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 on growth date(bud bursting, flowering, blooming) of Citrus Unshiu in Jeju and Seogwipo, and estimate future growth date using air temperature data and growth date of Citrus Unshiu from 1998 to 2015. The trend and relationship between growth date of Citrus Unshiu and air temperature in Jeju and Seogwipo are analysed. As a result, The trend of growth date of Citrus Unshiu is delayed during study period. The correlation between Citrus Unshiu growth date and air temperature is negative. It means that air temperature related to the growth date of Citrus Unshui is decreasing. Future growth date of Citrus Unshiu is estimated to be earlier by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Air temperature expect to rise, but it can appear the low air temperature to be able to hurt citrus tree.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모형과 미계측유역 자료생성방법인 공간확장자료 생성방법을 사용하여 47개 미계측유역에 대해 홍수유출 시계열자료를 생성하고 3개 관측유역을 포함한 총 50개 유역에 대해 첨두유량을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강우의 공간분포가 유출에 미 치는 영향을 실제유역과 실제사상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였다. 20개 사상에 대해 GRM 모형의 매개변수 보정 및 검증결과 적절한 모형효율 통계결 과를 얻었다. 이 추정된 매개변수와 실제강우(강우의 공간분포를 고려한 강우) 및 공간평균강우(실제강우를 공간적으로 평균한 강우)를 사용하여 50개 유역의 홍수유출 시계열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이 시계열 자료 중 첨두유량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는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와 차이가 있었다. 강우의 분포가 유역전반에 비슷한 경우에는 실제강우와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 포가 비슷하거나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호우가 상류 또는 하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강우가 무작위로 분포되는 경우에는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가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보다 크게 좁아지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 사상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강우의 공간적 변동 성을 고려하지 않고 홍수유출을 모의한다면 약 35%의 사상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은 첨두유량 모의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 라서 홍수량 산정 또는 수자원 설계 시 강우의 시간분포 뿐만 아니라 공간분포 또한 고려해야 한다. 계측유역과 미계측유역의 첨두유량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낙동강 지류들에 위치한 미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들은 그 크기가 넓게 분포됨에 따라 계측유역의 첨두유량을 사용하여 생성한 power law 관계를 이 미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 추정 시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 또는 미계측유역 중 상하류로 연결된 비독립적인 소유역들의 첨두유량간에는 power law 가 존재하였으나 낙동강 지류들에 위치한 독립된 소유역들의 첨두유량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다목적 댐인 섬진강댐을 대상으로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과 태풍의 발생에 따른 유출특성변화를 분석하 였다. 태풍영향 도메인을 적용하여 태풍의 이동 경로를 유형화하고 태풍유량을 정량화하고, 태풍정보와 대상유역의 수문변화지표의 순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하여 기후변화의 적응과 대책수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반도 태풍도메인을 통과한 한반도 영향 태풍(n)은 첨두유량의 규모와 발생시기의 변화에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첨두유량의 발생빈도와 지속시간은 한반도 영향 태풍과 상대적으로 관 계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상관성 분석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첨두유량의 발생규모(correlation coefficient = 0.41)와 첨두발생시간(correlation coefficient = 0.83)은 한반도 영향 태풍(n)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댐을 대상으로 한반도 영향 태풍의 경로를 유형화하고, 각 태풍 유형에 따라 섬진강 댐 유역의 수문변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한반도 수생태계환경 시 스템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ecember 2009 was one of the quietest (monthly Ap=2) months over the last eight decades. It provided an excellent opportunity to study the day-to-day variability of the F2 layer with the smallest contribution due to geomagnetic activity. With this aim, we analyze hourly values of the F2-layer critical frequency (foF2) recorded at 18 ionosonde stations during the magnetically quietest (Ap=0) days of the month. The foF2 variability is quantified as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foF2 about the mean of all the “zero-Ap” days of December 2009. This case study may contribute to a more clear vision of the F2-layer variability caused by sources not linked to geomagnetic activity. In accord with previous studies, we find that there is considerable “zero-Ap” variability of foF2 all over the world. At most locations, foF2 variability is presumably affected by the passage of the solar terminator. The patterns of foF2 variability are different at different stations. Possible causes of the observed diurnal foF2 variability may be related to “meteorological” disturbances transmitted from the lower atmosphere or/and effects of the intrinsic turbulence of the ionosphere-atmosphere system.
