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3

        161.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산지사면에서 측정된 토양수분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사면에서 발생되는 수문과정의 이해를 도모하였다. 토양수분을 변화시키는 공통된 주요 수문기상인자인 강우의 추계학적인 특성을 토양수분의 시계열로부터 제거하고,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기도 파주 설마천 범륜사에 위치하고 있는 사면에서 2007년 8월 1일에서 27일 사이의 기간과 동년 9월 18일에서 10월 8일간의 기간에 토양수분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수
        162.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생활원예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서울과 수도권 도시민들의 도시 생활원예에 대한 생각과 태도와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계적 분석(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286명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생활원예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시민들에게서 생활원예에 참여한 기간은 그들의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 인식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다시 도시 생활원예에 대한 교육과 정책에 대한 요구인식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로 농촌지역에서 거주한 기간과 생활원예 경험 및 원예 관련용어 인지 경험에 따른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시 생활원예의 필요성과 관련된 인식의 차이는 농촌지역에서 거주한 경험을 갖고 있거나 생활원예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에 비하여 도시 생활원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통계를 통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중앙정부 및 교육 당국자와 지방정부에서는 도시 생활원예의 보급과 확산을 위한 적절한 원예교육과 정책수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덧붙여, 도시 생활원예 관련 학계에서는 시민들에게 도시 생활원예를 보급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이다.
        16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diction of discharge is very important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lan.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discharge data of site at up and down stream in watershed. In order to forecast discharge the regression equations were developed by measuring flow data. Also, to forecast the change of water quality followed by change of inflow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inflow of the Youngchun site and the Chunhju dam was shown as very high. The forecast of inflow at the Chungju dam would be possible through flow analysis of the Youngchun site. And, it is possible to forecast water quality by flow analysis because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of SS and turbidity followed by change of flow for each station of investigation was very high.
        164.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tructure and their environment variables in Mt. Hwaak. Samples were collected by 101 plots using ZM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followed by cluster, importance value an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into 8 community types such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Berberis amurensis community, Betula ermani community, Betula schmidtii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and Salix koreensis community. Altitude was considered as the highest factor correlated to the community types. Berberis amurensis community and Betula ermani community were located in upper slope area of high elevation,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and Salix koreensis community in valley area,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ridge area, respectively.
        167.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번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내 주요하천을 대상으로 자연도 평가와 수질을 분석하였다. 하천 자연도의 종합평가 결과는 의 1등급과 4등급으로 평가되었으며, 부문별 평가 결과는 하천형태의 평가지수가 로 2등급에서 4등급으로, 하천환경의 평가지수는 의 1등급에서 4등급으로 평가되었다. 수질 평가 결과는 수소이온농도는 이었으며,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 용존산소량 , 부유물질은 이었다. 하천 자연도 평가 지표의 독립성과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하천 자연도
        169.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옻나무의 암수구분에 의한 직경, 수고 및 수관폭에 따라 옻채취량의 변화관계를 조사하여 옻나무의 암수별 각인자의 옻채취량에 대한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암수구분에 의한 직경과 옻채취량의 관계에서는 암수 모두 직경증가에 따라 옻채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수나무개체들이 암나무 보다 옻채취량에 있어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암수구분에 의한 수관폭의 변화가 옻채취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작게 나타났으나, 수관폭이 증가할수록 옻채취량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또한 암수구분에 의한 회귀분석은 수나무보다 암나무의 주요인자들이 옻채취량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경, 수고, 수관폭 및 옻채취량의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70.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ims is water supply criteria relations for evaluating the possible performance of water resources systems. These measures describe how likely a systems is to fail(reliability), how quickly it recovers from failure(resiliency), and how severe the consequences of failure may be(vulnerability). The performance of a criteria evaluating with a variety of operating policies illustrates their use. As a result study frequency reliability and quantitative reliability is linear relations and quantitative reliability is high reliability for equality water supply policy. As reliability and vulnerability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Therefore these criteria relation analysis can be for Imha dam to variety water supply policy.
        171.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Moussa(2003)에 의하여 개발된 등가타원을 기반으로 한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에 대한 소개 및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두 디스크립터 a+b, a+b+과 지체시간 사이의 상관성 분석이 수행되었고 이를 Nash 모형 매개변수들의 대표치 산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강 수계의 평창강 유역, 금강 수계의 보청천 유역 그리고 낙동강 수계의 위천 유역들에 각각 이 디스크립터특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두
        172.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요 약용작물(藥用作物)인 시호(柴胡) 생육형질(生育形質)의 개체간(個體間) 변이(變異)를 조사하고 각특성간(特性間) 상관분석(相關分析)을 하여 육종기초자료(育種基礎資料)를 얻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호(柴胡)의 각 생육형질(生育形質)의 개체간(個體間) 변이(變異)는 대체적으로 컸으며 장간(長稈) 다지경(多枝莖)일수록 줄기가 굵고 엽중(葉重) 및 근중(根重)이 높았다. 2. 빈도(頻度)가 높은 중간(中桿) 중분지(中分枝) 초형(草型)보다는 빈도(頻度)가 낮은 단간(短桿) 다분지(多分枝) 초형(草型)의 근중(根重)이 높았다. 3.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 생육형질(生育形質)과는 대체적으로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4. 근수량(根收量)과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이는 지상부(地上部) 주요 특성(特性)은 경태(莖太), 지경수(枝莖數), 절수(節數), 최초지경착생절위(最初枝莖着生節位), 엽면적(葉面積)등이었다.
        173.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의 간장, 경수, 수장, 100입중, 개체당수수 수당입수, 수량등 7개 형질에 대한 광의의 유전역을 조사하고 형질들 간의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을 조사하고 또 유전상관에 의해 형질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 및 간접효과를 알기 위해 경노계수 분석을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전역은 간장이 0.92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수장이 0.907로 역시 높았으며 수당입수, 수량, 100입중등도 상당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경수는 0.179, 개체당수수는 0.147로서 상당히 낮은 유전력을 나타냈다. 2. 간장은 100입중과 고도의 유의성있는 표현형 상관이 있었으며 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다. 경수도 수수와의 사이에서 높은 표현형 상관과 유전상관을 보였고 수장은 입수와의 사이에서 높은 표현형 및 유전상관을 보였다. 수량은 수장, 100입중, 입수등과의 사이에서 고도의 유의성 있는 표현형상관을 보였고 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다. 3 . 경노계수 분석결과 간장은 수량에 대해서 직접효과가 없었으며 다른 형질을 통한 간접효과도 없었다. 경수는 직접효과가 다른 형질보다 가장 컸으며 수장과 100입중도 수량에의 영향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는 수량에 대해서 가장 큰 부의 직접효과를 보였다. 수수는 경수를 통해서 그리고 입수는 수수를 통해서 강한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경수는 수수를 통해서 가장 큰 부의 간접효과를 보였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