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1

        16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레옥잠을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인공배지를 이용하여 인, 질소농도와 부레옥잠의 현존량에 따른 인, 질소의 제거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돈사폐수에도 적용하여 인, 질소의 제거율을 검토하였다. 부레옥잠 조직내의 인, 질소함량은 배양수의 인, 질소농도에 따라 각각 0.22~1.02%, 1.4~4.1%의 범위를 보였으나, 배양수의 인, 질소농도가 각각 1.0 mgP/l 이상, 3.0 mgN/1 이상에서는 각각 0.8%,
        4,000원
        162.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to analyze the underwater ambient noise and biological noise of cultivating fishes in the fish farm cages at the seawater Tongyong-kun, KyongNam and lake of Chungju, Chech'on, ChungBuk from 10 to 19 Oct. 1997,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ois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mbient noise around the fish farm cages at lake of Chungju was 10~200Hz frequency range, 70~105dB spectrum level. The central frequency was 50~70Hz, changing of ambient noise was getting bigger than 10~200Hz in 200Hz~2kKz frequency by wind, water current. (2) The frequency of noise source around the fish farm cage at the seawater of Tongyong-kun was 20~200Hz, spectrum level was 80~100dB while feed factory was working around the fish farm cage. When feed factory did not work, noise source was 10~600Hz frequency range, 70~90dB spectrum level. It was 10dB less than that of while feed factory was working, and then the central frequency was 70Hz. (3) The vessel noise of excursion ship had changed largely at 100dB spectrum level in 10~500Hz frequency band, and the fishing boat had 20Hz~2kHz frequency range. (4) The biological noise in the fish farm cage at lake of Chungju, which was feeding of Cyprinus carpio, 2was 10~30Hz frequency, 70~104dB spectrum level. The central frequency was 75Hz. The biological noises in the fish farm cage at the seawater of Tongyong-kun, which were feeding and swimming noise, had very different spectrum pattern by species, and the frequency band was 10~800Hz.
        4,000원
        164.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examined the response of Yoroi-mebaru, Sebastes hubbsi [MATSUBARA] to the underwater attracting lamps (0.5 W, 0.8 W, 1 W) line in the experimental water tank (550 L x 58 W x 73 H cm). The attracting rate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s of lighting and putting out hour (1, 5 minutes) when each of the underwater attracting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ff after they were switched on all at once. The results are a follows: 1. Distribution rates of fish in the illuminated area was 35.7 % in case of 1 minute interval, and 50.3 % in case of 5 minutes interval. 2. Mean distribution rate of fish at the illuminated section: \circled1 Distribution rates at interval of 1 minute were 9.8 % in 1 W, 6.5 % in 0.8 W and 5.1 % in 0.5 W, respectively. \circled2 Distribution rates at interval of 5 minutes were 15.6 % in 1 W, 8.5 % in 0.5 W and 6.1 % in 0.8 W, respectively. 3. Attracting rates of the last section showed a little increasing as illuminating time elapsed. A difference of attracting rates according to lighting source in 5 minutes interval were bigger than that in 1 minute interval. 4. Attracting rates of fish in only last section switched on: \circled1 Attracting rates at interval in case of 1 minute were 30.0 % in 0.8 W, 16.0 % in 1 W and 8.0 % in 0.5 W, respectively. \circled2 Attracting rates at interval in case of 5 minutes were 56.0 % in 1 W, 30.7 % in 0.5 W and 10.7 % in 0.8 W. respectively.
        4,000원
        165.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연안에 분포되어 있는 정치망에 어획되는 어류의 음향 유집 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정치망의 주요 어획 대상 어종인 잿방어의 식이음, 유영음, 어선의 기관소음, 정현파 순음 등을 녹음시켜, 제작한 수중확성기로잿방어를 사육하는 가두리 양식장에 방성하였을 때, 각 음에 대한 어류을 행동 반응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작된 수중확성기의 수중 실험에서는 측정 주파수의 모든 주파수에서 입력파형과 출력파형이 잘 일치하여 주파수 200.600Hz의 수중음을 방성할 수 있었다. 2. 순음 주파수 300Hz및 400Hz를 방성하였을 때 보다 훨씬 민감한 반을을 보였다. 4. 잿방어 어군의 식이음, 유영음 스펙트럼은 주간과 야간에 관계없이 비슷한 음압분포를 나타내었고, 주파수 200~600Hz부근에서 낮은 음압 분포를 나타내었다.