Active galactic nuclei (AGN) are too compact to be resolved by any existing optical telescope facility,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ir structure and the emission processes responsible for their huge energy output. However, variability, one of their characteristic properties, provides a tool to probe the inner regions of AGN. Blazars are the best candidates for such a study, and hence a considerable amount of effort is being made to investigate variability in these sources across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Here, using the Mt. Abu infrared observatory (MIRO) blazar monitoring program, we present intra-night, inter-night, and long term aspects of the variability in S5 0716+71, 3C66A, and OJ 287. These stars show significant variability on short (a few tens of mins, to a few hours, to a few days) to long term (months to years) timescales. Based on the light travel time argument, the shortest variability timescales (micro-variability) provide upper limits to the size of the emission region. While S5 0716 shows a very high duty cycle of variability (> 80 %), 3C66A shows a much lower intra day variability (IDV) duty cycle (< 20 %). All three show rapid variations within 2.5 to 3.5 hr, which, perhaps, are generated near the vicinity of black holes. Assuming this, estimates of the masses of the black holes are made at ~109, 8×108, and 2.7×109 M⨀ for S5 0716+71, 3C66A, and OJ 287, respectively. Multi-wavelength light-curves for the blazar PKS 1510-089 are discussed to infer the emission processes responsible for the recent flaring episodes in this source.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지역 내 6대의 우량계를 설치하여 조밀한 강우 관측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소규모 지역에 대한 강우의 공간적 변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량계는 60 m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총 54일간의 강우관측을 수행하였다. 이물질로 인하여 오작동을 일으킨 1대 우량계를 제외한 5대의 우량계를 이용하여 50일간 강수량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우량계에 관측된 50일간 누적강우량 비교결과 최대 약 38.5 m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관성 분석결 과 일강우량은 소규모 지역에서 매우 일관성 있는 자료를 보여주고 있으나 1시간 이하 강우량 시계열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 변화도 분석결과, 변동계수가 시강우량의 경우 최대 약 224%, 일강우량의 경우 최대 약 91%로 나타났다. 면적강우량 불확실성 분석결과, 4대의 우량계만을 이용할 경우 대상지역에 대하여 95% 이상의 정확도를 확보하 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보다 신뢰성 있는 홍수예보와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점 중심의 강우 관측이 아닌 면적 강우 관측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Western Pacific (WP) teleconnection pattern index (WPI) in April during 1954-2008 and rainfall amounts in the same month. Based on the results, it is identified that there have been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entral China, Korea and the southwestern part of Japan in the East Asian region.
Through differences between 10 positive WP years and 10 negative WP years selected from the April WPI excluding ENSO years, it is found that rainfall amounts increase in April of positive WP years due to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creases in rainfall amounts are evident in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where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is the highest and this is because anomalous southwesterlies are strengthened in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due to the spatial pattern of a south-low-north-high anomalous pressure system centered on this region that is made by anomalous anticyclones centered on the southeastern side of the region and other anomalous anticyclones centered on the northeastern side of the region. In addition, anomalous westerlies (jet) are strengthen in the upper troposphere of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and as a result, anomalous upward flows are strengthened in this region and thus anomalous warm air temperatures are formed in the entire level of the troposphere in the region. In addition to atmospheric environments, anomalous warm sea surface temperatures are formed in the seas in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to help the rainfall amount increases in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본 연구는 한반도의 8개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일 유량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Noise의 제거를 위해 3-Day 평균 평활화(Smoothing)를 적용하였으며, 댐유입량 자료에 대하여 Mann Kendall test와 Poisson Regression을 분석을 통하여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유량 자료의 Peak Flow 및 7-day Low Flow에서 추출되는 극치유량 발생시점, 유출변화, 지속기간 및 발생빈도 등 4가지 IHA 지표의 경향성(Trend) 및 유형화(Typology) 분석을 수행하였다.
