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6

        16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노후화된 기반시설물의 지속적 증가와 시설물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18.12.31 지속가능한 기반시설관리 기본법을 제정, 공표하고 ’20.1.1 시행을 예고하였다. 본 연구는 기반시설관리법 적용대상인 시설의 성능개선 대상 사업에 일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성능개선 의사결정에 필요한 성능개선 공통기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다. 국내·외 유지관리 및 성능개선 현황조사 및 유사 제도·관리체계 검토를 통해 기반시설 성능개선의 적정성 판단을 유도하는 평가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반시설관리법」의 효과적 실행에 필요한 세부 시행기준 마련 및 관리역량을 확보하고 기존 시설물의 성능개선을 위해 투입되는 예산의 효율성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62.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도의 교량 유지관리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차종별 교통량 데이터와 연직 변위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광안대교의 차종별 교통량 데이터를 이용한 연직 변위 추정 모델에 대하여 10여년이 경과한 현재적 적용성을 각각의 업데이트 방법으로 개발된 모델의 변위 추정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현재적 적용성은 추정된 변위는 실측 변위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구조화 회귀 분석에 기반한 모델과 주성분 분석에 기반한 모델의 변위 추정 성능은 상호간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차종별 교통량 데이터를 이용한 연직 변위 추정 모델은 광안대교의 교통하중에 따른 거동 분석 등에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63.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oided Slab is a very efficient system that can reduce weight and its use has increased. In this paper, Shear performance of voided slab 3 type(rc slab, ball slab, ball slab with water) with improved damp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test, the shear performance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C slab.
        16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전자제품의 개발과 생산기술에 비교하여 폐유리의 재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그 관심도가 부족하여 폐유리를 불법투기 또는 매립으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폐유리는 시멘트와 수화반응시 포졸란 반응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경화 콘크리트의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레올로지 특성을 개선하여 블리딩의 저감 및 수화열 발생의 억제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폐유리를 잔골재로 사용한 차폐콘크리트의 알칼리-실리카반응이 팽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폐유리 혼입에 의한 알칼리-실리카반응의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정 혼화재료를 사용하여 차폐콘크리트의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16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about design optimiz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composite PC slabs using improved horizontal shear connectors. As a result of the tests, the improved shear connectors show structural performance even when they are placed only in the required section.
        166.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의 건축・토목 재료의 연구개발은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를 중심으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현재에는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 뿐만 아니라 환경부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각종 순환자원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건축・토목재료의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특히, 시멘트산업은 그 규모의 크기로부터 비롯하여 자원소비량 및 CO2의 배출량이 가장 많은 산업으로 지적되고 있기 때문에 시멘트 생산에 있어서 각종 산업부산물 또는 폐기물을 활용함으로써 천연자원 소비량을 감축시키고 또한 저에너지 소비형 생산방식의 개발을 통해 CO2의 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 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국토교통부 「순환골재 품질기준」에 따르면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량을 전체 굵은골재량의 30%이하로 할 경우 장기 내구성 및 안전성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제시한 바 있으며, 국내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종 순환 굵은골재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전체 굵은골재량의 50%까지 순환 굵은골재로 치환하여도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구조적인 안정성과 장기 안정성을 고려하여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을 「순환골재 품질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계값인 30% 이상(60%까지)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암거의 설계기준강도는 34MPa 이상으로 「순환골재 품질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대 설계기준강도인 27MPa를 상회하는 값을 가능하도록 하며, 기존의 재생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및 재료분리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미분말과 탈황석고를 적극 활용하여 콘크리트 2차 제품용 혼합재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연구결과 탈황석고 및 고로슬래그미분말의 포졸란반응 유도로 강도발현성 확보와 일부 증점제 혼입으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의 현저한 저감으로 재생골재의 활용성을 높인 콘크리트의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167.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developed SMC-Fractional algorithm, that is, enhances the performance of Sliding Mode Control(SMC) algorithm for pounding control of Multi-span bridges using MR-damper. The pounding control performance of SMC-Fractional algorithm has been evaluated in shaking table test on multi-span bridg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MC-Fractional algorithm showed the performance od reduc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adjacent spans over other algorithms.
        168.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velocity of vehicle in highway has been increased due to improved driving environment. Unfortunately, the impact resistance of present concrete median barrier is not enough for increased impact severity due to increased velocity, furthermore, these increased velocity occurs another secondary accidents due to the concrete fragment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impact resistance for developed concrete median barrier was performed with shock absorber.
        169.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developed SMC-Fractional algorithm, that is, enhances the performance of Sliding Mode Control(SMC) algorithm for pounding control of Multi-span bridges using MR-damper. The pounding control performance of SMC-Fractional algorithm has been evaluated in shaking table test on multi-span bridg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MC-Fractional algorithm showed the performance od reduc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adjacent spans over other algorithms.
        170.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Fruit picking is the most labor consuming procedure for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growers. Recently fruit harvesters were invented and improved in the efficiency to fulfill the expectation of farmers through field demonstration tests. Additionally, T-type hedge cultivation method harmonized well with fruit picking machine, but it also needed to be improved in its’ pruning methods for the efficiency of fruit collecting procedure.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experiment, ‘Cheong-un’ cultivar and local variety were grown in the rain shelter greenhouses for the tests. Plots were set by randomized block design. There were two types of previously developed harvesters. One vibrates it’s harvest rod right and left (A type) and the other shakes it’s rod back and forth (B type). Among two harvesters A type was superior to B type in efficiency and convenience in use and it was able to harvest eleven times more fruits than manual picking in simple comparison test. In field comparison test, A type harvester performed 4.6 to 5 times more fruits than manual fruit picking. T-type hedge cultivation method is the proper way of enhancing efficiency of harvester. In the test, wiry perpendicular branches formed by once pruning method hindered moving forward of fruit collector. However installing collecting net with velcro along the edge under the field increased the efficiency and handiness of fruit harvester and well harmonized with T-type hedge cultivation.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the newly developed fruit harvester could increase the annual income of Boxthorn growers by reducing fruit picking labor and time.