        4,000원
        167.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압축공기에 의한 기포막을 어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져 압축공익의 세기별, 기포 발생 호스 구명의 크기별, 간격별 기포막의 특성과 기포 소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실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기 압축기(290l/min×1.5Kw)와 용량 10kgf/cm2인 공기 탱크로 구성한 기포막 발생 장치로써 발생시킨 기포막은 송기압이 0.2kgf/cm2이상이 되어야 형성되고, 구멍의 크기보다는 구멍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더욱 높게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2. 기포 발생시 음압은 구멍이 크고 간격이 조밀하며 기포막에 가까울수록 크며 기포 중심부의 주파수 변동폭은 구명이 적고 간격이 조밀할수록 높았다. 3. 기포막의 빔 각도는 유속에 비례하여 커지며, 유속이 0.1m/sec당 10˚씩 변화되었다. 4. 송기압을 0.5, 1.0, 1.5kgf/cm super (2)로 변화시키면서 기포 발생 호스를 수직방향으로 0˚, 10˚, 20˚로 각각 경사시켜 측정한 결과 기포막 수평길이는 기포막 발생 호스의 경사각도에 따라 그 길이를 최대 45% 연장 할 수 있었다.
        4,000원
        168.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물기초롤 지진절연하면 건물뿐만 아니라 그 내부구조물의 지진웅답도 크게 감소한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 를 통해 확인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내부구조물이 유체내에 잠기고 부가질량효과가 크게 작용되는 조건에 놓이는 경우 오히려 지진응답이 중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건물 내 수중구조물의 지진해석올 통해 그러한 예 를 제시하고자 한다. 해석결과 지진절연된 건물의 경우 이러한 내부 수중구조물의 지진웅답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치가 필요함을 보였고, 적절한 설계에 의하여 부가질량효과를 조절함으로써 어느 정도 응답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69.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s carried out a field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 of underwater sound on the luring of fish schools in a setnet in the coast of Cheju Island. The effects of the acoustic emission on the luring of fish schools were observed using a manufectured underwater speaker in the setnet, and pure sound, of which frequency was 600Hz and the source level was 126dB, was emitted on and off at 5 minutes intervals in the set net during the night of ,July 29 and ,July 31. So we had recorded behavior of fish schools by the telesounder with two channel and shape of the setnet by underwater video camera and analyzed them. When the flood and ebb currents were around the setnet, the nets rised to the surface of water and it happened occasionaly at the stand of tide. Therefore, it was in the state that fish schools feel constraint to enter into the setnet, and was required a new design of the setnet stand up to strong tidal current. As the pure sound, of which frequency was 600Hz was emitted for the luring of fish schools in a setnet, the catch ammounts of fish, the young horce mackereWI'rachllrlls japonicus), was increased 4~6 times than not emitted.
        4,000원
        172.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been studied a lot of two dimensional hydrofoil sections for the boundary layer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plaiable roughness effects on boundary layer transition region of suction side for NACA 4412 hydrofoil sections provided by auxieiary shape factor and lag-entrainment effect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laminar sepration. Transition and end of transition of the boundary layer due to pitting roughness effects, to the foil Reynold's number as well as to the angle of attack were delayed a little. And comparisons with valuable the other calculations and measurements show qualitative agreements.
        4,000원
        177.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격측정에 의한 어군의 탐지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기존 net recorder를 4개의 진동자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비임 시스템으로 바꾸어, 이들을 직선배열과 평면배열하여 어군탐지범위의 확대폭과 어군의 위치측정에 대한 원격제어 실험을 행하고 그 유용성을 검토.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선배열에 의한 표적의 탐지범위는 수심과 진동자 간격의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개의 진동자를 배열하면 4배까지 확대할 수 있었다. 2. 진동자를 직선배열하여 정치망입구에서 어군을 관측한 결과 길그물에 아주 가까운 2.5~3.5m의 수층으로 많이 입망되었으며, 창그물에 가까운 3.5~4.5m의 수층으로도 어느 정도 입망되었다. 3. 표적의 실제위치와 진동자의 평면배열에 의하여 구한 위치오차는 표적의 수심이 1m, 1.5m, 2m일 때 각각 5.9~27.1cm, 3.2~28.9cm, 3.5~25.8cm였으며, 68.3% 확률원의 반경은 각각 14.6cm, 17.7cm, 17cm였다. 4. 평면배열에 의하여 헛통에서 어군의 행동을 관측한 결과 조류의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거슬러 유영하면서 자루그물에 입망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직선 및 평면배열에 의한 어군, 수온, 해저 등과 같은 수중정보는 1,800m까지 원격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본 실험의 경우 발신기의 수심이 3m이상이면 어느 곳에서라도 원격측정이 가능하였다.
        4,000원
        179.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남해안에서 높게 보고되고 있는 수중소음준위에 대하여 그 소음원을 규명하고자 부산근해의 두 해역에서 파고 1~1.5m의 비교적 조용한 해상 상태일 때 시간별, 깊이별로 10KHz까지 수중소음의 변화를 관측했다. 전체적인 소음준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선박통행이 비교적 뜸했던 A 정점에서는 이들의 편차가 1~2dB 이내로 작은 값을 보였는데 비해 선박 통행이 빈번했던 B 정점에서는 전 주파수대에 걸쳐 그 편차가 각각 4dB와 3dB까지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그동안 500Hz 이상의 주파수대에서 주 소음원으로 여겨졌던 수면파 외에도 이 해역에서는 선박 소음이 주요 소음원임을 의미하고 있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