Peak Flow 분석결과, 6개 다목적댐의 첨두유량 발생빈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패턴으로 나타났다. 특히 섬진강댐 유역은 4가지 지표 모두에서 증가 경향이 분석되어 다른 댐유역보다 하천의 생태학적 스트레스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 최소유량에 대한 경향성 분석결과, 댐유입량에 대해서 섬진강댐에서는 증가경향이 나타났으며 안동댐과 충주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패턴이 분석되었다. 댐유량 자료에 대한 유형화 분석 결과, 상위분위 및 하위분위에 관한 유형화 분석 결과 상위분위만 증가하는 경우는 7월∼8월, 9월∼10월 사이에 소양댐, 충주댐 등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였고, 상위분위 또는 하위분위만 감소하는 경향이 교차적으로 11∼12월, 1∼3월, 3∼5월, 5∼7월 사이에 발생하였다. 이외에도 섬진강댐(5월∼ 12월, 1월), 대청댐(1∼3월, 5∼7월)에서 하위분위만 증가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기후변화로 인해 봄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지며 가을과의 경계가 모호하며, 겨울로 접어드는 기후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지구 주변에 있는 태양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를 24계절 부문은 태양 달력 즉, 절기(節氣)와 이에 따른 강수량과 기온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24절기(節氣)로 우리 조상들은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짓고, 좋은 날씨에 추수를 해왔다. 허나 절기(節氣) 이 또한 옛날과 비교해 강수량과 기온의 변화가 많이 달라져 현재 24절기에 따른 기후의 양상이 과거와는 많이 다르게 느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와 기온의 변화양상을 24절기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24절기사이의 강우량의 변화와 기온의 변화를 30년 이상의 관측소를 중심으로 평가한 결과 변화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절기가 여름에서 겨울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강우량의 뚜렷한 증가 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24절기는 용수공급문제에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농업용수의 공급이 절기의 변화와 온난화로 인한 농업형태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월별 또는 순별로 공급량을 분석하는 현재의 방법에서 변화를 모색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별 유량의 연간 변동성은 열대지역의 해수면 온도와 같은 기후요소들을 사용하여 예측될수 있으며, 일 유출량의 변동성은 기상요소들을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유출량은 하천에서 비점오염원으로부터의 오염물질 부하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관계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기후 및 기상 예측 값들을 활용하여 계절별 그리고 일별 영양물질 부하량을 예측한다. 영양물질으로는 총질소(TN)의 부하량을 예측하였으며, 미국 동남부 지역에 위치한 18개 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절별 영양물질 부하량 예측을 위해서는, 우선 기후 예측값을 사용하여 계절별 유출량을 모의하고, 모의된 유출량값들을 사용하여 다시 영양물질 부하량을 예측 하였다. 이를 위해 겨울동안의 계절별 영양물질 부하량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로그-선형 주성분 회귀분석 모형은 예측 강우량과 관측 강우량 사이의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예측 강우량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일 영양물질 예측을 위해서는 기상조건을 대표하는 일일 선행 강우 예측값과, 초기 유역 조건을 대표하는 과거 3일의 일유량 평균값을 두개의 예측치로 사용였으며, 모형으로는 비모수 재표본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으로부터 예측 모의된 계절 그리고 일 영양물질 부하량은 해당 유역에서의 기준 영양물질 부하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영양물질 배분 모형에 활용될 수 있으며, 수질 관리 계획을 위한 영양물질 배분 모형의 잠재적 유용성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There have been many suggestions and much debate about climate variability during the Holocene. However, their complex forcing factors and mechanisms have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Holocene climate cycles and features based on the wavelet analyses of 14C, 10Be, and 18O records. The wavelet results of the 14C and 10Be data show that the cycles of ~2180-2310, ~970, ~500-520, ~350-360, and ~210-220 years are dominant, and the ~1720 and ~1500 year cycles are relatively weak and subdominant. In particular, the ~2180-2310 year periodicity corresponding to the Hallstatt cycle is constantly significant throughout the Holocene, while the ~970 year cycle corresponding to the Eddy cycle is mainly prominent in the early half of the Holocene. In addition, distinctive signals of the ~210-220 year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e Vries cycle appear recurrently in the wavelet distribution of 14C and 10Be, which coincide with the grand solar minima periods. These de Vries cycle events occurred every ~2270 years on average, implying a connection with the Hallstatt cycle. In contrast, the wavelet results of 18O data show that the cycles of ~1900-2000, ~900-1000, and ~550-560 years are dominant, while the ~2750 and ~2500 year cycles are subdominant. The periods of ~2750, ~2500, and ~1900 years being derived from the 18O records of NGRIP, GRIP and GISP2 ice cores, respectively, are rather longer or shorter than the Hallstatt cycle derived from the 14C and 10Be records. The records of these three sites all show the ~900-1000 year periodicity corresponding to the Eddy cycle in the early half of the