 속 유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응애가 기생하고 있었던 기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는 실험실 조건하에서 P. moseri의 번식과 기생 능력을 조사하였다.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을 기주로 이용하여 P. moseri의 교미한 암컷 성충을 사육하면서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새로 태어나는 자손의 수와 성별을 조사한 후 제거하였다. 기생 능력 조사는 원예용 상토가 깔린 스테인레스 바 트에 대량 사육한 응애가 들어 있는 튜브와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충이 가해한 매실 씨앗을 함께 담은 후 지퍼백에 넣어 인큐베이터에 보관하였다.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충 또는 번데기에 응애의 기생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달 후 매실 씨앗을 조사하였으며 본 실험은 5반복씩 3회 실시하였다. 교 미한 암컷이 기생하기 시작한 이후부터 생식이 끝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24.4일(n=8)이었으며 교미한 암컷 한 마리당 평균 104.0마리(n=8)의 암컷을 낳았디.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 또는 번데기가 들어 있는 매실 씨앗은 바트당 평균 7개 이상이었고 이중 단 2개의 씨앗에서만 기생에 성 공한 응애를 관찰하였다.
        4,000원
        17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물총채벌레아과의 중국 남부에서만 알려졌던 고들빼기총채벌레(신칭, Caliothrips tongi Mound et al.)를 한국에서 처음 보고한다. 이 종은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아시아 원산인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국화과)가 주요 기주이고 잎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4,000원
        17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딱부리반날개속(Stenus Latreille)의 8종에 대해 보고한다. 이들 중, 3종(Stenus burjaetus Puthz, S. depressus Puthz and S. gibbicollis J. Sahlberg)은 한반도산 미기록종이고, 나머지 5종은(S. coronatus coronatus L. Benick, S. decoratus L. Benick, S. koreanus Puthz, S. rugipennis Sharp and S. sharpi Bernhauer and Schubert)은 남한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들이다. 8종의 성충 사진, 수컷의 생식기 및 9번째 복판에 대한 그림과 한국산 딱부리반날개속의 종 검색표를 제공한다.
        4,000원
        17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하늘소과의 미기록 Parechthistatus속을 처음 확인하고, Parechthistatus gibber (Bates)의 한반도 분포를 보고한다. 성충 및 유충의 사진 및 서식처 등 형태학적 정보와 생태학적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3,000원
        179.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 동부 해안의 홀로세 해수면 변동 특성을 이해하고 시기 별 상승추세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질학적 대리기 록과 기기관측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홀로세 동안 황해의 해수면은 초기에 약 10 mm/yr의 속도로 빠르게 상승 하고 중기를 거쳐 후기로 갈수록 해수면 상승률은 1 mm/yr 정도로 둔화되며, 20세기 해수면은 홀로세 후기보다 다소 빠르게 상승하였다. 빠른 상승으로 알려진 현재 해수면 상승률은 홀로세 초기와 중기의 상승추세와 비교할 때 사실 훨씬 낮거나 비슷하게 나타난다. 최근 조위계 자료는 황해 해수면이 21세기로 갈수록 상승률이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 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전 지구적 해수면 변화와 일치한다. 추가적으로, 연구지역에서 현재의 해수면 상승 추세는 이 산화탄소 농도와 해수표층온도의 증가율과 대비되며, 이는 인간활동에 수반된 지구온난화의 신호이다. 그러므로 황해 동부와 전세계의 해양에서 관찰되는 현 지구온난화에 의해 야기된 해수면 변화를 ‘인류세’ 해수면 변화라고 제안한다. 이 해수면변화는 조위계와 인공위성 고도계 같은 기기관측을 기반으로 하며, 계측시대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황해의 홀로세 해수면 변동은 대리기록으로, ‘인류세’ 해수면은 기기관측을 기반으로 한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