        17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valuates the load carrying capacity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bridge considering the strengthening effect.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bridge asset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of load carrying capacity of highway bridges.
        17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Vulnerability Index(VI) of Preliminary assessment for water pipelines seismic performance in domestic had lacks of correlation of detailed safety assess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asonable VI by analysing on correlation between existing VI and safety factor.
        17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provement of displacement absorbing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moving clips in order to prevent falling off of the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earthquakes and wind, trying to examin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xterior panel.
        17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y the earthquake and the wind against the displacement that occurs in buildings by utilizing the movement of the clip architectural exterior panels can follow the displacement and deformation by preventing the loss of architectural exterior panels to protect life and property.
        17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risk assessment is proposed considering risk factors and scenario, and thus the technique provides more practical and reasonable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and reinforcement for the existing buildings more than ever before.
        176.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beam-column joint regions using replac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with hybrid fiber (steel fiber+PVA fiber)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herefore it was constructed and tested seven specimens retrofitting the beam-column joint regions using such retrofitting materials. Specimens, designed by retrofitting the beam-column joint regions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ere showed the stable failure mode and increase of load-carrying capacity due to the effect of crack control at the times of initial loading and bridge of retrofitting hybrid fiber during testing. Specimens BCJGPSR series, designed by the retrofitting of replac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with hybrid fiber in reinforecd beam-column joint regions were increased its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by 1.01~1.04 times and it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by 1.06~1.29 times in comparison with standard specimen BCJS. Also, specimen BCJGPSR1 were increased it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by 1.33~1.65 times in comparison with specimens BCJS, BCJP and BCJGPR series for a displacement ductility of 9.
        177.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regions using strengthening materials (CFRP sheet, AFRP sheet, embedded CFRP rod)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refore it was constructed and tested seven specimens retrofitting the beam-column joint regions using such retrofitting materials. Specimens, designed by retrofitting the beam-column joint regions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ere showed the stable failure mode and increase of load-carrying capacity due to the effect of crack control at the times of initial loading and confinement of retrofitting materials during testing. Specimens LBCJ-CRUS, designed by the retrofitting of CFRP Rod and CFRP Sheet in reinforecd beam-column joint regions were increased its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by 1.54 times and it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by 2.36 times in comparison with standard specimen LBCJ for a displacement ductility of 4 and 7. And Specimens LBCJ-CS, LBCJ-AF series were increased it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each by 2.04~2.34, 1.63~3.02 times in comparison with standard specimen LBCJ for a displacement ductility of 7.
        178.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tically reviewed the behavior of Steel Plate Concrete(SC) walls subjected to combined loads of axial force, flexural moment, and shear forc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ape and arrangement spacing of studs on the behavior of SC walls. To perform it, 9 cases of finite element analyses considering the different shape and spacing of studs in SC wall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ed that, for SC walls combined steel plate and concrete according to the Design Code, the compressive strength is higher than the tensile strength. Compared results from the finite element analyses of SC walls subjected to combined loads with Design Code showed that all cases were higher than the design strength. For KEPIC SNG, the moment and shear force were not influenced by the axial force of 0.1 to 0.2 times axial strength, however, from the analyses, it was found that the values were decreased as the axial force is increased.
        17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water는 다목적댐 및 용수전용댐 등 32개 댐을 운영·관리중이며, 국내 댐에서의 홍수조절의 95% 및 용수공급의 65%를 담당하고 있다. 그 중 용수전용댐은 주로 과거 60~70년대 산업단지 조성시 수원지로 건설되어 전체 14개소 가운데 준공 후 30년 이상 경과한 댐이 7개소로 50%를 차지하고 있어 각종 시설 및 설비의 노후화가 진행 중에 있다. 댐은 붕괴, 용수공급 중단 등 문제 발생시 국민생활, 안전 및 경제 등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막대한 파급효과를 끼치는 국가 중요 사회 기반시설이다. 최근 기후변화, 지진 등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등 댐의 안전을 위협하는 외적 요인이 증가하는 추세로 시설물 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유지관리 체계는 사고 대응형에 치중하고 있어 앞으로는 댐에 대한 잠재적 취약성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예방중심의 체계적,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K-water에서는 다목적댐에 비해 노후된 용수전용댐을 대상으로 댐 및 부속시설의 기능성, 안정성, 경관성의 3가지 측면에서 노후댐 성능개선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향후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후댐 및 부속시설에 대한 선제적 예방중심의 성능개선은 시설의 대수선 및 교체 수요 증가를 억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범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인 계획을 통한 노후댐 성능개선 사업 시행으로 댐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하도록 하며, 물복지를 실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80.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표준실험체 (BSS), 순환굵은골재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과 하이브리드섬유를 보강한 실험체 (BSPRR1, BSPRR2시리즈), 순환굵은골재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과 PVA섬유를 보강한 실험체 (BSPG시리즈)로 총 13개의 실험체를 실물크기의 1/2로 축소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하중-변위, 파괴형태, 최대내력 등을 규명함으로써 구조성능의 개선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순환굵은골재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한 콘크리트에 하이브리드섬유를 보강한 실험체 (BSPRR1, BSPRR2시리즈)의 경우 표준실험체 (BSS)에 비하여 압축강도는 최대 13%, 최대내력은 4~21%, 연성능력은 각각 4~28%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또한, 충분한 연성적인 거동과 안정적인 휨인장 파괴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