Holocen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linear and non-linear analysis for postural stability. Specifically, the focus on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tandard deviation could represent postural stability of whole body and each foot. Methods: 12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had to maintain their balance with eyes open in 5 postures: side-by-side (SS), staggered (left (SL) or right (SR) foot forward), and tandem (left (TL) or right (TR) foot forward). Each subject had two 65s trials in each condition. Under two force platform protocol, center of pressure of left (COPL) and right (COPR) was measured and total body center of pressure (COPNET) was finally measured in both the anterior-posterior (AP) and medio-lateral (ML) direction. Standard deviation (SD) of linear analysis and the largest Lyapunov expoenent (LyE) of non-linear analysis were measured for COPL, COPR, and COPNET across whole standing conditions. Results: SD of COPNET was larger in AP than ML in SR and SL conditions, whereas LyE of COPNET in AP and M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dition, SD of COPNET in A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ML in TR and TL conditions, while LyE of COPNET in ML was larger than that in AP. Lastly, SD of COPL and COPR in ML was larger than that of COPR and COPL in TR and TL condi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yE between COPL and COPR in ML in those conditions. Conclusion: Overall, there is an inconsistency between the SD and LyE during postural dynamics. The findings support the position that SD is not a representative measure of postural stability.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변동특성 분석에 있어 기존의 접근법인 지속기간별 강우량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얻는 데 한계가 있는 강우의 구조적 변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계학적 강우모형을 이용하였다. Neyman-Scott 구형펄스 모형(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NSRPM)은 점 과정을 이용한 추계학적 강우생성 모형으로 시간단위 강우를 생성함으로써 수문학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강우특성과 관련한 5개의 매개변수로 구성되어있다. 각 매개변수는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울지점의 1973~2011년 여름철 시강우자료를 이용하여 NSRPM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매개변수의 변화를 분석하여 강우의 구조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기존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도 및 아열대 지역의 남북간 기온 차이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대기순환 패턴의 변화와 그와 관련된 대기수분이송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름철 동아시아의 수문기상은 식수, 관개용수, 수력발전 및 수산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크며, 인간과 자연변화는 상호관계를 통한 지속가능한 수자원의 공급에 대한 주요 결정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유역을 중심으로 남북간 기온변화에 따른 여름철 강우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반도 몬순강우와의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북간 기온의 변화가 여름철 한반도 몬순강우와 강우 발생일수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반도 유역과 같이 계절적 수문변화가 큰 유역에 대하여 극치사상에 대한 영향분석 및 가용 수자원의 계절적 변화특성에 대한 기후시스템의 잠재적 영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We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Youngil Bay as well as the effect of wat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Water samples at three stations were collected and measured monthly from May to November in 2010. The taxa of phytoplankton observ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as 33 Bacillariophyceae, 23 Dinophyceae, 1 Euglenophyceae, 2 Crysophyceae and 1 Cryptophyceae. The highest biomass of phytoplankton was observed at inner station in September, which was characterized high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phosphate(DIP) in surface water after rainfall. Nutrient concentrations, chlorophyll-a and phytoplankton biomass values showed the marked trend to decrease from the inner bay to the outer ba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alinity and other water parameters including chlorophyll-a, pH and DIP showed the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r=-0.82, r=-0.78 and r=-0.75 (p<0.0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quality of Youngil Bay could be stimulated by nutrient enriched input from Hyeogsan River discharge, an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principally limited to DIP concentration from Hyeogsan ri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acts of waste dumping on inorganic nutrients in the dumping area of the Yellow Sea, and the effect of an governmental regulation of pollution in dumping areas.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arameters of the dumping and reference areas in the Yellow Sea were measured during July 2009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analyzed data for inorganic nutrients over the last 10 years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Coast Guard (KCG) and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The chemical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revealed increases in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Volatile Suspended Solids (VSS) in the bottom layer. On the contrary, the pH level was decreased. Most notably, the time series data of inorganic nutrients showed gradual increase over time in the dumping area, and thus, the oligotrophic waters trend toward eutrophic waters. The increases appears to be due to the disposal of large amounts of organic waste . In recent times, the wastes disposed at the area were largely comprised of livestock wastewater, and food processing waste water. The liquefied waste, which contains an abundance of nutrients, causes a sharp increase in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itrogen in the dumping area. On the one hand, the dumping sites have been deteriorated to such an extent that pollution has become a social problem. Consequentially, the government had a regulatory policy for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al since 2007 in the dumping area. Hence, the quality of marine water in the dumping site has improved.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interannual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fishing grounds at night in the East Sea based on satellite and in-situ data. We observe that the 15℃ thermal front move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arm water (above 18℃)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area, forcing the cold water area (below 10℃) to either expand or shrink. The interannual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winter represented by the indicator SST of 6℃ are consistent with the east-west zonal areas in the central East Sea which represented over 1℃ standard deviation of SST in February during 1990-2000. Annual SST in the fishing grounds of common squid fishing vessels, observed both by fishing vessels and satellites range from 9-22℃, with the satellite-observed data having a larger range than the fishing vessel-based ones. The interannual distributions of the common squid fishing grounds in the East Sea are mostly concentrated in the TWC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and in the coast of southern Honshu and Hokkaido in Japan. The interannual distributions of the nighttime fishing vessels are consistent with the catches investigated from the fishing vessel.
The variability of deflection for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s is large because of the uncertainty of concrete. But there is the minimum thickness or maximum allowable deflection only in the current design criteria. That is based on experiential data and does not consider the variability. Thus, Deflection evaluation based on probabilistic method is needed. A parametric study has been conducted to verification of influence of several parameters. In order to predict the reasonable deflection of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s, a layered degenerated shell element also was adopted for finite element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엘니뇨와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 Modoki에 따른 한강유역의 여름철(6~9월) 강우량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형적인 엘니뇨 시기에는 대체로 여름철 강우량이 감소하였으며, 강우의 변동성도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CV=0.40). 반면에 엘니뇨 Modoki 시기에는 한강 대부분 유역에서 평년보다 강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름철 강우의 변동성은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CV=0.23). 엘니뇨 Modoki 시기에는 한강 남부의 11개 중권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우의 증가를 보였고, 30 mm/day와 50 mm/day를 초과하는 중호우의 강우발생일은 각각 9.9일과 5.4일로 나타났으며, 전형적인 엘니뇨 시기보다 백분위 편차가 각각 17.74%, 50.94%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 Modoki가 전형적인 패턴의 엘니뇨 보다 한강유역의 여름철 수자원 변동에 민감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수자원의 계절적 변동과 불확실성이 큰 지역에서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